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멕시코 신발 시장동향
  • 상품DB
  • 멕시코
  • 멕시코시티무역관 이민진
  • 2015-01-14
  • 출처 : KOTRA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시장규모

  - 멕시코 내 신발시장의 시장규모는 2013년에 1496억 페소(약 113억 달러)였으며 2014년에는 4.8% 증가한 1569억 페소(약 118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멕시코 내수 시장은 고품질로 인정받은 국내 브랜드가 탄탄한 유통구조를 바탕으로 대다수를 차지함.

  - 2013년도 세계신발연감(World Footwear Yearbook 2013)’ 보고서에 따르면 멕시코 신발시장은 제조부문 세계 8위, 소비부문 세계 12위를 기록하는 등 경쟁력 있는 시장임.

 

멕시코 신발 시장규모 및 증감률 전망

                        (단위: 백만 페소, 백만 달러, %)

 

□ 시장특성

 

  여성은 비교적 남성보다 저렴한 신발을 종류별로 다양하게 구입하는 경향이 있어 남성에 비해 소비 신발 켤레 수는 많으나 액수 기준으로는 더 적음.

  - 멕시코 내에서는 일반적으로 남성화가 여성화보다 42% 더 비쌈.

 

   

자료원: El Financiero

 

 ○ 2013년 여성 신발 트렌드 스타일은 플랫, 샌들, 웨지, 하이탑, 플랫폼, 부티였으며, 남성화는 캐쥬얼 스니커즈, 슬립온, 세미정장화, 모든 종류의 스포츠화였음.

  - 재질로는 가죽, 섬유, 합성섬유가 두드러지게 사용됨.

 

 ○ 멕시코 경제 전문 일간지인 El Financiero에 따르면 현재 멕시코 신발의 일반 가격선은 켤레당 200~300페소(15~23달러) 수준임.

 

□ 시장전망

 

  아시아 국가에서 생산된 저가 신발의 유입으로 멕시코의 소규모 및 개인 제조회사가 영향 받을 우려가 있음.

  - 멕시코 내 신발 생산액 증감율은 최근 5년 중 -5.0%로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함.

  - 또한 높은 수입 관세로 인해 중국산 신발이 불법 유입될 것이라 예상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으로 멕시코 신발 시장이 신발 가격을 하락시키기 위해 중간 마진을 축소시킬 가능성이 있음.

 

최근 5년간 멕시코 내 신발 생산 추이

 

 자료원: El Financiero

 

 ○ 이 시장의 규모는 2013년 1496억 페소에서 매년 꾸준히 성장해 2018년 1862억 페소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성장률이 4.5%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수요 증대 예상 요인

  - 2013년 합리적인 가격과 세련된 디자인의 수입 신발의 증가와 값싼 중국산 제품의 유입으로 여성의 소비가 8% 증가했으며 남성은 운동에 대한 관심 증가로 스포츠화 제품의 소비가 증가함.

  - 2007년 이후 스포츠화 판매는 49% 증가했고, 2013년에는 전체 신발 판매액의 26%를 차지함.

  - 2013년 아동화 소비도 10%에 달하는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아동의 빠른 성장을 감안해 1~2켤레만을 보유하던 기존의 소비 태도와 달리 최근에는 용도와 목적에 따른 다채로운 구매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

 

멕시코 카테고리별 신발 시장규모 및 증가율 전망

                                                            (단위: 백만 페소, %)

 

2012

2013

2014

13/12

   14/13 

아동화

25,448.2

27,885.4

29,431.0

9.6

5.5

여성화

52,351.1

56,604.2

59,436.0

8.1

5.0

남성화

60,220.1

65,159.9

68,112.5

8.2

4.5

전체

 138,019.4

149,649.5

156,979.5

8.4

4.9

주1: 2014년은 전망치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 수입동향

 

 개관

  - HS CODE를 두 자리(코드: 64) 기준, 신발 품목의 2013년 수입액은 91,363만 달러를 기록했음.

  -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제품은 중국산 제품으로 시장 점유율의 약 36%를 기록했음.

  -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의 아시아 국가가 그 뒤를 잇고 있음.

  - 우리나라는 26위에 위치하며 미비한 수준임.

  - 이 품목의 경우 HS CODE에 따라 세부적으로 나뉘며 상기 수입액은 신발뿐만 아니라 그 부품까지 포함된 값이므로 HS CODE없이 정확한 수입 현황을 알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멕시코 신발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64 기준)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 조세율: 관세율 25~30%, 부가세 16%

  - 세부 품목마다 관세율 및 필수인증사항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함. 관세율은 http://www.economia-snci.gob.mx/에서 확인 가능

 

□ 주요 유통채널

 

 ○ 유통 구조에 따른 신발 판매 비중을 보면, 전문소매점이 차지하는 비중이 34%대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쇼핑센터와 백화점이 각각 24%, 14%를 차지했음.

  - 여전히 전통판매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에는 중산층의 증가와 브랜드 상품에 대한 선호도 증가로 쇼핑센터의 비중이 커짐.

  - 비점포방식으로는 직접판매(8%), 인터넷판매(2%) 등의 유통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보통 점포판매와 병행해 이루어짐.

  - 현재 멕시코 신발 시장에서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브랜드 Andrea와 Price shoes는 카탈로그를 이용한 직접판매로 성공한 사례임.

 

 ○ 멕시코 인터넷 협회(AMIPCI)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인터넷을 통한 판매는 1350%의 성장률을 보이는 등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온라인 회사의 보안체계의 강화로 소비자의 태도 또한 긍정적으로 변화하므로 인터넷을 통한 구매는 지속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됨.

  - 주요 인터넷 판매 사이트로는 Dafiti.com, Netshoes.com, calzzapato.com, pappomania.com 등이 있음.

  - 이와 더불어 올해에는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의 SNS를 사용한 광고 마케팅이 주목됨.

  

유통 구조에 따른 신발 판매 비중

 

 ○ 상위 5위를 모두 멕시코 브랜드가 차지함.

 

□ 최근 멕시코 정부의 자국 신발 산업 보호 동향

 

 ○ 멕시코 재무부에 따르면, 2014년 10월 1일부터 FTA 미체결국가에서 생산된 신발 제품에 대해서 25~30%의 관세율을 부과하기로 밝힘.

  - 기존 관세율이 30% 적용되는 품목은 동일한 관세율이 유지되고 그 외 10~20%의 관세율이 부과되는 제품은 관세율이 25~30% 수준으로 인상될 방침임.

  

 ○ 아울러 멕시코 재무부(SH CP) 및 관세청에서 설정한 제품 가격 이하로 제품이 수입될 경우 이에 대한 제재를 가할 방침임.

 

 ○ 또한 동 일부터 수입업자는 신발 수입 허가증을 발급 받지 않고서는 신발 제품을 수입할 수 없으며 신발 수입이 가능한 세관을 지정해 이 외의 세관에서는 신발 제품 수입을 금지할 예정임.

  - 신발 수입이 가능한 세관은 란사로 카르데나스(Lanzaro Cardenas), 만사니요(Manzanillo), 멕시코주(Mexico), 과달라하라(Guadalajara), 베라쿠르즈(Veracruz), 티후아나(Tijuana), 멕시코시티 공항(Aeropuerto Internacional de la Ciudad de Mexico), 시우닷 이달고(Ciudad Hidalogo), 누에보 라레도(Nuevo Laredo) 등임.

  -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한국 상품은 대부분 만사니요 항구를 통하므로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전망되나 신발 제품에 대해서는 중점적인 세관 검사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 상위 5위를 모두 멕시코 브랜드가 차지함.

  - 멕시코 신발 시장에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인 브랜드는 Andrea으로 2013년 멕시코 신발 시장의 9.1%를 점유함.

  - 그 뒤 역시 멕시코 브랜드인 Flexi, Emyco, Price shoes 등이 잇고 있음.

 

 ○ 결제수단이 다양하고, 편리한 쇼핑이 가능하다는 이점으로 쇼핑센터에서의 소비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입점 가능할만큼의 인지도 있는 브랜드의 수요가 급증함.

  - Adidas, Nike, Converse, Aldo, Hugo Boss 등의 인지도 있는 브랜드의 쇼핑센터 내 매출이 최근 4년간 42% 증가함.

  - Nike, adidas, Puma, Under Armour, 등의 스포츠 브랜드는 타 브랜드에 비해 고가임에도 제품이 스타일리시하고 정교하다는 평을 받으며 인기가 증가함.

 

주요 경쟁 브랜드 상위 10개 현황

  

□ 한국 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매우 낮음.

 

 ○ 선호 브랜드

  - Andrea, Flexi, Emyco, Price shoes, Cklass 등의 자국 브랜드 및 Nike, adidas 등의 스포츠 브랜드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SAPICA

전시회명(한국어)

레온 신발 박람회

전시품목

신발산업

개최국가/도시

멕시코 / 레온

개최주기

연 2회

개최기간(2014년)

2015년 03월 17~20일

웹사이트

http://www.sapica.com/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①가격경쟁력 중시, ②품질경쟁력 중시

  - 멕시코 바이어의 특성은 성별로 구분해볼 수 있음.

  - 멕시코 시장 내 소비 점유율을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구입 켤레 수는 많으나 소비액은 더 적음.

  - 여성 소비자는신발 구매 시 가격을 중요하게 고려하므로 브랜드 가치보다는 저렴한 가격과 세련된 디자인의 제품을 선호하고 남성 소비자는 가격보다는 품질 및 성능을 중시하며 인지도 높은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임.

 

□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 중산층의 성장으로 소비자는 인지도 높은 브랜드를 선호하는 성향을 보이며 이미 많은 값싼 중국 제품이 수입된 실정이므로 가격으로 경쟁력을 획득하기는 어려움.

  - 따라서 차별성 있는 디자인을 바탕으로 가격대 품질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음.

 

 ○ 한국신발에 대한 인지도가 미미한 상태고 여전히 한국제품은 중국제품과 같은 수준이라는 선입견을 가진 경우가 많으므로 한국에도 합리적인 디자인과 품질의 신발 브랜드가 있음을 알리는 과정이 필요함.

  - 한국 브랜드를 알리는 온라인 포털(겸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및 카탈로그 제공이 한 방법이 될 수 있음. 그러나 점포가 아닌 온라인 매장 진출인 경우, 운송체계를 잘 갖춰야 함.

  - 또한 인터넷 접근성 증가로 소셜미디어를 통한 홍보가 주목 되므로 facebook이나 instagram등의 SNS 홍보 방식 적극 활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멕시코 신발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