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파키스탄 농업산업
  • 국별 주요산업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정주헌
  • 2019-10-17
  • 출처 : KOTRA

가. 산업 특성

 

정책 및 규제

 

  ㅇ 농업 생산성 및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국가 식량안보 정책수립 및 이행

    - 농업은 2017/18 회계연도 기준 파키스탄 GDP18.5%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의 약 38.5%가 종사하는 주요 산업에 해당함.

    - 파키스탄 정부는2017년 당시 농업 분야 성장을 위한 계획으로 국가 식량안보 정책(National Food Security Policy)를 발표하고 식량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농업 성장률 목표를 연 4%로 지정

    - 목표 달성 방안으로 농업 지역 인프라 확충, 비료 보급, 안전한 살충제 사용, 종자 개발 등을 통해 전반적인 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국가 식량안보 정책 주요 내용

    , , 옥수수 등 주요 작물의 생산성 향상

    그로 인해 발생한 잔여 자원은 아몬드, 키위, 포도 등 고부가가치 작물 생산에 활용

    안전한 식품 생산을 위한 혁신적인 농업 진흥 방안 개발

    지속적인 농업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적정 가격 지표 제시

    농장 간 생산량 격차 해소 및 농업 수익성 보장

자료: Ministry of National Food Security & Research

 

  ㅇ 총리 직속 농업 분야 전담반을 구성해 긴급 농업 육성 프로그램운영

    - 파키스탄 임란칸 총리는 20197월 농업 분야 직속 전담반을 구성하고 긴급 농업 육성 프로그램(National Agriculture Emergency Programme)을 발표

    - 해당 프로그램의 범위는 축산업, 어업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작황 개선을 위한 사탕수수 및 쌀 등 핵심 작물 생산성 향상, 수자원 저장소 건설, 종자 생산 증대 등 3천억 규모의 16개 프로젝트가 진행됨.

    특히 수자원 활용도 개선은 매우 시급한 문제로 관련 정책들이 빠르게 시행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계획된 주요 수자원 관리 프로젝트들은 아래 표와 같음.

 

2018/19회계연도 파키스탄 주요 수자원 관리 프로젝트

(단위: MAF, mil PKR)

프로젝트명

위치()

저장능력

투입예산

Basha Dam

Khyber Pakhtunkhwa,

Gilgit Baltistan

6.40

479,000

Gomal Zam Dam

Khyber Pakhtunkhwa

0.892

20,626

Kachhi Canal (Phase-I)

Balochistan

미확인

80,352

Darawat Dam

Sindh

89,192

(Ac.Ft)

9,300

Nai Gaj Dam

Sindh

160,000

(Ac.Ft)

26,236

KurramTangi Dam

Khyber Pakhtunkhwa

0.9

21,059

Naulong Dam

Balochistan

0.2

18,027

Mohmand Dam

Khyber Pakhtunkhwa

0.676

114,285

Right Bank Outfall Drain

Sindh, Balochistan

미확인

90,294

자료: Ministry of Planning, Development and Reform

 

최신 기술 및 동향

 

  ㅇ 트랙터 제조업 성장을 필두로 한 농업 기계화 트렌드

    - 현재 파키스탄 정부는 트랙터, 불도저, 컴바인 수확기, 탈곡기 등 양질의 농업 기계를 확보하여 적절한 가격에 제공함으로써 농업 기계화를 이끌고자 함.

    - 특히 꾸준히 트랙터 제조업을 발달시켜온 결과로 Ghazi Tractors, Millat Tractors 등 현지 주요 업체에서 매년 약 4~5만대의 트랙터를 생산

    - 현지 생산된 트랙터 가격대는 75마력 기준 세금 포함 약 110만 파키스탄 루피로, 이는 2019 9월 환율 기준 약 7,000달러에 해당하며 수입 트랙터 대비 50% 정도 저렴한 장점을 지님.

    - 그러나 2019년도 기준 파키스탄 전역에서 가동되는 트랙터는 약 63만대로, 정부에서 추정한 필요 공급량 대비 6% 정도에 불과한 수준임.

 

  ㅇ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관개 시설 정비

    - 파키스탄의 작물 재배 시기는 크게 쌀, 옥수수, 면화, 사탕수수 등이 생산되는 4~9월경의 카리프(Kharif)와 밀, 보리, 녹두 등이 생산되는 10~3월 경의 라비(Rabi)로 나뉨

    - 파키스탄의 몬순(7~9) 시즌 평균 강우량은 약 140mm로 알려져 있으나 2018년도에는 96mm에 그치는 등 전반적으로 농업에 활용 가능한 물이 부족한 상황이 발생

    - 이는 수자원 활용률이 낮은 농업 환경에 즉시 반영되어 2018년 카리프 시즌 전체 작물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함.

    - 이처럼 열악한 수자원 활용 부문을 개선하고자 파키스탄 정부는 2018년 국가 수자원 이사회(National Water Council), 수자원 정책 이행 위원회(Water Policy Implementation Committees)를 설립하고 각종 프로젝트 계획을 수립

    - 현재 펀잡주, 신드주를 포함하여 파키스탄 전역에 위치한 주요 관개 수로를 정비하기 위해 2018/19 회계연도 기준 약 32억 파키스탄 루피가 투입되었음.

 

주요 이슈

 

  ㅇ 고품질 비료 확보를 통한 작물 재배 생산성 향상

    - 파키스탄 정부에서 2018/19 회계연도 기간 시행한 LNG 보조금 지원, 세금 인하 등의 정책으로 인해 Agritech Fatima Fertilizer 등 현지 비료 제조업체의 공장 가동률이 향상됨.

    -  그로 인해 2018 7~2019 3월 기간 비료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하였으며, 동 기간 수입 비료 또한 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비료 사용률은 오히려 7.3% 감소하여 보조금 등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비료 가격은 여전히 농민들이 사용하기 부담스러운 수준임을 보임.

    - 현재 비료 공급 촉진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주요 정부 지원사항은 아래와 같음.

 

2018/19 회계연도 비료 관련 주요 지원사항

① 현지에서 거래되는 모든 비료 품목에 대해 2%의 균일한 일반 판매세(GST) 적용

② 수입 요소(Urea) 105,000톤에 대해 각 포대 당 1,292PKR( 8USD)의 보조금 지원

③ 국내 요소(Urea) 생산에 대해 각 포대 당 714PKR( 5USD)의 보조금 지원

자료: Pakistan Economics Survey 2018-19


  ㅇ 수입 종자를 대체할 국산 우량 품종 개발 및 확산

    - 세계종자협회(International Seeds Federation, ISF)에 따르면 최근 3년간 파키스탄 연 평균 종자 수입액은 약 7,000만 달러에 해당함.

    - 특히 20187~20193월 기간 오일시드, 채소, 사료용 식물, 감자 종자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등 외국산 종자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됨.

    - 현지 종자 유통업체 Rashid Seeds 사에 따르면 향후 8~10년 안에 국산 종자 개발에서 뚜렷한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 파키스탄 전체 농업 비용이 약 2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파키스탄 국가종자위원회(National Seed Council, NSC) 에서는 종자 생산 연구 및 품질 관리에 지속적인 자원을 투입하며 우량 종자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파키스탄 종자 공급 현황

(단위: ha, MT)

품종

경작지

종자 공급

공공부문

사기업

수입

전체

8,945

42,934

386,407

-

429,341

면화

3,200

1,197

55,783

-

56,980

2,805

4,312

52,601

2,756

59,669

옥수수

1,170

237

1,222

12,776

14,235

오일시드

830

-

-

72

72

채소

280

-

-

2,123

2,123

사료용 식물

2,038

-

-

11,659

11,659

감자

166

-

-

2,397

2,397

Total

20,619

48,690

497,404

31,783

577,877

자료: Pakistan Economics Survey 2018-19

 

  ㅇ 농업 분야 신용 대출 등 금융 지원 확대

    - 농업 신용자문위원회(Agricultural Credit Advisory Committee, ACAC) 2018/19 회계연도 기준 1250억 루피의 농업 분야 신용 대출 목표를 설정함.

    - 이후 파키스탄 내 상업은행, 소액 금융기관 등을 포함한 50개 금융기관을 통해 2018 7월부터 대출이 이행되었으며, 2018 7월부터 2019 3월까지의 기간 동안 해당 목표의 64.4% 8,050억 루피가 대출되었음.

    - 그로 인해 농업 분야 금융 혜택 수혜자는 2018 6 372만명에서 2019 3 400만명으로 약 8.2% 증가한 상황

    - 이 외에도 파키스탄 국립 은행(State Bank of Pakistan, SBP)은 각 주정부와 협업하여 소규모 및 소외 농민을 위한 신용 보증 제도 구현, 대출자를 위한 농작물 수확량 보험 개발 등 다양한 방면으로 지원을 시도하고 있음.    

 

주요 농업 관련 기업 현황

기업명

주요 특징

홈페이지

Four Brothers Farm

- , 밀 등 농작물을 재배하는 현지 농업 기업

- 수확량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최신 기술 접목

www.4bgroup.com

Star Farm

- 중국계 농업 식품 생산 및 유통 기업

- 파키스탄 정부 및 기업 대상 농업 컨설팅 제공

www.starfarm.pk

Mitchells Fruit Farm

- 1933년 설립된 현지 농업 식품 가공 기업

- 일부 생산품은 영국 및 중동지역으로 수출

www.mitchells.com.pk

Punjab Agriculture & Meat Company

(PAMCO)

- 펀잡주 정부 소유의 비영리 연구개발 기관

- 라호르 지역을 중심으로 농업 생태계 조성

www.pamco.bz

Murshid Farm Industries

- 1965년에 설립된 농기계 제조 및 유통 업체

- 현지 중고 농기계를 주변국에 수출하기도 함

www.mfipk.com

자료: 카라치무역관 자체 조사

 

나. 산업의 수급 현황

 

ㅇ 농업 생산량 및 수출입 규모 지속 증가

    - 파키스탄 주요 4대 작물 생산량은 지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작물에 해당하는 사탕수수의 생산 증가율은 최근 3년간 연평균 12.8%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됨.

    - 생산량 증가에 따라 수출 규모 또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2017/18 회계연도의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4% 증가한 수치를 나타냄.

    - 수출 및 수입 항목의 경우 주요 작물인 밀(HS Code 1001), 옥수수(HS Code 1005), (HS Code 1006), 사탕수수(HS Code 1701) 품목 기준 산출한 통계이므로 해석에 주의를 요함.

 

파키스탄 주요 작물 통계

(단위: , 천달러)

구분

2015/16

2016/17

2017/18

생산()

103,187

115,139

121,761

- 사탕수수

65,482

75,482

83,333

-

6,801

6,849

7,450

-

5,271

6,134

5,902

- 옥수수

25,633

26,674

25,076

수출(천달러)

1,843,679

2,093.574

2,750,020

수입(천달러)

86,827

82,035

115,811

자료: Ministry of Finance, Global Trade Atlas

 

다. 진출 전략

 

SWOT 분석

 

강점

약점

ㅇ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

ㅇ 인구 2억의 거대 내수시장

펀잡주 등 비옥한 농업 지대 보유

ㅇ 불안정한 에너지(전기, 가스) 공급

ㅇ 농업 종사 인력의 낮은 교육 수준

ㅇ 타 산업대비 부족한 금융 지원 제도

기회

위협

ㅇ 지속적인 농업 산업 부흥 정책 개발

ㅇ 생산성 향상을 위한 농업기계화 요구 증대

ㅇ 수자원 활용을 위한 건설 프로젝트 시행

ㅇ 높은 종자 수입 의존도

ㅇ 루피화 가치 하락에 따른 수입부담 증가

IMF 경제위기에 따른 이자율 상승 등

자료: 카라치무역관 자체 조사

 

유망분야

 

  ㅇ 질산 (HSCODE: 280800)

    - 현지에서 질산은 주로 농업용 비료 생산을 위한 질산 암모늄 합성에 사용되며, 그 외에도 의약, 염료, 살충제, 전기 도금 등 여러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됨.

    - 2018년 기준 질산 수입시장 규모는 약 102만 달러로, 한국산 제품은 높은 품질을 기반으로 수입 시장 점유율 1(73.61%)를 차지함.

    - 현지 바이어 인터뷰에 따르면 파키스탄에서 한국 질산의 품질은 타 국가 대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품질대비 가격 경쟁력 또한 높아 꾸준한 수요가 있음.

    - 그 뒤를 이어 인도(2, 22.76%), 말레이시아(3, 1.70%) 등이 주요 수입국으로 분류되나 1위와의 격차는 매우 큰 편임.

 

파키스탄 질산 수입 동향

(단위: 달러, %)

연번

수입 대상국

2016

2017

2018

수입규모

점유율

증감율

1

한국

681,962

793,550

1,022,020

73.61

28.79

2

인도

293,567

266,188

315,946

22.76

18.69

3

말레이시아

15,128

30,953

23,560

1.70

-23.88

4

일본

1,563

13,434

11,474

0.83

-14.59

5

독일

7,950

17,081

9,273

0.67

-45.71

6

프랑스

1,821

1,156

4,599

0.33

297.84

7

중국

8,577

15,220

1,203

0.09

-92.10

8

벨기에

-

-

278

0.02

-

-

기타

53,771

55,366

-

-

-

1,064,339

1,192,948

1,388,353

100

-16.38

자료: Global Trade Atlas

: HS Code 280800 기준

 

  ㅇ 살충제 (HSCODE: 380891)

  - 안정적인 살충제 사용은 파키스탄 내에서 비료 보급과 함께 농업분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음.

    - 파키스탄 살충제 수입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약 8,835만 달러에 해당하며, 중국이 5,204만 달러로 수입 시장 점유율 1(58.90%), 이어서 인도가 1,296만 달러로 2(14.67%)를 차지하고 있음.

    - 한국의 경우 186만 달러로 수입 시장 점유율 8(2.11%)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7년 대비 수입 규모가 대폭 증가한 것이 두드러짐.

 

파키스탄 살충제 수입 동향

(단위: 달러, %)

연번

수입 대상국

2016

2017

2018

수입규모

점유율

증감율

1

중국

37,839,026

42,893,328

52,040,740

58.90

21.33

2

인도

6,099,467

10,135,808

12,964,672

14.67

27.91

3

미국

1,609,734

2,508,259

4,039,401

4.57

61.04

4

말레이시아

2,779,503

3,839,445

2,613,189

2.96

-31.94

5

덴마크

706,871

812,605

2,399,695

2.72

195.31

6

오스트레일리아

1,889,964

1,737,978

2,382,188

2.70

37.07

7

독일

839,067

1,966,385

2,099,756

2.38

6.78

8

한국

3,008

245

1,860,489

2.11

759,283.27

9

일본

1,409,384

684,857

1,481,617

1.68

116.34

10

인도네시아

2,956,162

3,978,872

1,307,393

1.48

-67.14

-

기타

5,664,021

6,617,163

5,163,595

5.84

-22.0

61,796,207

75,174,945

88,352,735

100

-17.53

자료: Global Trade Atlas

: HS Code 380891 기준

 

 

자료원: Federal Board of Revenue, Pakistan Customs Tariff,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State Bank of Pakistan, Pakistan Board of Investment, Ministry of Finance, Federal Seed Certification & Registration Department, 파키스탄 종자 시장 트렌드, Business Recorder, The Dawn, Global Trade Atlas,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KOTRA 카라치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파키스탄 농업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