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제모용품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15-01-20
  • 출처 : KOTRA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2013년 중국 제모용품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15% 증가한 20억 위안에 달함.

  - 제모용품은 비주류 화장품으로 인식돼 아직 관련 통계자료가 부족하며, 시장조사업체 CVM은 제모용품 산업 주요 경쟁사에 대한 조사를 거쳐 시장규모를 추산함.

 

최근 3년간 중국 제모용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억 위안, %)

구분

2011

2012

2013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5

15

17.3

15

19.8

15

자료원 : CVM

     

□ 시장전망

     

 ○ 제모용품이 아직 시장규모가 작지만 향후 몇 년간 중국 제모용품시장은 여전히 15%의 성장률을 유지할 전망임.

  - 유럽이나 미국에서 제모용품 시장은 성숙 단계이지만 중국의 제모용품 시장은 발전초기 단계임.

  - 중국에서 제모용품시장은 전체 미용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 제품을 연구개발하는 로컬 기업이 많지 않음.

  - 그러나 시대가 발전하고 미에 대한 추구도 강해지며 제모용품을 의식하는 소비자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제모용품시장도 충분한 시장 잠재력이 있음.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제모용품의 주요 수요처는 뷰티샵과 일반 여성 소비자임.

  - 유통채널 중 뷰티샵에서는 30%를,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하는 일반 유통채널에서는 70%를 구매함.

 

 ○ 미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면서 많은 여성들은 뷰티샵을 통해 겨드랑이, 팔다리 제모를 관리하고 개인용 제모용품을 구매함.

  - 뷰티샵에서는 전문성이 높은 제품을 사용하며 일반 시중에서 판매하는 제모용품은 간단 제모 도구 또는 제모제임.

 

□ 수입동향

 

 ○ 중국에서 제모제의 수입규모는 크고 도구류 제모용품의 수입규모는 매우 적음.

 

 ○ 2013년 중국의 제모제 수입규모는 전년대비 7.8% 증가한 1억3,600만 달러에 달함.

  - 최근 3년 중국에서 제모제 수입은 지속적으로 빠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음.

  - 중국의 제모제 주요 수입국은 미국, 일본, 프랑스, 대만, 영국이며 미국, 일본, 프랑스로부터의 수입이 전체 제모제 수입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함.

  - 한국으로부터의 제모제 수입은 중국 제모제 수입시장의 3%를 차지하며 2013년 기준 4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4% 성장함.

 

 ○ 2013년 중국의 도구류 제모용품 수입규모는 전년대비 3.8% 증가한 224만 달러에 달함.

  - 주요 수입국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 헝가리, 독일, 중국으로 한국은 14위임.

 

중국 제모제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7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률

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0

총계

110

126

136

     

     

     

7.8

1

미국

27

34

35

25

27

26

4.1

2

일본

24

27

22

22

21

16

-19.2

3

프랑스

11

11

13

10

9

10

19.1

4

대만

4

5

8

4

4

6

69.2

5

영국

4

5

8

4

4

6

47.7

6

호주

6

5

6

5

4

4

18.5

7

인도

5

6

6

5

5

4

-6.2

8

독일

2

3

5

2

2

4

78.2

9

싱가포르

4

5

5

4

4

4

5.0

10

한국

3

3

4

3

2

3

44.0

자료원 : KITA

     

중국 제모기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85103000 기준)

            (단위 : US$ 천,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률

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0

  총계

2,541

2,161

2,242

     

     

     

3.8

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180

880

909

46

41

41

3.2

2

슬로베니아

507

923

675

20

43

30

-26.8

3

헝가리

685

276

304

27

13

14

10.0

4

독일

86

42

125

3

2

6

199.1

5

중국

10

6

123

0

0

5

2,130.4

6

이스라엘

1

5

73

0

0

3

1,496.8

7

홍콩

0

0

18

0

0

1

-

8

캐나다

0

0

6

0

0

0

-

9

일본

43

22

3

2

1

0

-85.7

10

미국

0

3

3

0

0

0

2.6

14

한국

0

2

0

0

0

0

-

자료원: KITA      

     

2. 수입제도·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 제모제는 특수용도 화장품으로 ‘수입특수용도화장품위생허가서’를 취득해야 중국시장에서 판매 가능함.

  - 이 허가서를 취득하는 데는 약 6-12개월의 시간이 소요됨.

  - 신청은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에서 인가하는 화장품검험기구에서 해야 하며 이 검사가 완료되기까지는 2~4개월이 소요됨.

  - 검사에서 통과되면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에 송부해 심사허가를 받으며 특수용도화장품의 심사회는 매달 세 번째 주에 한 번 진행되므로 1년에 12번 있음. 매월 10일까지 접수한 제품을 그 달 심사회에서 심사 허가함.

  - 제모용품 ‘수입특수용도화장품위생허가서’ 신청에 필요한 비용은 약 6,100위안임.

  - 대리업체를 통해 신청하면 별도로 대리비용 8,000위안을 지불해야 함.

  - 특수용도화장품허가서 신청에 필요한 서류는 수입특수용도화장품행정허가신청표, 제품중문명칭명명의거, 제품성분, 생산공정간략 및 약도, 제품품질안전제어요구, 제품원포장(제품라벨, 설명서 포함)과 중국시장 대상 설계한 포장,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이 인가하는 검사기구에서 발부한 검사보고와 관련 서류, 제품 안전성 리스크 물질에 대한 관련 안전성 평가서류, 사용 원료 및 원료가 중국에 부합된다는 보증장, 제품 생산국(지역)이나 원산지(지역)의 생산고 판매 증명문서, 이외 등록에 유리한 기타 서류 등임.

 

 ○ 수입화장품은 중국시장에서 유통하려면 수입화장품 중문라벨이 필요

   - 중문라벨은 중국국가질검총국에서 신청하며 약 2개월이 소요되고 비용은 3,000위안임.

     

 ○ 제모기 등 제모도구 제품은 특별한 규제사항이 없음.

     

□ 관세율

 

 ○ 관세율

  - 제모제의 HS CODE는 33071000이며 한국으로부터 수입 시 10 관세와 17%의 증치세가 부과됨.

  - 제모도구의 HS CODE는 8503000이며 한국으로부터 수입 시 20% 관세와 17%의 증치세가 부과됨.

     

 ○ 제모제 수입은 수입화물통관서가 필요하며 제모도구는 수입화물통관서 필요없이 직접 통관하면 됨.

  - 이에 필요한 서류는 한국 기업과 중국 대리상간의 계약서, 한국 측이 제공한 수입위탁서, 수출입 화장품 상표심사증서, 성분표, 검사신고위탁서, 세관신고서, 영수증, BL, 제품관련 상황 설명서 등이 있음.

  - 상품검사검역국은 제출된 자료를 검토해 자료에 이상이 없을 경우 수입화물통관서를 발급하며 제품이 수입된 후 다시 검사함.

  - 상품검사검역국 통관서 발급은 약 3일에서 1주일이 소요되며 신청비용은 수입총액에 따라 산출되는데 일반적으로 수입총액의 1% 미만임.

  - 통관 후 재검사가 진행되는데 비교적 간단하며 1~2일 소요됨.

     

□ 주요 유통채널(온라인 시장, 현지 딜러망, 대형유통업체 등)

     

 ○ 제모용품은 일반적으로 생산업체, 대리상, 도매상, 소매상 유통채널을 이루고 있음.

  - 백화점, 쇼핑몰, 대형마트 등에서 제모용품의 50%가 유통되며 화장품 전문점, 약국, 뷰티샵을 통해 제모용품의 50%가 유통됨.

  - 온라인 시장 활성화 시대에 온라인을 통해 유통되는 제모용품도 적지 않음.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 중국 제모제 시장에서 새로운 브랜드가 속속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스뤠이(詩瑞), 영국 VEET, 이탈리아 Mayllie, 스비(詩碧) 등의 브랜드 제품이 주도하고 있음.

  - 영국 Mintel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 제모제 시장에서 스뤠이가 점유율이 가장 높으며 다음 VEET,  Mayllie, 스비순으로 시장을 차지함.

  - VEET,  Mayllie 등 브랜드가 현지화 생산을 하고 있어 외자 브랜드과 로컬 브랜드 제품에 가격 차이가 크게 나지 않음.

 

제조업체명

브랜드명

제품이미지

가격(소비자가격)

원산지(수출국)

廣州市詩瑞生物科技

有限公司

스뤠이(詩瑞)

41위안/40ml

중국

利潔時家化(中國)

有限公司

VEET

66.9위안/100g

중국

廣州瑪貝拉化妝品

有限公司

Mayllie

49위안/60g

중국

上海詩碧化妝品

有限公司

스비(詩碧)

    

38위안/ml

중국

자료원 : CVM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 화장품이 중국에서 인지도가 높지만 제모용품 중 한국 제품은 아직 인지도가 낮음.

  - 현재 중국 시중에서는 미국, 유럽 제품이 주로 유통되고 한국 제모용품은 매우 적으나 한국 제품이 효과가 좋고 가격대가 적당해 관심이 높음.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2014 第26屆杭州美容美發美體化妝用品博覽會

전시회명(한국어)

2014 제25회 항저우 미용·헤어·바디 화장용품 박람회

전시품목

화장품, 다이어트 제품, 제모 제품

개최국가/도시/개최주기

중국/항저우/ 6개월

규모(참가업체수)

200개 업체

개최기간(2014년)

2014년 4월 1~3일

웹사이트

-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현지 제모제품 바이어들은 구매 시 제품의 가격, 품질을 우선 고려함.

   - 제모제품은 아주 세분화된 제품으로 시장에서 전문화된 대리상, 경소상(수입벤더), 소매상이 없으며 미용용품을 취급하는 바이어가 아이템을 다양화하기 위해 같이 취급하고 있어 가격이나 품질을 중시함.

     

 ○ 제모제에 대한 수요가 아직은 기타 화장품보다 낮은 편이며, 제모효과, 피부에 대한 영향이나 부자용에 대한 우려가 있어 일반적으로 백화점, 대형마트, 화장품 전문점, 약국에서 구매함.

     

□ 마케팅 방안 및 타깃고객층

  

 ○ 화장품의 세분화 제품으로 미용 관련 전시회에 적극 참가하는 마케팅이 필요함.

  -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등 지역에서도 유명한 미용품 관련 전시회가 매년 개최되며 항저우에서 개최되는 항저우 미용·헤어·바디 화장용품 박람회는 전체 바디 관련 제품도 강조돼 있어 제모용품과 함께 많이 전시되고 있음.

     

 ○ 현재 중국에서 제모용품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이며 브랜드 경쟁구도가 형성되지 않아 진출하기 좋은 시점이라 할 수 있음.

  - 현재 시중에서는 영국 우명 브랜드 VEET가 제모용품 하면 쉽게 떠오르는 브랜드이며 이외 기타 브랜드 제품에 대해서 잘 모르는 상황임.

     

 ○ 화장품 일반 유통채널이 경소상, 대리상을 거치기 때문에 빠른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유력한 경소상, 대리상을 발굴해야 함.

  - 경소상은 생산업체와 협조해 백화점, 할인매장, 전문점 등에서 입점효과를 높일 수 있음.

  - 단독 제모용품 대리상이나 경소상은 없기 때문에 규모가 큰 종합 화장품 경소상을 발굴해야 함.

     

 ○ 대형매장, 백화점 등과 차별화된 유통채널을 개척해야 함.

   - 일용화장품 전문체인점인 왓슨스, 완닝(萬寧), 첸서점(千色店), 지오란쟈런(嬌蘭佳人) 등 대형 화장품체인점을 중점적으로 공략대상으로 시장진출을 추진해야 함.

     

 ○ 특색이 있는 제품과 높은 품질의 제품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해야 함.

   - 제모크림, 제모밀랍왁스, 제모왁스페이퍼, 제모 후 피부보호 화장품 등 등 다양한 제품라인을 출시하며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개발된 제품이 인기가 높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제모용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