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모잠비크 산업 개관
  • 국별 주요산업
  • 모잠비크
  • 마푸투무역관 고일훈
  • 2019-08-23
  • 출처 : KOTRA

- 제조업 등 산업기반 미약해 농수산업, 광산업 등 1차산업 비중 높은 편 -

- 2016년 산업육성정책 발표, 농식품, 섬유, 금속, 화학, 제지 산업 중점 육성 -




□ 산업구조


  ㅇ (산업분류) 모잠비크 정부는 자국의 산업을 1~3차 산업으로 분류하며, 해당 산업에 속하는 세부사업은 아래와 같음.


모잠비크 산업 분류

구분

세부산업

1차 산업

농업, 수산업, 임업, 축산업, 수렵, 벌목, 광산업

2차 산업

제조업, 전기, 가스, 수도, 건설업

3차 산업

유통업, 숙박/요식업, 교통/통신, 정보통신(ICT), 금융서비스, 부동산, 공공행정, 교육, 보건, 개인서비스

자료 : 모잠비크 통계청((Institute Nacional de Estatística)

 

  ㅇ (총괄) 모잠비크는 최빈국(Least-developed Country)으로서 아직 산업이 발전하지 못해 1차 산업의 비중이 높은 편

    - 2018년 기준, 모잠비크 국내총생산(GDP)에서 1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35.5%로 매우 높은 편

    - 제조업 기반이 거의 없어 2차 산업 비중이 13.3%에 불과하며, 3차 산업 비중은 40.7%


모잠비크 국내총생산(GDP)에사 각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

(단위 : %)

구분

산업

2014

2015

2016

2017

2018

1차 산업

농림축산업

22.4

21.5

21.6

23.7

23.3

수산업

1.5

1.4

1.3

1.3

1.2

광산업

4.4

5.0

7.8

11.4

11.0

2차 산업

제조업

8.0

8.2

8.5

8.2

8.6

전기/가스

2.8

2.8

2.3

2.7

2.9

수도

0.2

0.2

0.2

0.2

0.2

건설업

1.9

1.9

1.6

1.5

1.4

3차 산업

유통업

10.7

10.8

10.6

10.1

9.6

교통/통신

7.4

6.7

5.8

5.6

6.0

숙박/요식업

2.0

1.8

1.7

1.7

1.7

정보통신

3.5

3.6

3.0

3.0

3.0

금융서비스

4.7

4.5

5.8

4.9

4.6

부동산

5.2

4.9

4.1

3.8

3.8

공공행정

5.8

6.7

6.8

5.8

6.7

교육

6.4

6.2

5.6

4.1

3.4

보건

1.5

1.4

1.4

1.3

1.3

개인서비스

0.8

0.7

0.7

0.7

0.6

소계

89.2

88.5

88.6

90.0

89.6

세금

10.8

11.5

11.4

10.0

10.4

총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 모잠비크 통계청(Institute Nacional de Estatística)


□ 산업동향


  ㅇ (총괄) 2019년 1분기 모잠비크 경제성장률은 2.5%를 기록하였는데, 산업별로는 1차 산업(2.5%), 3차 산업(2.7%)은 비교적 양호한 성장률을 보인 반면, 2차 산업은 0.5% 성장에 그침.

    - 2차 산업이 부진을 보인 주된 요인은 전기/가스 분야가 큰 폭의 마이너스 성장(-7.1%)을 보였기 때문

    - 제조업은 2.9%에 달하는 비교적 양호한 성장세 기록


   ㅇ (주요 산업별) 최근 건설 및 부동산 경기 회복에 따라, 부동산업이 5.0%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수산업(3.8%), 교통/통신(3.3%) 분야도 비교적 높은 성장세 시현


2019년 1분기 주요 산업별 성장률

(단위 : %)

external_image

자료 : 모잠비크 통계청(Institute Nacional de Estatística)


□ 모잠비크 산업발전의 구조적 제약요인


  ㅇ 영세한 기업 규모

    - 모잠비크 기업들의 94%는 규모가 매우 작은 소기업이며(Micro company : 63%, Small company : 31%), 중기업(Medium company)과 대기업(Large company) 비중은 각각 3%에 불과

    - 기업 매출도 대기업의 비중이 69%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업의 절대다수(94%)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 비중은 31%에 불과


  ㅇ 사회인프라(SOC) 부족

    - 전력, 통신, 교통 등 기본적인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못해 물류비용이 매우 높고 시장접근도 어려운 편


  ㅇ 자금조달 애로

    - 금융시장이 발전하지 못한데다 이자율이 매우 높고 산업체에 대한 특혜 여신제도 등도 없어 기업들이 자본조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


  ㅇ 숙련 노동력 부족

    - 모잠비크 내에 숙련된 노동력이 부족해 기업들의 비즈니스 활동에 상당한 애로로 작용하고 있으며, 숙련 노동력 확보에도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고 있음.


  ㅇ 세제 및 관세 혜택 미흡

    - 모잠비크 정부는 특별경제구역(Special Economic Zone), 산업자유지역(Industrial Free Zone) 등과 같은 경제특구를 운영하면서 입주 기업들에게 혜택을 부여하고 있으나, 여전히 세제 혜택이 부족하며 관세율이 매우 높은데다 세관 행정도 불투명해 기업들이 상당한 애로를 겪고 있음.


□ 모잠비크 정부의 산업정책

  * 모잠비크 정부는 지난 2016년에 산업육성 10개년(2016~2025) 계획을 발표하였는 바, 동 정책을 중심으로 기술함.


  ㅇ 비전(Vision)

    - 인적자원 개발, 기술발전, 산업생산성 향상, 경제통합 등을 통해 글로벌 산업경쟁력 확보


  ㅇ 미션(Mission)

    - 세부 실행계획 추진, 산업활동 규제, 적합한 정책 프레임워크(Framework) 구축 등을 통해 산업육성


  ㅇ 목적(Objective)

    - 산업육성을 통한 경제번영, 국민후생 증대, 고용창출을 목적으로 하며, 세부 목적은 아래와 같음.

    -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 규모의 경제 실현,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산업생산량 증대

    - 노동집약적 산업 육성, 중소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 창출 확대

    - 무역수지 적자 개선, 수입대체산업 육성, 수출확대

    - 벨류체인(Value chain) 확대, 국내산 원자재 사용 확대

    - 업스트림(Upstream) 분야와 다운스트림(Downstream) 분야 연계 강화를 통해 로컬콘텐츠(Local contents) 확대


  ㅇ 7대 중점 육성산업(Priority Industries)

    - 농식품(Food and Agro-industries)

    - 섬유(Clothing, Textile, Footwear)

    - 비금속광물(Non-metallic Minerals)

    - 금속(Metallurgy and Manufacture of Metal Products)

    - 목재가공(Wood Processing and Furniture)

    - 화학(Chemistry, Rubber and Plastics)

    - 제지/인쇄(Paper and Printing)


  ㅇ 전략적인 투자 분야(Strategic Investment Pillars)

    - 사회인프라 확충, 인적자원 개발, 국내산업 보호, 금융시장 개선, 기업간 협력 강화, 투자 인센티브 확대, 혁신 및 기술개발, 정책역량 강화

    - 각 분야별 주요 추진정책은 아래 표 참조

 

전략적 투자 분야별 주요 추진정책

연번

전략적 투자 분야

주요 추진정책

1

사회인프라 확충

  산업특구(Industrial Park) 조성 프로젝트 통합

  회랑개발(Corridor Development) 정책 통합

  교통시스템 정책 통합

  산업자유지역(Industrial Free Zone) 정책 통합

2

인적자원 개발

  기능인력 교육훈련 촉진

  전문인력 육성 프로그램 통합

  인적자원개발기금(Human Capital Development Fund) 조성

  국내외 우수인재 발굴 및 유치 강화

3

국내산업 보호

  기업들의 품질경영 및 인증 취득 지원

  로컬콘텐츠(Local Contents) 사용 확대

  국내기업들의 공공 프로젝트 참여 확대

4

금융시장 개선

  국영투자은행(National Investment Bank) 설립

  국내산업 대상 신용공여(Credit Line) 확대

  시중은행들과의 협력 확대

5

기업간 협력 강화

  국내기업 맵핑(Mapping) 및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창업지원 확대

  시장개척 지원

6

투자 인센티브 확대

  새로운 생산기술 이용 지원 강화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개별 투자 인센티브 개발

7

혁신 및 기술개발

  기술개발 연구소 설립

  신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기업간 기술교류 지원

  중소기업 대상 기술개발 지원 강화

8

정책역량 강화

  산업정책 관련 부서 개혁 및 정책훈련 확대

  중소기업 진흥기관 구조조정

  산업정책 분야 정책조정 기구 신설

  민관협력 정책조정 시스템 구축

자료 : Industrial Policy and Strategy 2016~2025


□ 시사점


  ㅇ 모잠비크 정부에서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산업분야에서 우리 기업의 진출기회 발굴

    - 상기 기술한 모잠비크 정부의 7대 중점 육성산업을 중심으로 소재부품 등 중간재 시장진출을 확대함으로서, 모잠비크 산업이 발전할수록 우리나라의 대모잠비크 수출(특히, 중간재)도 동반 증가할 수 있는 상호 협력기반 구축 필요


  ㅇ 최근 모잠비크 정부는 상기 기술한 산업정책 외에도 자국 경제발전을 위해 농업, SOC, 에너지, 관광 등 4대 분야를 선정하여 외국인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바, 우리 기업들도 이러한 모잠비크 정부의 정책기조를 활용할 필요




자료원 : 모잠비크 통계청, 모잠비크 무역투자진흥청(APIEX), Industrial Policy and Strategy 2016~2025 등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모잠비크 산업 개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