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이탈리아 기계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이탈리아
  • 밀라노무역관 유지윤
  • 2019-12-18
  • 출처 : KOTRA

가. 산업 특성

 

정책 및 규제

 

  ㅇ 이탈리아는 기계산업의 강국으로 특히 첨단•정밀 기계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 공작기계 생산액 4위, 수출액은 3위를 기록하고 있음

    - 지역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 효과적인 인력양성과 협력체계 구축으로 글로벌화에 성공하였으며 기계 중에서도 부가가치가 높은 정밀 공작기계 분야에 특화됨

    - 미국의 보잉, NASA, 포드 등에 첨단 기계 수출이 급증하며 ‘18년 총 생산액 68억 유로를 기록, 전년대비 11.3% 성장하며 중요 산업으로 자리매김함

 

공작기계 개요

자료원 : 한국 공작기계산업협회(Komma)

 

  ㅇ 이탈리아 정부는 산업 4.0(Industria 4.0) 정책을 통해 설비 현대화 추진으로 기계산업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음

    - 2017년부터 이탈리아는 정부주도형 산업 4.0 정책을 통해 기업의 설비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음

    - 하이퍼 감가상각 및 사바티니 법안 등으로 기업에 금융지원을 통해 노후화된 기계설비 교체와 디지털화로 생산효율성 강화 추진

    * 하이퍼감가상각, 슈퍼감가상각 : 세액보조정책으로 140~250% 감가상각

    * 사바티니 법안 : 연2.75%, 대출기간 5년 조건으로 대출가능

 

최신 기술 동향

 

  ㅇ 첨단 분야인 지능형 로봇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또한 생산영역에서는 로봇 기술을 접목시켜 산업 현장에서 웨어러블 로보틱스 사용 증가세

    - 이탈리아 과학기술연구소 주도 하여 유럽 및 북미 19개 연구소가 공동으로 인공지능 로봇 I Cub(딥러닝 및 인간 감정이해 로봇)을 개발 진행중임

    - 이러한 로봇개발을 통해 인공지능 및 로봇분야를 기계와 접목시켜 이로 산업의 생산성 및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음

 

  ㅇ 4차 산업혁명 육성 정책으로 중점 육성 분야에 대한 투자 강화

    - 이탈리아 산업 4.0의 중점 육성 분야는 로봇, 3D프린팅, 증강현실, 시뮬레이션, 인터그레이션, 산업 인터넷, 클라우드, 사이버 보안, 빅데이터로 산업 생산력을 높이기 위해 가장 필요한 분야 선정으로 설비투자와 직접적으로 맞물려 산업현장 적용 중임

    - 또한 5G 인프라 구축 추진으로 IoT(사물인터넷)의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음. 스마트 공장 등 제조업의 디지털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기계 분야의 IT 기술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음

 

주요 이슈

 

  ㅇ 미국, 독일 등의 산업생산 회복으로 기계 구매 증가로 이탈리아 수출 증가 지속세

    - 2018년 기준 미국은 2.9%, 독일은 1.5%의 GDP 성장을 기록하며 경제회복이 가속화. 이에 따라 산업 설비투자가 활성화되며 기계 관련 품목의 수출이 증가함

    - 각 품목별 무역수지를 살펴보면 기계 및 관련 장비의 무역수지는 약 500억 유로를 기록하며 이탈리아 최대 수혜 품목으로 자리잡음. 2위로는 패션 및 가구, 3위는 일반 소비재가 차지함.

 

이탈리아 산업별 무역수지 동향(2018년)

(단위: 10억 유로)

자료원 : 기계산업 연합, 이탈리아 통계청(Federmacchine-Istat)

 

  ㅇ 산업 4.0 정책에 따른 금융지원책으로 이탈리아 기업들의 설비 현대화 추진으로 내수시장 활성화

    - 이탈리아는 정부주도형 산업 4.0 추진으로 제조기업의 설비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금융지원을 통해 적극적인 기업의 설비투자를 유도하고 있음

    - 이로 이탈리아 국내기업에서 설비 자동화 및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기계의 수요 증가세로 내수 주문이 지속적 증가세 기록

 

주요 기업 현황

 

주요 기계 회사별 이탈리아 매출비중(단위:%)

자료원 : 유로모니터(Euromonitor)

 

  ㅇ 기계산업 분야의 전체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여 기업별 매출액 비중 순으로 정리

    - 1위인 Applied Materials Italia Srl사는 제조장비 및 설비,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업체들로 2013년 이후 급격한 매출액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이 외, 기계 및 기계부품 생산업체들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어 수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나. 산업의 수급 현황

 

이탈리아 기계 산업 추이

(단위: 백만 유로, 괄호 안은 증감률(%))

 

2015

2016

2017

2018

2019*

생산

5,217(7.8%)

5,502(6.4%)

6,085(9.6%)

6,775(11.3%)

7,020(3.6%)

수출

3,387(4.1%)

3,252(-4.0%)

3,385(4.1%)

3,663(8.2%)

3,900(6.5%)

내수

1,830(15.3%)

2,300(25.7%)

2,700(17.4%)

3,112(15.2%)

3,120(0.3%)

수입

1,518(31.9%)

1,558(2.7%)

1,764(13.2%)

2.052(16.3%)

2,100(2.3%)

자료원 : UCIMU(이탈리아 공작자동화기계협회), *2019년은 추정치

 

  ㅇ 이탈리아 공작자동화기계산업은 2018년 기준 약 68억 유로의 생산규모를 보유한 산업으로 전 분야에서 성장을 거듭하며 이탈리아 제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

    - 2014년 이후 내수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며 매년 두 자리 수의 성장을 거듭해 이에 따라 생산규모가 급격히 증가하는 특징이 있음

 

이탈리아 공작기계 산업 추이

(단위: 백만 유로, 괄호 안은 증감률(%))

 

2015

2016

2017

2018

2019*

생산

4,689(8.5%)

5,018(7.0%)

5,491(9.4%)

6,125(11.5%)

6,350(3.7%)

수출

3,199(4.0%)

3,062(-4.3%)

3,165(3.4%)

3,423(8.1%)

3,650(6.6%)

내수

1,490(19.5%)

1,956(31.3%)

2,326(18.9%)

2,702(16.2%)

2,700(-0.1%)

수입

1,193(34.2%)

1,226(2.8%)

1,369(11.6%)

1,592(16.3%)

1,600(0.5%)

자료원 : UCIMU(이탈리아 공작자동화기계협회), *2019년은 추정치

 

  ㅇ 이탈리아 기계산업 중 가장 강세를 보이는 공작기계 산업은 2018년 기준 61억 유로의 생산을 보였으며 생산, 내수, 수입에서 모두 두 자리수의 성장을 기록

    - 공작기계 주요 제조국 순위는 4위, 주요 소비국에는 5위에 위치해 있어 모두 상위권에 위치해 있으며 세계 공작기계 주요 수출국으로는 3위, 수입국은 6위에 위치해 있음

    * 한국은 제조국 6위, 소비국 6위, 수출국 9위, 수입국 8위에 위치함

 

공작기계 주요 제조 및 소비 국가(2018년)

(단위: 백만 유로, %)

주요 제조국

주요 소비국

국명

금액

점유율

국명

금액

점유율

중국

19,865

25.7%

중국

24,6490

32.5%

독일

12,730

16.4%

미국

8,160

10.8%

일본

11,258

14.5%

독일

6,880

9.1%

이탈리아

6,125

7.9%

일본

4,310

5.7%

미국

5,267

6.8%

이탈리아

4,294

5.7%

한국

4,477

5.8%

한국

3,338

4.4%

대만

3,980

5.1%

인도

2,795

3.7%

스위스

3,260

4.2%

멕시코

1,882

2.5%

인도

1,156

1.5%

대만

1,792

2.2%

스페인

1.143

1.5%

러시아

1,615

2.1%

자료원 : UCIMU 2019 보고서(이탈리아 공작자동화기계협회)

 

다. 진출 전략

 

□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 기계산업강국

- 북부 기계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특화됨

· 첨단공작기계 분야 세계적 경쟁력 보유

- 다수의 유명 글로벌 업체들이 위치해 있으며 인근 기계강국 독일과 협력체계 구축

· 높은 고정비용

- 기업의 실질부담세가 높으며, 에너지 비용 등의 부담이 큼

· 경제성장 둔화세로 산업생산 위축

- 이탈리아 경제회복 둔화세가 장기화되며 산업생산이 위축되는 추세

Opportunities

Threats

· 글로벌 회사와의 파트너쉽 보유

- 미국 보잉, NASA와 독일 포드 등에 첨단기계 공급 진행중

· R&D를 통한 기술 강화

- 정부 지원과 함께 적극적인 R&D 강화로 전문인력 양성 등이 이뤄지고 있음

· 산업 4.0정책으로 내수수요 증가세

- 정부 금융지원 정책으로 설비 현대화 진행중으로 지속적 수요 증가

· -중 무역분쟁 및 보호무역주의 확산

- 수출 주요 품목으로 수출시장이 위축될 경우 산업 전체에 대한 위협이 될 수 있음

· 중소기업 위주의 산업구조

- 유동자산의 부족으로 대규모 설비투자가 용이치 않은 단점이 있음

· IT산업의 약세

- IT산업 및 인프라의 부족으로 자동화 부분에 약세를 보이고 있음

 

유망 분야

 

  ㅇ 공작기계

    - 한국제품이 전통적으로 강한 분야로 가공공작기계(HS8456), 머시닝센타(HS8457), 절삭가공용 선반(HS8458), 절삭가공기계(HS8459) 등의 제품 수출이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기술력을 인정받고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시장에서 철저한 제품관리 및 제품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경우 타 제품군으로 시장이 확장될 것으로 전망

 

  ㅇ 원천기술을 보유한 업체와의 기술이전 및 조인트벤처

    - 이탈리아는 첨단 기계 분야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소규모 기업 중에서 원천기술 보유 기업이 다수로 집계되고 있음.

    - 4차 산업 관련 분야에서 IT산업 및 IT접목에 기술을 보유한 한국 기업과 첨단 기계분야의 기술보유 이탈리아 기업간의 조인트 벤처 설립 및 기술교류를 통해 자국 시장뿐 아니라 제3국 시장 진출을 도모해 볼 수 있음

 

 

자료원: ISTAT, UCIMU 2019 보고서(이탈리아 공작자동화기계협회), Federmacchine(기계산업 연합), Euromonitor, KOTRA 밀라노 무역관 자체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탈리아 기계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