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북한 휴대폰 산업 발전 현황
  • 북한정보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18-01-04
  • 출처 : KOTRA

□ 중국 휴대폰 서비스의 시작


  ㅇ 2002년 11월 북한은 GSM 휴대폰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처음에는 나진,선봉 경제특구에서만 사용이 가능함. 또한 당 인민위원회, 인민보안성(경찰), 국가안전보위부(정보기관)의 고위급 간부만 사용했음.
    - 1년 후 북한의 휴대폰 사용자 수는 이미 2만 명에 달할 정도로 빠르게 늘어남. 그러나 2004년 폭발 사건 후 북한의 휴대폰 서비스는 일시 중단됨.


  ㅇ 북한 체신국과 이집트 오라콤 통신회사가 합작해 ‘고려통신회사’를 설립함.
    - 고려통신회사는 2008년 1월 북한에서 3G 이동통신 운영 업무 허가를 취득했으며 12월 15일 3G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
    - 보도에 따르면, 2008년 북한의 휴대폰 사용자 수는 1,694명이었으나 이후 빠르게 증가해 2009년에는 10만명, 2012년과 2013년에는 각각 100만명, 200만명에 도달함.


  ㅇ 2013년 8월 13일 북한은 스마트폰 ‘아리랑’을 출시함.
    - 업계 인사에 따르면 북한의 이 스마트폰은 자체적인 생산과정을 거친 스마트폰이 아닌 중국에서 제조된 스마트폰이 북한으로 들어가 조립과 포장을 거친 것이라고 함.
    - 북한에는 스마트폰 생산 라인이 갖춰있지 않으며, djEJ한 기업도 외국의 스마트폰 부품 공급업체와 긴밀한 협력관계가 없기 때문임.
    - 2014년 일본의 한 매체가 이 사실을 밝혀냈으며 아리랑 AS1201의 원래 모델은 중국 휴대폰 공장 ‘여우스(優思)'의 U1201이었음.


□ 북한의 휴대폰 산업 현황


  ㅇ 한국 통계청이 12월 15일 발행한 ‘2017년 북한 주요 통계지표’에 따르면 2016년까지 북한 휴대폰 사용자 수는 361만 명이며, 5년 전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함.
    - 2016년까지 북한 총 인구는 2,490만 명이며 약 7명 중 1명이 휴대폰을 가지고 있음.
    - 이외에, UN 산하의 전문기구 ‘국제 전기통신연합(ITU)'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북한 휴대폰 사용자 수는 2015년 대비 11% 증가함.


  ㅇ 북한의 휴대폰 사용자 수는 2009년 이래 줄곧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를 보였으나, 북한 주민이 혀재 사용하는 휴대폰은 자유로운 인터넷 기능을 포함하지 않으며 주로 사진, 녹화, 음악듣기, 게임에 사용되고 ‘내부 인트라넷’을 통해 정보를 얻음. 일종의 오락 도구로서 사용됨.
    - 북한 시장에서 판매되는 휴대폰은 일반적으로 북한 내 제조업체에서 생산되거나 중국에서 수입된 부품을 조립해 만들어지며 판매 가격은 500 달러에 달함.
    - 어떠한 모델이든 휴대폰, 컴퓨터 모두 통일적으로 북한 내에서 개발된 조작 시스템을 사용함.


  ㅇ 2017년 6월 27일 텐센트의 보도에 따르면 북한회사 Mangyongdae Information Technology Corporation은 현재 ‘진달래3(Jindallae3)'이라는 스마트폰을 발표했으며 외관상으로는 애플의 아이폰과 유사함.
    - 동 회사는 ‘진달래3’은 설계와 시스템 내부의 모든 제조를 북한 내에서 완성했다고 밝힘.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 가격은 250달러~690달러에 이름.


□ 시사점


  ㅇ 일본경제신문 사이트에 따르면 북한 휴대폰 수입액은 2017년 1~6월 5,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증가했다고 함.
    - 또 다른 연구기관에서는 최근 중국의 휴대폰 사용자 수는 약 400만 명으로 추정되어 2012년 휴대폰 가입자 수의 4배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함.
    - 중국 기업을 포함한 외국 기업들은 북한의 휴대폰 및 휴대폰 부품 수요 증가와 시장 확대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임.


  ㅇ 그러나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대북 경제 제재가 이어지고 있어 북한과의 무역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향후 북한의 정세가 안정된 후에 무역 및 투자 등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자료원 : 百度網, 藤訊網, 環球網, 搜狐網, 日本經濟新聞網, 華爾街日報, 한국통계청



/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