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네시아 산업 개관
  • 국별 주요산업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허유진
  • 2019-11-28
  • 출처 : KOTRA

인도네시아 산업 개관

 



□ 산업 구조


  ㅇ 인도네시아는 전통적으로 제조업으로 국가 성장을 이뤘으며 아세안 시장에서 서비스산업 규모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로 손꼽히고, 규모 면에서도 독보적으로 잠재력이 큰 시장임.


  ㅇ 인도네시아 정부의 산업 분류는 제4차 개정 국제표준산업분류(ISIC)에 따르며, 해당 표준은 2017 인도네시아 산업 분류(Klasifikasi Baku Lapangan Usaha, KBLI)에 적용됐음.  

 

  ㅇ 2015년에 인도네시아 산업분류(KBLI)의 개정이 있었고, 인도네시아 통계청장령 2017년 제 19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산업 분류 체계로 개편했으며, 2019년 현재까지도 해당 분류 체계에 입각해 산업별 GDP가 산정되고 있음.

(A)농림어업, (B)광산업, (C)제조업, (D)전기 및 가스 사업, (E)수도/폐기물 사업, (F)건설, (G)도매업/차량정비, (H)교통 및 물류 창고 (I)요식업, (J)정보통신업, (K)금융업/보험업, (L)부동산업, (M, N)회사 서비스, (O) 정부 행정 및 사회보장시스템, (P)교육서비스, (Q)헬스케어 서비스/사회활동, (R,S,T,U)기타 서비스 등

 

  ㅇ 인도네시아의 산업별 GDP 점유율은 전체 국가 GDP를 기반으로 산정됐으며, 최근 5년간 인도네시아 GDP 규모 및 경제성장률은 다음과 같음.  

 

자료 : 인도네시아 중앙 통계청(BPS), EIU(2019.10)

 

  ㅇ 인도네시아의 1, 2, 3차 산업 분류는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기준에 따라 분류했으며, 1, 2, 3차 산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음.


  ㅇ 최근 3~5년 간 전자상거래 시장, 라이드헤일링(Ride-hailing) 시장, 전자지갑(E-Wallet) 시장 등 ICT 기술에 기반한 온디멘드(On-demand)형 사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테크 기반의 서비스 산업이 발전해나가고 있음.


  ㅇ 인도네시아 정부는 4차 산업과 관련하여 IoT 개발을 통한 스마트 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추세이며, 아직까지는 개발 초기 단계임.

자료 : KOTRA 자카르타무역관 보유 자료

 

ㅇ최근 5년간 1,2,3차 산업 중 GDP 점유율이 가장 높은 분야는 세부 산업이 밀집된 서비스 산업임.

1차 산업의 GDP 점유율이 2.3%p 감소했고 2차 산업의 GDP 점유율은 1.1%p 감소했으며, 3차 산업의 GDP 점유율은 0.1%p 감소한 반면에 세금 등 기타 요인은 1.5%p 증가했음.


 

* 산업 분류 기준 :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및 중앙통계청(BPS) (2019.10)

자료 : Tech in Asia Indonesia, Jakarta Globe,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통계청(BPS)

 

  ㅇ 인도네시아의 산업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제조업으로 2018년 기준, 전체 GDP 20%를 차지하며, 농림어업 분야가 12.8%, 건설 분야가 10.5%, 광산업이 8.1%, 금융업/보험업이 4.2%를 차지했음.


  ㅇ 2018년 제조업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식음료 분야(31.5%)이며, 그 다음으로 석탄·석유·가스분야(11.3%), 수송기기(8.9%), 금속·전자·광학기기·전력기자재(8.7%), 화학 및 의약품(8.1%) 순서로 차지 비중이 높음.

    - 제조업에서 직물/의류 산업의 경우 다년간 임금상승, 설비 노후화 및 인프라 부족 등으로 인해 생산성이 크게 하락하면서 현지 제조공장 철수 현상 지속


  ㅇ 2018년의 경우 서비스, 정보통신업, 보건의료서비스, 물류산업 및 교통시설, 전기·가스 등 여러 분야가 큰 폭으로 성장했고, 부동산, 건설 등의 성장 속도가 상대적으로 둔화됐음.

 

자료 : 인도네시아 중앙 통계청(BPS) (2019.10)

 

□ 산업 정책


  ㅇ 2015~2035년 인도네시아 국가 산업 개발 계획

    - 유도요노(Yudhoyono) 전 정부가 발표한 2011~2025년 경제발전 마스터플랜(MP3EI)에 이어 조코위 정부는 2015년에 국가 산업 개발 주요 계획(RIPIN)을 발표했음.

    - 이 마스터플랜은 6대 핵심 산업으로 식품, 화장품·의약품, 섬유, 교통, 전자·정보통신, 전력산업을 지정하고 2015년부터 2035년까지 20년 동안의 개발 전략 수립 

 

인도네시아 국가 산업 개발 주요 계획(RIPIN)

(1) 인도네시아 정부는 2035년까지 산업 강국으로 발전하기 위한 마스터 플랜으로, 2015~2035년 국가 산업개발 주요 계획(RIPIN) 수립·추진 중   

(2) 6대 핵심 산업군으로 중장기적인 내수 증가 전망과 개발 잠재력, 일자리 창출기여도를 바탕으로 식량, 화장품 및 의약, 섬유, 교통, 전자 및 정보통신, 전력산업이 선정됨.

(3) 식량, 섬유, 의약 및 전력산업 등은 현재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며, 향후에도 내수 충족을 위해 개발이 매우 절실한 산업군에 해당

(4) 전자 및 정보통신과 교통수단산업은 혁신과 기술 고도화뿐만 아니라, 연결망을 확충해 사회간접자본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산업군에 해당

(5) 추가적으로 보조산업(자본재, 부품, 부자재산업) 및 상공정산업(농업, 광물, 석유가스 및 석탄)을 지정, 핵심 산업과의 교류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 기대

자료 : RIPIN

 

  ㅇ 2017~2019년 3개년 주요 산업 개발 계획

    - 인도네시아 대통령령 2018년 제 2호를 통해 발표된 해당 산업 개발 계획은 주력 산업 집중 개발, 산업에 투입되는 원부자재 및 인력 확보, 산업 시설 및 인프라 개선, 산업 강화, 중소기업 산업 육성, 산업 개발 촉진을 위한 인센티브 및 산업단지 구축을 주요 골자로 하며 이는 국가산업개발계획(RIPIN)과도 일맥상통함*

   * 2019 10월 기준으로 이에 대한 개정본은 없음.

    - 3개년 10대 주력 산업 분야의 육성을 위해 중소기업(IKM-Industri Kecil dan Menegah)의 역량 강화가 요구됨.

    - 정부는 산업에 디지털 플랫폼(e-smart IMK)과 사물인터넷(산업 4.0)을 접목해 중소기업의 마케팅의 질적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계획

 

자료 : 대통령령 2018년 제 2

 

  ㅇ 메이킹 인도네시아 4.0 로드맵(Making Indonesia 4.0 Roadmap)

    - 인니 산업부는 인도네시아 디지털 경제 개발의 근간이 될 메이킹 인도네시아 4.0 로드맵(Making Indonesia Industry 4.0 Roadmap) 2018 4 18일에 발표하였으며, 이 로드맵을 통해 디지털 기술, 바이오 산업, 하드웨어 자동화 등의 주요 혁신을 계획하고 있음.

    - 인니 산업부의 아이르랑가 하르따르또(Airlangga Hartarto) 장관은2018 4 18일 개최된 산업 4.0 세미나에서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비즈니스 모델로의 혁신과 변화는 업계의 산업 4.0 로드맵 구현이며, 이 산업 혁명은 국가 산업 부문의 국가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가속화할 것이라고 언급

    - 특히, 아이르랑가 장관은 산업 분야에서 정보 통신 기술 (ICT)을 적용한 혁신에는 온라인 문서 승인 시스템을 사용하여 작업 완료를 제어하는 활동이 해당되며, 이러한 산업계의 ICT 접목 활동은 시간 및 금전적 비용 절감을 불로 일으켜 현지 생산 제품의 국가 경쟁력을 높이게 될 것이라고 강조 

 

  ㅇ 투자 유치 확대 주요 정책(1) : 외국인 근로자법 개정

    - 외국인 근로자법 개정을 위한 노동부장관 칙령 2019년 제 228(Keputusan Menteri Ketenagakerjaan Nomor 228 Tahun 2019) 제정 (2019 8)

    - 해당 칙령은 노동부 장관령 2018년 제 10호에 대한 시행세칙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 개선 및 투자 촉진을 위해 외국인 근로자에게 허용되는 종사 가능 업종을 확대

    - 외국인은 18가지의 업종에서 2,000개 이상의 직책을 가지고 사업활동을 수행할 수 있음.

    - 법에 명시된 직책은 국제 노동 기구(ILO)에서 발간한 ISCO(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기준임.

 

외국인에게 허용하는 사업 종류와 직책의 수

업종

외국인 가능 직책 수

(1) 건설

181

(2) 부동산

6

(3) 교육

780

(4) 제조, 가공산업

70

(5) 수처리, 폐수처리, 재활용, 복원 사업

19

(6)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57

(7) 물류 및 창고업

51

(8) 요식업

12

(9) 농림어업

10

(10) 대여, 인력 관련, 여행사, 기타 지원 서비스

3

(11) 금융 및 보험 산업

32

(12) 보건의료 및 사회활동

4

(13) 정보통신

244

(14) 광산업

592

(15) 도매업, 소매무역, 차량 유지보수

46

(16) 전력, 가스, 지열, 공기 냉각

40

(17) 기타 서비스

8

(18) 전문적, 과학, 기술 활동

20

자료 : Asia Briefing(2019.10)

 

  ㅇ 투자 유치 확대 주요 정책(2) : 선도산업에 대한 법인세 감면

    - 외국인 근로자법 개정을 위한 노동부장관 칙령 2019년 제 228(Keputusan Menteri Ketenagakerjaan Nomor 228 Tahun 2019) 제정 (2019 9)

    - 해당 칙령은 노동부 장관령 2018년 제 10호에 대한 시행세칙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 개선 및 투자 촉진을 위해 외국인 근로자에게 허용되는 종사 가능 업종을 확대

    - 외국인은 18가지의 업종에서 2,000개 이상의 직책을 가지고 사업활동을 수행할 수 있음.

    - 법에 명시된 직책은 국제 노동 기구(ILO)에서 발간한 ISCO(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기준임.


인도네시아 18대 선도산업

 (1)금속 산업(Upstream 산업): 강철 또는 비강철

(2)석유 및 가스의 정제/정유산업

(3) 석유, 천연가스 또는 석탄을 기반으로 하는 석유 화학 산업

(4) 농업, 임업에서 파생된 유기 기초 화학 산업

(5) 무기의 기초 화학 산업

(6) 제작 원료 산업

(7) 방사선, 전기 치료 장비 제조

(8) 반도체 웨이퍼, LCD (Liquid Crystal Display)용 벡라이트, 전기 드라이버, 전기 드라이버 혹은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자 혹은 텔레메틱스 제품의 주요 부품

(9) 산업 기계 주요 부품 및 기계 제조 산업

(10) 생산 기계 제조 산업을 지원하는 로봇 부품 제조

(11) 발전기 주요 구성품 제조

(12)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제조 산업

(13) 선박의 주요 구성 요소의 제조 산업

(14) 주요 열차 구성품의 제조 산업

(15) 주요 항공기 부품 및 우주 항공 산업 지원 활동

(16) 농업, 인공림 또는 임업에 기초한 가공 산업 농업, 펄프 기반 제품

(17) 경제 기반 시설

(18) 데이터 처리, 호스팅 및 이와 관련된 활동을 포함하는 디지털 경제

※자료 : PMK Nomor 35 Tahun 2018 (2018.12)

 

자료원 : KOTRA 자카르타무역관 보유자료, KOTRA 국가정보, 2019년 인도네시아 진출전략보고서, Asia Briefing, Tech in Asia Indonesia, Jakarta Globe,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통계청(BPS),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산업 개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