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UAE 에너지 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이형민
  • 2019-12-03
  • 출처 : KOTRA

- 태양광, 원자력 발전 육성 정책에 따른 대체에너지 부상 -

- 단, 석유 대체산업 육성 위해 석유∙가스 생산은 지속 확대 예정 -

 

 

 

. 산업 특성

 

□ 국가 정책

 

1. 석유∙가스

 

  ㅇ 아부다비 국영 석유회사(ADNOC)의 통합 2030 전략 (ADNOC Strategy 2030)

    - UAE 전체 석유 중 95%가 아부다비에 집중되어 있어, 타 토후국보다 석유 탐사 및 생산(upstream) 분야 위주의 산업이 부흥, 최근에는 정유(downstream) 시설을 새로이 갖추면서 양 분야의 육성을 추진하고 있음.

 

1) 석유 탐사 및 생산(Upstream)

  ㅇ 2020년까지 일산 400만배럴까지 원유 생산량 확대, 석유회수증진법(EOR;Enhanced Oil Recovery) 기술에 대한 투자 지속, 전문지식∙자본을 제공하고 시장 진입을 촉하는 파트너십 구축을 목표로 함.

 

2) 정유 및 판매(Downstream)

  ㅇ 휘발유 생산을 2016년 기준 연 600만 톤에서 2022년 연 1,020만 톤까지 확대, 석유화학 생산량을 2016년 연 450만 톤에서 2025년 연 1,440만 톤까지 증가, 고부가가치 플라스틱 솔루션 범위 확대를 목표로 함. 아울러 2025년까지 루와이스(Ruwais) 정유공장을 확장해 정유 및 제품 생산 능력을 3배로 늘린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음.

 

3) 천연가스

  ㅇ 국내 가스 자급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가스전 개발, 2016년 대비 2020년 운영 에너지 효율성을 10% 향상, 1.2 BSCFD(Billion Standard Cubic Feed per Day)의 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하일(Hail), 가샤(Ghasha), 델마(Delma), 나스르(Nasr) 및 슈웨이핫(Shuweihat) 필드 개발에 지속 투자 등을 목표로 함.

 

2. 대체에너지

 

  ㅇ UAE 에너지 전략 2050 (UAE Energy Strategy 2050)

    - UAE 최초의 통합 에너지 전략으로, 총 에너지 믹스 중 청정에너지원의 기여도를 2017년 기준 25%에서 2050년까지 50%로 확대하고 발전량의 탄소발자국*70%까지 줄여 7천억 디르함(1,906억 달러)의 비용 절감을 목표함.

      *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 개인 또는 기업, 국가 등의 단체가 활동이나 상품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전체 과정을 통해 발생시키는 온실가스, 특히 이산화탄소의 총량을 의미(자료 : 두산백과)

    - 이를 위해 UAE 정부에서는 에너지 수요 충족 및 지속가능한 에너지 발전원 확충을 위해 2050년까지 6천억 디르함(1,634억 달러)을 단계적으로 투자할 예정임.

    - 대체에너지원 구성은 청정에너지 44%, 가스 38%, 청정 석탄 12%, 원자력 6%으로 개선할 계획이며, 1단계는 에너지소비 효율 개선 및 발전원 다변화, 2단계는 에너지와 교통수단의 통합, 3단계는 혁신과 R&D 투자로 추진할 예정임.

 

UAE 에너지 계획 2050 목표

자료 : UAE 에너지산업부 Energy Report 2019

 

1) 원자력에너지

  ㅇ 2008년 원자력 에너지 평화적 이용에 관한 정책 발표 (The Evaluation and Potential Development of Peaceful Nuclear Energy)

    - 동 정책은 엄격한 안전기준, 투명성, 보안기준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전세계 원자력 에너지 발전의 모범 사례로 꼽힘. 아울러 동 기준에 따라 2009년에는 원자력 에너지법(Nuclear Energy law)을 발표함.

 

  ㅇ 2009년 에미리트 원자력 에너지 공사(ENEC; Emirates Nuclear Energy Corporation) 설립

    - 에넥(ENEC)은 UAE 정부로부터 평화적인 원자력 에너지 프로그램 수행을 위임받아 아랍국가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인 바라카(Barakah; 아랍어로 축복이라는 뜻) 원자력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총 발전용량 5.6GW)를 발주했고, 한국전력이 수주하며 한국형 원자력발전소인 APR1400의 첫 해외 원전 수출길을 여는 계기가 됨.

    - 총 4호기로 구성된 동 원자력발전소 프로젝트는 2012년부터 건설을 시작, 2019년 현재 4호기 건설을 진행중으로 2020년부터 가동이 예정됨. 아울러, 바라카 원자력발전소를 통해 2020년까지 국가 전력 수요의 약 25%를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함.

 

2) 태양에너지

  ㅇ UAE는 일조량이 풍부한 선벨트 지역으로 태양광, 태양열 발전에 적합

    - 태양에너지는 수력에너지를 제외한 UAE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99.9%를 차지함으로써 태양에너지를 주력 대체 에너지원으로 꼽고 있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임.

    - 특히 두바이는 태양에너지 발전 차액제 등 인센티브 제공 및 두바이 그린 펀드*를 조성함.

      * 2015년 두바이 청정에너지 전략의 일환으로 조성된 270억 달러 규모의 펀드로 청정에너지 프로젝트 추진을 지원함.

    - 아부다비 에너지부도 2017년 스웨이한(Sweihan) 지역에 1.17GWh 규모의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수행함.

 

□ 최신 동향

 

1. 석유∙가스

 

  ㅇ 적정 수준 유가 지속을 위한 산유국들의 공급량 조절

    -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및 비회원 산유국들은 자발적 원유 감산조치를 취함으로써 유가하락 방어에 공조함.

      * 2019년 7월 2일, OPEC 및 러시아는 2018년 10월 산유량 수준에서 일산 120만 배럴  가량 감산하는 것을 2020년 3월까지 연장키로 결정

  

  ㅇ ADNOC,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브렌트유 대적할 새 원유 벤치마크 추진

    - 뉴욕증권거래서(NYSE)의 모회사인 인터콘티넨털익스체인지(ICE)는 아부다비 등에서 생산되는 머반유(Murban Crude) 선물거래서(IFAD)를 설립해 2020년 상반기부터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라 밝힘.

    - IFAD 설립에는 우리나라 GS 칼텍스를 포함한 셸(Shell), 토털(Total), 중국 석유천연가스공사 페트로차이나(PetroChina), JXTG 등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오만유 등을 취급하는 두바이상업거래소(DME)와도 경쟁하며 역내 원유가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2. 대체에너지

 

  ㅇ 탄소배출 감축 위한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투자 지속

    - 2019년부터 5년간 전체 발전분야에 대한 UAE 정부의 투자 예상 금액이 1,090억 달러에 달하는 등 수요 높음.

    - UAE 전력생산은 가스∙화력발전이 대다수를 차지, 이로 인해 가채연수가 제한된 화석연료 대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 확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UAE는 2050년까지 44%, 두바이는 2030년까지 25%까지 확대하고자 함.

 

두바이 샴스 스마트 이니셔티브(Shams Dubai Smart Initiative)

 

  ㅇ 개별 가정의 건물 지붕공간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

    - 두바이는 20153, 소비자가 루프탑(Roof-top) 등 개별 태양광 발전에 따른 잔여 전력을 전력망(Grid)에 되팔 수 있도록 하는 이니셔티브 발표

    - 관련해 두바이 수전력청(DEWA)2017년 개별 소비자가 루프탑 태양광 발전량을 계산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출시

    - 20197월 말까지 총 1,328개 건물, 102.1MW 한도의 전력이 그리드에 성공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알려짐.

EMB00003df0321a

자료 : DEWA

 

□ 주요 이슈

 

  ㅇ 신규 대형 유전 확인으로 원유 매장량 6위 등극

    - 2019년 11월 4일 UAE 정부는 원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된 혼합 유전을 확인했다고 보도함.

    - 동 유전의 매장량은 원유 70억 배럴, 천연가스 1조6000억으로 알려짐.

    - UAE는 일평균 원유 300만 배럴, 천연가스 3억㎥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동 유전 발견으로 향후 원유와 천연가스를 각각 96, 70년 간 생산할 수 있게 되었으며, 동시에 세계 원유∙천연가스 매장량 6위였던 쿠웨이트를 앞지름.

 

  ㅇ 현지화 장려 정책

    - ICV(In-Country Value) 시행 중 : ADNOC의 공급망 현지화 제도로, 2017년부터 시행, ICV 최고 득점사에 최저입찰 가격 수용 여부 우선 타진

    - ADV(Abu Dhabi Value) 시행 검토 중 : ICV와 유사한 방식으로 아부다비 경제개발부 발주 공공프로젝트 입찰 건에 대해 아부다비 현지화 우수 기업에 우선협상대상 자격 부여 예정

 

□ 주요기업 현황

 

기관명

홈페이지

기관 정보

석유가스

ADNOC

(Abu Dhabi National Oil Company)

https://adnoc.ae/

- 1971년에 설립된 아부다비 국영 석유 회사로 Onshore, Offshore 석유∙가스의 생산∙개발∙관리, 플랜트 프로젝트 발주 담당

- 아부다비 내 주요 에너지 프로젝트 발주를 담당하고 있음

- 산하에 분야별 자회사를 두어 세부적인 업무 수행

ENOC

(Emirates National Oil Company)

https://www.enoc.com

- 1993년 두바이 투자청을 통해 두바이 정부에서 전액 출자한 석유∙가스 업체

- 정제유∙윤활유 등 저장 및 판매를 주로 하며, 최근에는 항공 관련 업무도 수행

대체에너지


FEWA

(Federal Electricity & Water Authority)

https://www.fewa.gov.ae

- UAE 연방 수전력청으로, UAE 북부지역의 수도와 전기 공급을 담당하는 기관

DOE Abu Dhabi

(Department of Energy)

https://www.doe.gov.ae

- 아부다비 에너지부로 2018년 아부다비 수전력청(ADWEA)와 합병

- 아부다비의 에너지 부문 정책∙준비∙실행 등 관장

DEWA

(Dubai Electricity & Water Authority)

https://www.dewa.gov.ae

- 두바이 수전력청으로, 두바이 내 수전력 관련 프로젝트 발주 및 기존 시설의 유지∙보수 관장

 

. 산업의 수급 현황

 

  ㅇ 석유∙가스 수급 현황

    - 2018년 UAE 석유생산량은 평균 300만b/d로 2017년(285만b/d) 대비 5.3% 증가한 수치임.

    - 이 중 아부다비에 약 94%의 석유가 매장되어 있으며, 두바이 4%, 샤르자 1.5%, 라스알카이마 0.5% 순으로 매장되어 있음.

    - 2019년 11월 신규 유전 발견으로 석유매장량 세계 6위, 천연가스 보유국 세계 6위가 되었으며, 2018년 생산량 기준 세계 7위임.

    - UAE 통계청에 따르면 국가 산업구조에서 석유∙가스산업이 GDP의 26%를 차지하며 국가 경제의 큰 축을 담당함.

      * 이외에는 무역∙도매업 11%, 금융 9%, 제조 9%, 건설 8%, 부동산 6%, 운송 6% 등의 산업으로 구성됨.

 

UAE 원유(Crude Oil) 수급 현황

(단위 : 0000 b/d)

구분

2015

2016

2017

생산

2,989

3,088

2,967

수출

2,501

2,408

2,379

자료 : UAE 통계청

 

UAE 천연가스 수급 현황

(단위 : 백만/CBM)

구분

2015

2016

2017

생산

92,942

94,100

95,521

수출

13,200

13,200

13,980

수입

22,908

22,400

22,389

자료 : UAE 통계청

 

  ㅇ 전력 수급 현황

    - UAE 전력 소비량은 매년 증가 추세이며, 대부분의 소비 전력을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있음.

    - 전력 수출은 주로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등 인접국으로 수출하고 있음.

 

UAE 전력 수급 현황

(단위 : GWh)

구분

2015

2016

2017

총발전량

127,366

129,596

134,553

내수

122,937

125,267

129,539

수출

19,439

19,955

20,894

자료 : UAE 통계청

 

UAE 태양에너지 수급 현황

(단위 : GWh)

구분

2015

2016

2017

태양열(CSP)

생산

243

261

257.3

태양광(PV)

생산

48.5

48

476.5

자료 : UAE 통계청

 

. 진출 전략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 중동지역 내 정치∙경제적으로 안정적인 국가로 꼽히며, 개방적인 비즈니스 환경 조성

- 풍부한 자원 매장량

- UAE의 산업다각화 정책 중 핵심 산업으로 정부의 투자 지속

- 에너지 산업에 지급하던 보험금을 중단함으로써 향후 자원 개발 가치 잠식

- 산업다각화 노력에도 불구 여전한 석유 의존형 경제구조

Opportunities

Threats

- UAE 정부의 적극적인 가스 자원 기반을 개방 의지

- 다운스트림 고도화 중으로 향후 발전 가능성 높음

- 미국 셰일 생산 급증, 세계 경제 둔화 등으로 전세계 원유 재고와 가격에 위협

 

□ 유망분야

 

  ㅇ 프로젝트 수주 확대 및 기자재 납품

    - 할리바 유전의 첫 상업유전개발 성공을 발판으로 향후 우리기업의 적극적인 UAE 유전 탐사∙개발∙생산 시도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

    - 유전 개발 및 시추 관련, 오프쇼어 플랜트∙탈황시설 수요 확대 기대

    - 우리 대기업 프로젝트 수주 시 관련 하도급 및 기자재 납품 기회 증가

 

  ㅇ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 및 현지 기업과 합작 필요

    - UAE 자국 산업 육성 정책으로 전력 기자재 중 상당 부분을 국산화함에 따라, 단순 전력 기자재 수출보다는 우리기업이 기술적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 수출 필요

    - 더불어 UAE가 에너지 분야의 자국 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단독 진출보다는 현지 기업과 합작기업 형태로 프로젝트 수주를 모색하는 편이 유리

 

 

자료 : ADNOC, UAE Government, UAE 에너지산업부, UAE 통계청, BMI, OPEC Annual Bulletin, Department of Energy, DEWA, FEWA, ENOC, 두바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에너지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