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모로코 의료산업
  • 국별 주요산업
  • 모로코
  • 카사블랑카무역관 나범근
  • 2019-12-20
  • 출처 : KOTRA

- 모로코는 의료서비스 개선, 의료보험 대상 확대 등을 목표로 'Health Plan 2025' 추진 -

- 병원건설, 의료장비 확충에 따라 진단 의료기기, 응급장비 등 수입수요 증가 기대 -




. 산업특성

 

주요 정책

 

  ㅇ 모로코 의료서비스는 전세계 89위로 아직은 매우 열악한 것으로 평가

     -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사이트인 Numbeo에 따르면, 모로코 의료서비스 순위는 이라크(87), 베네주엘라(88)보다 낮은 89위를 기록

     -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49위를 차지한 가운데 튀니지 59, 알제리가 68위로 나타남

     - 모로코 의료서비스의 경우, 높은 의료비용, 오랜 검사시간, 불친절한 의료진 등 전반적으로 불만이 높은 것으로 평가

 

  ㅇ ’21년까지 전국민의 90%까지 의료보험 적용대상 확대를 목표로 함

     - 모로코는 의무 의료보험 제도인 AMO(Mandatory Health Insurance)를 운영하고 있으며 저소득 계층 지원을 목적으로 RAMED(Regime d’assistance medicale) 제도 병행

     - 의료보험 적용 비율이 ’17년 전체인구의 47%에서 최근 60%로 확대되고 있으며 ’2190% 달성을 목표로 함

 

  ㅇ 의료분야 예산으로 모로코 전체 GDP의 약 5%를 할당

    -  인구증가, 소득수준 개선에 따라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 및 기대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19년 의료분야 예산도 전년대비 약 1.7억 달러(16억 MAD)가 증가한 약 17억 달러(163억 MAD) 배정 

    - 정부에서는 삶의 질 향상, 균형발전 등을 목표로 도시/지방의 병원 건립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공공병원의 의료기기 및 의약품 구입등에 예산투입 확대  


  ㅇ 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해 장기 프로젝트인 ‘Health Plan 2025’ 추진

    - ’185, 모로코 정부는 24억 달러 예산의 ‘Health Plan 2025’를 승인

    - 동 프로젝트는 의료서비스 품질 개선, 적용대상 확대, 상호연계 강화 등 6개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모로코의 전반적인 의료분야 개혁 및 서비스 개선을 목표로 함


. 산업의 수급 현황

 

□ 의료기기 시장 현황

 

  ㅇ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약 236백만 달러로 추산되며  90% 이상이 해외 수입에 의존

    - 모로코는 단순한 의료기구 및 일회용품(주사기, 밴드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 의료기기를 수입에 의존

    - 현지 의료기기 유통업체 C사 인터뷰에 따르면, 독일, 프랑스, 미국 등의 선진국 제품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가성비를 앞세운 이태리, 터키, 중국, 한국 제품들의 시장 진출이 확대되고 있음


  ㅇ 주로 수입전문 유통업체를 통해 공공병원 등에 주로 유통

    - 수입 의료기기의 약 70%는 공공병원 등에 유통되며 clinic 등 민간부분이 나머지 약 30%를 수요하는 것으로 추산

    - 또한 의료기기 유통은 주로 전문 유통업자가 80%를 차지하고 나머지 20%는 제조업체에서 약국이나 병원으로 직접 유통

    - 일부 의료기기 수입업체는 수도인 라바트에 판매점을 두고 있으나 대부분의 수입업체와 에이전트는 카사블랑카에 소재


  ㅇ 중고 의료기기의 수입금지 조치로 신규 수입수요 확대 

    - 의료장비 개선을 통해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코자 중고 의료기기 및 장비구매를 금지하는 법률이 '15년에 제출되었으며 ’172월 본격 발효

    - 초음파/방사선 진단장치, 환자감시장치, 응급장비를 비롯, 치과용기기, ICT의료장비 등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모로코의 주요 의료기기 수입 현황

                                                                                                                                                                                         (단위 : MAD)

품 목

2015

2016

2017

2018

초음파 스캔 진단장치

(HS Code : 901812)

83,786,161

90,708,222

122,735,098

130,736,740

자가 진단 장치

(HS Code : 901813)

69,470,370

70,984,660

68,071,738

124,050,680

기타 치과용 기기

(HS Code : 901849)

66,953,033

68,707,211

63,831,382

76,240,466

방사선 진단장치

(HS Code : 902290)

56,208,791

53,275,118

46,934,159

74,903,952

기타 진단기기

(HS Code : 901890)

416,764,897

378,895,036

414,405,218

464,305,679

자료 : Office des changes 

* 1USD = 약 9.6 MAD ('19.12월 기준)


□ 의약품 시장 현황


  ㅇ 정부의 의료지원 확대에 따라 의약품 시장 또한 확대되고 있음

    - ‘19년 모로코 보건부 장관은 약을 정해진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하는 민간병원이 많다고 지적

    - 보건부에서는 향후 주기적인 현장조사를 통해 적발된 병원들에 대해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임을 공표


  ㅇ '17년 기준, 의약품 수요의 약 40%를 수입에 의존

    - 국내 의약품 수요의 약 60%를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현지 생산의 약 10%는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 해외로 수출

    - 연간 1인당 의약품 소비액은 약 40유로로 추산

    - 최근 미국 Mylan Group이 '19.5월 모로코에 공장을 설립하였고, 인도계 Sun Pharma가 '19.12월 공장을 론칭하는 등 의약품 시장 확대에 따른 외국계 기업의 현지진출이 활발해짐


모로코 의약품 시장규모 현황 및 예측
                                                                                                      (단위: MAD 십억)

자료 : Fitch Solutions

* 1USD = 약 9.6 MAD  ('19.12월 기준)


  ㅇ 모로코내 제약 제조업체 중 2/3가 국내기업이나 아직은 초보 단계

    - 28개의 제약 제조업체가 존재하며 이들 중 2/3가 국내기업이고 나머지는 외국기업의 자회사로 이루어 짐
    - 다만, 모로코 국내기업 중 대부분이 약품의 성분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주요 성분은 수입에 의존하여 약을 생산


  •  모로코 주요 제약업체 및 홈페이지

 자료 : 무역관 자체 조사

. 진출전략 및 유의사항 

 

SWOT 분석

Strength(강점)

Weakness(약점)

∙ 인구증가, 경제성장 확대 등으로 의료시장 지속 확대

∙ 의료기기, 의약품의 자체 생산 미비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

∙ 시장규모가 크지 않고 언어 상이(주로 아랍어, 불어 사용)

∙ 인적네트워크 중심 비즈니스로 수입절차 등에 편차 존재

Opportunities(기회)

Threats(위기)

∙ 정부의 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한 확고한 의지로 인해 병원 건설, 

  의료설비 확충 등에 따른 추가적인 시장기회 존재

∙ 향후 아프리카 진출의 교두보 역할 가능

∙ 전세계 57개국 FTA 체결로 수입품목간 경쟁치열(한국과 미체결)

∙ 제약 등 글로벌 기업 현지진출 확대로 경쟁 가속화 전망

      

□ 유망분야 및 유의사항

 

  ㅇ 전세계 57개국 FTA 체결로 시장규모 대비 경쟁이 치열하고 언어장벽 존재

    - 의료기기, 의약품 등 관련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은 의료시장 규모가 크지 않고 유럽, 미국, 중동국가와의 FTA 체결로 다양한 수입루트 존재

    - 또한 수입 유통업체 규모가 영세한 경우가 많고 불어, 아랍어 등을 사용으로 수출 준비시 어려움

 

  ㅇ 폐쇄적인 비즈니스 환경으로 인해 제품등록, 현지 유통 등에 있어 협력 파트너의 영향력에 크게 좌우 

    - 제품등록, 통관 등에 있어 현지 파트너의 인적 네트워크에 따라 소요 시간 및 비용 상이

    - 특히 공공병원 등 주요 수요처의 경우, 일부 수입 유통업체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가격경쟁만으로는 신규 진입에 애로 존재

 

  ㅇ 일반 제품의 경우 가격이 우선 고려요소이나 IT 기술이 접목된 진단기기 등 진출 유망

    - 의료 소모품 등 일반화된 제품의 경우 현지 제조, 중국산 등으로 가격 경쟁에 한계 존재

    - 병원 신축, 의료장비 현대화 움직임에 따라 한국이 강점을 지닌, 초음파 영상 진단장비, 치과용 기기 등 IT 기술이 결합, 편리성과 정확성을 겸비한 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비하고 있어 이들 제품을 중심으로 한 시장 진출이 유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모로코 의료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