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유통/물류 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인도
  • 최용안
  • 2018-12-24
  • 출처 : KOTRA

유통/물류

 

    산업 개요

 

인도 유통산업은 급격한 경제성장에 힘입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 중의 하나이며, 대형유통망, 전문유통망, 온라인 유통망으로 구분된다. 인도는 국토면적이 넓고 소매시장에서 전통적 소매방식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중간업자가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


회계연도 2014-2015년 기준 인도의 소비지출은 약 1조 달러를 기록한 바 있으며, 2015 1 2,500억 달러, 2020년에는 3 6천억원으로 연평균 13.9%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통시장의 경우, 2000년도 2 40억 달러에서 2015 6천억 달러 5년 뒤인 2020년에는 1 3천억 달러로 연평균 23%의 성장을 거듭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도 온라인 쇼핑시장은 2009 38억 달러 규모에서 2013 126억 달러 규모로 급성장한 바 있다.


 인도 유통시장 규모


external_image

자료원: IBEF, 2015 8월 유통산업 보고서


최근 인도 내 유통채널 별 현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메이저 기업들의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Reliance Retail사를 비롯한 오프라인 유통기업은 물론, Flipkart 사와 같은 온라인 유통기업들의 성장도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특징은 인도가 전통적인 소매유통구조에서 현대 유통구조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시장 동향

 

인도의 식료품 시장은 인도 유통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문으로써, 전체 유통 시장에서 69%의 비율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는 의류, 귀금속, 소비재 시장이 뒤를 이었다.


 인도 유통시장 품목별 수익 현황


external_image

  : 2014 3 31일 기준

자료원: IBEF, 2015 8월 유통산업 보고서

 

또한,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현대화된 소매유통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고, 2015년 기준 전체 유통시장에서 현대화된 소매 유통시장의 비중은 8%에 불과해 인도 유통시장은 유아기 시장이라고 볼 수 있다. 보스턴 컨설팅 그룹, Deloitte사에 따르면, 회계연도 2009-2010년에서 2013-2014년 사이에 인도의 현대화된 유통 시장은 연평균 19-20%의 성장을 거듭했으며, 2020년까지 현대화된 유통시장은 전체 유통시장의 24%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화된 소매 유통시장 성장 전망


external_image

자료원: IBEF, 2015 8월 유통산업 보고서


또한, 직장인들과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인해서, 인도 내 홈쇼핑, 온라인 쇼핑을 통한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Avenue Supermarts Ltd(ASL) D-Mart라는 상점브랜드를 소유, 운영하고 있다. D-Mart는 식품, 미용용품, 주방용품, 침실 및 욕실 린넨, 가전용품 등의 생활용품을 취급하며, Maharashtra, Gujarat, Telangana, Andhra Pradesh, Madhya Pradesh Karnataka주에서 운영 중이며 최근 Rajko에서도 운영을 시작한 상태이다.


인도 내 대형 소매유통업체인 Big Bazzar사를 보유한 Future Group은 뭄바이에 본사를 둔 대기업으로써 유통과 패션 부문에서 인도 내 상당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 또한, Maha Bachat(Mega Saving), The Great Exchange Offer 등과 같은 여러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고객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015 3월 기준, Reliance Retail 그룹은 인도 전역 200여 개의 도시에서 2,621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Reliance Fresh Direct Virtual Store를 통해, 전자상거래(e-commerce) 시장에 진입했고 본사가 있는 뭄바이를 시발점으로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영역을 확대하고자 하고 있다. 인도의 전자상거래 선두업체인 Flipkart.com Snapdeal.com이 활용하고 있는 개별 판매자들이 자신의 상품을 올리고 판매하는 marketplace 사업 모델을 따르기보단, 회사에서 상품을 올리고 판매하는 inventory-led 사업모델을 따를 것으로 추정된다.


    시장 전망


인도정부는 싱글브랜드 (Single-brand) 진출 시 100% 외국인 투자(FDI)가 가능하게 하는 정책, 멀티 브랜드(Multi-brand) 진출 시 외국인 투자금액이 51% 이상을 차지할 수 있는 정책을 내놓는 등 유통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에 대한 규제를 해소하고 있으나 정부의 규제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싱글브랜드(Single-brand) 진출 시 반드시 해당 품목은 하나의 브랜드명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외국인 투자 금액이 51%이상일 경우, 판매하는 전체 재화의 30%에 상응하는 금액을 인도 현지 기업을 통해 조달야만 한다. 또한, 동일한 브랜드의 다른 상품을 시장에 처음 출시하기 이전에 정부의 승인을 반드시 받아야만 한다는 조건이 있다.


멀티 브랜드(Multi-brand)진출 시, 최소 투자 금액은 최소 1억 달러 이상이어야만 하며, 판매하는 전체 재화의 30%에 상응하는 금액을 인도 현지 기업을 통해 조달야만 한다. 또한, 외국인 투자 금액(FDI)의 최소 50%를 인도 유통 인프라 개선을 위해서 투자야만 한다. 이 밖에도 매장 직원의 최소 50%를 매장 인근 지역의 농촌 청년으로 고용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으며, 농산품의 일정 부분을 인근 지역의 저소득층 농민을 통해 구매해야만 한다는 조건 등이 있어 실질적으로 인도 유통시장에 대한 장벽은 여전히 높은 상태라고 볼 수 있다.


TechSci Research사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인도 내에 현대화된 유통시장은 전체 유통시장의 단 8%만을 차지하고 있어 소매유통 체인의 지점과 매출에 대한 잠재력이 상당한 것으로 예측된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 부임 이후, Make In India,100 Smart Cities와 같은 정책으로 인해 도시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현대화된 소매유통 구조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맞벌이 인구의 증가로 인해 홈쇼핑과 인터넷 쇼핑을 통한 매출액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진출 전략

 

인도의 경우, 지역, 인종, 종교마다 다른 문화적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인도 내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공략하는 현지화가 필요하다. 네슬레사의 ‘Maggi’의 경우, 인도인들의 입맛을 겨냥한 다양한 종류의 라면을 출시함으로써, 인도 국민 라면 브랜드로 자리매김한 바 있다. 철저한 현지화를 통해, 2015년 중금속 사태로 판매가 중지되기 전까지 2014년도 기준 인도 라면 시장 점유율의 약 63%를 차지했을 정도로 현지화의 필요성을 보여준 좋은 기업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인도 정부가 유통시장에 대한 외국인 투자 규제를 상당 부분 완화하긴 했으나, 아직까지 인도 유통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여러 가지 제약이 존재함으로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 이미 인도에 진출해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국내 홈쇼핑 업체를 활용 시장 진입을 전개하는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다.


GS Shop(Home Shop 18) CJ 오쇼핑(Star CJ)은 인도 내 잘 구축된 유통망, 현지 상황에 따른 유연한 대처방안을 마련 현지 거점을 통한 신속한 대응 등 업무 협조가 가능하다.


   ㅇ 국내 기업의 인도 유통시장 진출 성공 사례


(K사 블랙 다이아몬드 프라이팬) 한국 프라이팬이 품질은 좋으나 높은 수입 관세로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고 브랜드가 생소해 가격 저항과 브랜드력을 극복하기 위해 인도에서 최고의 연예인급 요리사인 Sanjeev Kapur와 제조사인 C사의 제휴를 제안해 현지화 마케팅 전략을 세웠고, 상품명, 포장, 상품 설명서, 인도 요리 설명서 등 모든 부분의 현지화, 론칭 방송 시 3 4일 전문 시연팀은 현지 지원, 인도 요리사와 수입사 한국 방문 교육, 인도 주부들이 원하는 사은품 개발, 지속적인 C사의 지원 하에 현지 연예인 요리사의 능수능란한 시연을 통해 가격 저항을 극복하고 높은 매출고를 기록한 바 있다.


(H사 주서) 현지 주서기는 6~16만 원에 판매되나 H사의 제품은 34만원으로 2~5배 가격 차이가 남에 따라 고객 조사 시 가격 저항이 대단히 컸으나 H사는 이에 대응해 주서기 대신 Wellbeing maker로 상품명과 상품 콘셉트를 변경해 가격 저항을 극복했다. H사 시연팀의 인도 출장 지원, 론칭 방송이 부진할 경우를 대비해 판매가는 지키되, 초기 물량 100대 공급가를 파격 지원, 인터넷 베너, 단독 웹페이지, 우수고객 SMS 등을 진행했다. 그 결과, 12 3월 론칭해 초도 물량 100대 전량 소진하는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유통/물류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