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전력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인도
  • 뉴델리무역관 오윤식
  • 2019-12-03
  • 출처 : KOTRA

- 세계 전력산업 불황 속에서도 인도 전력산업은 상승 추세 -

- 진출 시 현지 기업과의 협력으로 맞춤형 비즈니스 모델 개발 필요 -

 

 

  

. 산업 특성

 

정책 및 규제

 

  ◦ 전기법(Electricity Amendment Act, 2007)

    - 인도 전력부(Ministry of Power)는 기업간 경쟁을 도입하고 소비자의 이익을 보호하며 안정된 전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03615일부로 전기법을 시행하고 2007년 개정

    - 이 법은 1910년 전기법, 1948년 전기공급법, 1998년 전기규제위원회법을 종합하는 법으로 전력산업 장려를 목표로 함.

 

  ◦ 국가 전력요금 정책(National Tariff Policy, 2006. Revised Tariff Policy, 2016)

    - 기업 간 경쟁 촉진, 운영 효율성 및 전력공급 품질을 개선해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가격의 전력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2006년부터 시행됐으며, 2016년에 개정됨.

    - 양수력 발전소 프로젝트(Pumped Storage Projects: PSP)를 포함한 수력발전 추진으로 적절한 전력량 확보를 목표로 함.

 

  ◦ 대규모 전력 프로젝트(ULTRA MEGA POWER PROJECTS, UMPP)

    - 전력산업을 촉진하고 4,000MW의 전력량을 생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5년 출범한 대규모 전력 프로젝트(Ultra Mega Power Project)

    - 정부는 사산, 문드라, 크리슈나파트남, 틸라이야 총 네 개의 도시를 UMPP 대상지역으로 지정했으며, 타타전력(TATA Power)이 문드라 UMPP, 릴라이언스전력(Reliance Power)이 사산 UMPP를 각각 수주받아 전력을 생산하고 있음.

 

전력 공급 현황

 

  ◦ 전력 지속 공급계획(Deen Dayal Upadhyaya Gram Jyoti Yojana, DDUGJY)

    - 20157월 출범한 이 계획은 인도 시골지역에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110억 달러 규모의 정부 프로젝트로 기존의 전력 제공 프로젝트(Rajiv Gandhi Grameen Vidyutikaran Yojana, RGGVY)를 대체

    - 지역별 전력공급망을 분리하여 전력 분배 및 전송 인프라를 강화하고, 농촌 가구에 24시간 전력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

 

  ◦ 전국 가구 전력공급 계획(Pradhan Mantri Sahaj Bijli Har Ghar Yojana, SAUBHAGYA)

    - 총예산은 171000만 달러로 수혜자 가구에 LED 조명 1, DC 전원 플러그 1, 5년간 계량기 수리비용 및 유지관리 지원

    - 이 계획의 일부로 기존 인도 주택 3,000만 채에 전력을 제공하겠다는 목표는 20193월 기준 99.93% 달성

 

  ◦ 재생에너지정책(Renewable Energy Policy)

    - 인도 정부는 태양열, 풍력를 통해 2022년까지 175GW, 2030년까지 500GW의 재생 에너지를 확보할 계획

    - 20186월부터 사기업과 공공기관은 전체 에너지 사용량중 최소 17%를 재생에너지로 사용해야 하며, 정부는 이 기준을 2022년까지 21%로 상향할 계획

     - 2019 3월부터는 수력에너지가 재생에너지로 선정돼 구매 의무화 대상에 편입

 

  ◦ 해외직접투자(FDI) 관련 정책

    - 원자력을 제외한 에너지산업에 대해 해외직접투자금액 100%를 허용하나 전력거래분야의 해외직접투자는 최대 49%까지 허용

    - 중앙전력규제위원회(Central Electricity Regulatory Commission) 규정하에 해외직접투자 시 비거주 투자자 및 기업은 회사의 5% 이상 지분을 보유할 수 없으며, 인도증권거래소(Securities & Exchange Board of India, SEBI) 규정 및 관련 법률도 적용


전력시설부분 FDI

(단위: 백만 달러)

연도

2016-17

2017-18

2018-19

20194~6

금액

1,861

1,621

1,106

190

자료: 인도 상공부 산업무역진흥청(DPIIT)

 

최신 기술 동향

 

  ◦ 태양광 펌프와 같은 다양한 제품 활용

    - 20192월 승인된 농업 전력 생산 및 공급계획(Pradhan Mantri Kisan Urja Suraksha evem Utthan Mahabhiyan, PM KUSUM)2022년까지 175만 개의 오프그리드 태양광 펌프와 100만 개의 온그리드 태양광 펌프, 10GW의 태양광 펌프 활용 발전소를 시골 지역에 설치하는 것으로, 잔여 전력 판매를 통한 농가 소득 증대, 전기보조금 부담 감소, 재생에너지 생산용량 확대를 목표로 함.

    - 48억 달러 예산으로  농촌지역에 태양광 펌프를 설치하고, 관련비용은 중앙부처와 각 주가 각각 30%, 농업인은 나머지 40%를 부담

 

  ◦ 국가 지능형 전력망계획 (National Smart Grid Mission, NSGM) 활용

    - 인도 전력부가 인도 내 지능형 전력망 구축을 가속화 하기 위해 20153월부터 시행 중인 계획

    - 이 계획을 통해 기존 전력망에 ICT를 접목하여 전력정보를 양방향으로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친환경 전력 공급, 전기자동차 충전과 같은 다양한 부가서비스 가능

 

  ◦ 정부의 재생에너지 연구 가속화

    - 정부는 재생 에너지 개발 및 프로젝트를 위해 다양한 신규기술 활용 노력

    - 2018년부터 연구개발기관, 기업 및 NGO를 대상으로, 태양열, 풍력, 태양풍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수력 발전, 바이오가스, 수소 에너지 및 수소연료전지, 지열 등 관련 사업에 대한 재정지원 시행 

    - 정부·비영리 연구 기관에 최대 100%까지 지원하며, 기업 대상으로는 최대 50%까지 지원

 

주요 이슈

 

  ◦ 특정 제품 인증

    - 전력 관련 특정 제품은 인도표준국(Bureau of Indian Standards, 이하 BIS)의 ISI 인증을 필요로 함.

    - 인증은 스위치, 전기모터 등과 같은 전기장치에 의무적으로 부착돼야 하며 제품 적합성, 안전성, 안정성 등을 확인 및 증명함.

 

ISI 인증 의무대상 예시(전력 관련 품목)

연번

품목번호

품목

시행령

142

IS 1180

변압기(Transformers)

 Electrical transformers

S.O No. 1221 E('15.5.7' 시행)

143

IS 12615

인덕션 모터(Induction Motor)

Electrical transformers

S.O No. 3207 E('17.9.29' 시행)

144

IS 2993

커패시터 모터(Capacitor Motor)

Electrical transformers

S.O No. 2434 E('17.8.1 시행)

145

IS 13340

 전력 커패시터(Power Capacitors of Self-healing Type)

156

IS 13585

병렬 커패시터(Shunt Capacitors)

자료: 인도 표준국(BIS)

 

  태양광 등 일부 재생 에너지 제품 인증

    

ISS 인증 의무대상 예시(태양광 관련 품목)

연번

품목번호

품목

시행령

1

IS 14286

크리스탈 실리콘 광전지 모듈(Silicon Crystalline Terrestrial Photovoltaic Modules )

Electrical transformers

S.O No. 2920 E('17.8.30. 시행)

2

IS 16007

박막 광전지 모듈(Thin-Film Photovoltaic Modules )

3

IS 16221

광전지 변환기(Power Converters in photovoltaic)

 Electrical transformers

S.O No. 1602 E('18.4.16. 시행)

4

IS 16169

태양광 인버터(Photovoltaic Inverters)

Electrical transformers

S.O No. 2183 E('18.5.30. 시행)

5

IS 16270

저장 배터리(Storage Battery)

Electrical transformers

S.O No. 5259E('18.10.12. 시행)

자료: 인도 표준국(BIS)

인도 주요기업 현황

 

기업명

사업분야

세부 내용

2018-19 매출액

National Thermal Power Corporation

(NTPC)

석탄, 가스, 수력, 풍력에너지 발전

- 1975년 설립된 인도 최대 에너지 대기업

- 총 발전용량은 57,106MW으로, 석탄발전소 23, 가스발전소 7, 하이브리드 발전소 2, 풍향발전소 1개 및 11개의 태양열 발전소 보유

- 인도 전체 발전량의 22.74%를 차지하며 지분 중 44%는 공공기관, 은행이 보유

1317,000만 달러

Power Grid

송전

- 1989년 설립된 인도 공기업으로, 인도에서 가장 큰 전력송전사업을 진행하며, 인도 전체 송전량의 약 50% 담당

- 총 지분의 44.63%는 개인투자자 및 타 기업이 보유

- 160,937km거리에 383,273MVA를 송전하며, 인도 105개 도시 내 688곳을 연결

5억 달러

Adani Power

화력, 태양열 발전

- 최대 12,450MW를 생산할 수 있는 인도 최대 민간 화력발전소로 구자라트주, 마하라슈트라주를 포함한 5개의 주에서 화력 발전소 운영

- 구자라트주에서 40MW 용량의 태양열 발전소를 운영하고, 2022년까지 197,000만 달러를 투자해 1,600MW 용량의  화력 발전소를 추가 설립 예정

376,000만 달러

Jindal South West Energy(JSW Engergy)

전력 발전, 송전

- 1994년 설립된 발전, 송전, 전력거래 기업

- 4541MW의 전력을 생산하며, 이중 3140MW는 화력, 1391MW는 수력, 10MW는 태양열 발전으로 생산

78,300만 달러

Nuclear Power

Corporation of India

(NPCIL)

원자력 발전

- NPCIL은 인도 원자력부(Department of Atomic Energy, DAE) 관리하에 원자력 발전을 담당하는 인도 공기업

- 6,780MW 규모의 상업용 원자로를 운영하며, 비등수형 원자로, 압축수형 원자로 등 총 22개의 원자로를 보유

179,000만 달러

자료: 각 사 홈페이지 종합

 

. 산업의 수급현황

   

수입정책

 

   ◦ 관세 부과 현황

     - 인도 정부는 자본재 수출진흥정책(Export Promotion Capital Goods, EPCG)을 통해  특정제품 생산을 위한 일부 제품 수입 시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으나,  20181월 대외무역총국(Directorate General of Foreign Trade, DGFT)의 대외무역정책 개정안에서 관세 미부과 불가방침을 발표한 바 있음.

     - 이에 따라 전력부문 일부 제품 수입시 고율의 관세 부과

 

전력수입량(단위: GWh)

연도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전력

5,598

5,008

5,244

5,617

5,611

자료: 인도 통계부(MOSPI) 

 

관련 품목 관세

품목

HS CODE

관세율

CEPA 미적용 시

CEPA 적용 시

태양광 전지

8541.40.11

18.0%

미해당

모터

8501

27.7%

18.0%

발전장치

8502

27.7%

18.0%

모터 및 발전장치 관련부품

8503

27.7%

미해당

변압기

8504

30.98%

18.0%

자료: 인도 관세·간접세 중앙위원회(Central Board of Indirect Taxes and Customs, CBIC)
 

   ◦ 재생에너지 장비 관세 현황

     - 20198, 신재생에너지부 장관은 자국 기업 보호 및 제조업 증진을 위해 재생에너지 장비에 대한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

    - 관련 제품의 수입 급증으로 인해 정부는 2018730일부로 중국과 말레이시아에서 수입되는 태양전지 및 모듈에 대해 첫 해는 25%, 6개월후 20%, 15%의 보호관세 부과

     - 이후로 유리부속품, 태양전지 등 재생에너지 장비 부품에 대해 관세장벽이 더 높아질것으로 전망되며 인도 표준국(BIS)과 신재생에너지부의 승인을 받은 태양전지 모듈에 대해서만 수입이 허용될 것으로 전망

 

인도 진출 및 수출현황

  

   ◦ 한국

     - 한국으로부터 재생에너지 저장장치 수입 증가 추세로 올해 8월 기준 한국 제품의 對인도 수출금액은 약 1,900만 달러로 전년비 한 계단 상승한 6위 달성

     - 20198월 기준 변압기, 전환기 등 전력부분 제품(HS code: 8504)의 인도 수출액은 약 3,600만 달러 기록

     - 최근 수년간 우리 기업의 인도 발전소 건설 및 발전정비 사업 수주로 인한 관련 수요 증가 전망

 

   ◦ 그 외 국가

     - L&T-MHPS은 인도의 라센&투브로(Larsen & Toubro)사와 일본의 미쓰비시 히타치 전력시스템(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MHPS)의 합작법인으로 20074월 인도 구자라트주에서 4,000MW의 전력생산

     - GEGE전력 인도법인 설립 이후 2억달러를 투자하여 구자라트주에서 원자력 터빈, 발전기 생산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5GW의 전력을 생산 중

 

. 진출 전략

 

SWOT 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한국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발전기반기금 지원 등 국가 차원의 신재생에너지 관심도 상승

- 선도기업의 인도 진출이 가시화되며, 관련 기업, 공급기업 등의 인도 진출 기회 증가

- 신재생 에너지 제품 및 관련 제품의 높은 관세로 인해 우리 기업의 가격경쟁력이 낮음

- 국내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이 1.5%로 해외 진출 경험에 비해 재생에너지에 대한 활용 경험이 상대적으로 낮음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 국가차원의 관련 계획 및 정책을 통한 전력산업 발전 노력

- 인도 내 송전·배전설비 수요는 2023년 까지 158억 달러, 재생가능 발전소에 대한 투자는 2022년 약 800억 달러, 2030년에는 약 2,500억 달러가 예상되는 등 긍정적 전망

- 송전·배전 인프라 등, 전력산업 인프라에 대한 투자 지연

- 열악한 인프라로 인해 세계 평균 8%보다 높은 23%의 송전 손실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동시에 관련 비용도 상승

 

유망분야

 

   ◦ 신재생 에너지

     - 인도 정부의 전력 인프라 확충 목표에 따라 한국기업이 전기차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지능형 전력망, 차량용 전기 충전소 설치 등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태양광, 풍력,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전력망과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전환기, 변압기 등 관련 제품 수요 증가

 

  ◦ 자동화 시스템

     - 자동 송배전 시스템을 통한 전압 제어, 이용 및 모니터링 등이 가능하며, 이를 기반으로 인도의 전력 부족문제 해결을 위한 에너지 관리 서비스 수요 발생

     - 따라서 송전, 변전 자동화 소프트웨어와 이를 관리, 제어할 수 있는 자동화 플랫폼 서비스 및 관련 장비 수요 증가


시사점

 

   ◦ 전력산업에 대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 세계적인 전력산업 불황 속에 인도는 2017-2018년 회계연도 대비 소폭 증가한 6.2%의 성장률 기록

     - 정부는 고효율의 전력생산 및 분배를 지향하며 전력 지속 공급계획, 신재생 에너지 정책 등과 같은 다양한 미래 계획 시행

     - 중국과 인도 제품의 가격경쟁력 대비, 기업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품질 제품 수요에 대응

 

   ◦ 인도 현지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

     - 인도 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은 국가계획,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전력장비 및 부품을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따라서, 인도 내 대형 고객 및 현지기업과 합작투자하거나 현지 제조업체와 제휴하는 방식의 사업추진 필요

     - 해외 수출과 동시에 정부 및 민간 전력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해외법인 설립 필수

 

작성자 : KOTRA 뉴델리 무역관 Jaya Soin (jaya@ktcdelhi.net)


자료: 인도브랜드자산재단(IBEF), 인도 전력부(Ministry of Power), 인도 상공부(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인도 통계부(Ministry Of Statistics and Programme Implementation), 인도 상공부 산업무역진흥청(Department for Promotion Of Industry and Internal Trade, DPIIT), 인도국가표준인증(BIS) 보고서, 전력거래소(Smart KPX), Global Trade Atlas, BP 2019년  세계에너지 통계 보고서(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인도 관세·간접세 중앙위원회(Central Board of Indirect Taxes and Customs, CBIC)  KOTRA 뉴델리 무역관 직접 작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전력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