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의료/바이오 산업_의료 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중국
  • 최용안
  • 2018-12-24
  • 출처 : KOTRA

의료산업


    산업 개요


2016 8 26일 중국 중앙정치국회의에서 ‘헬스차이나 2030 행동강령(健康中國)’이 심의 통과됐으며, 헬스차이나 건설을 향한 중국의 행보가 가속화되고 있다. 2016 10 25일 중국 국무원은 국민 건강수준을 선진국형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중장기 정책으로 “건강중국 2030” 계획 요강(健康中2030规划纲)을 발표했다. 건강중국 2030은 건강한 생활방식 및 건강시스템 구축을 통해 주요 건강지표를 선진국과 동일한 수준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국은 고령화, 도시화, 소득증대 등으로 건강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정부의 헬스케어 육성정책으로 의료비 지출은 빠르게 증가한다. 2030년에는 전체인구의 35%가 증산층에 편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소득이 증대될수록 생활수준에 맞는 맞춤형 고급의료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0년에는 미국에 이은 세계 2위의 헬스케어시장으로 성장이 예상된다.


    시장 동향


중국 정부는 2030년까지 평균기대수명을 79세로 늘리고 만성질환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을 13%, 개인의료비 지출 비중을 25% 수준으로 낮추는 등 건강지표 목표를 수립했다. 도시화, 의료서비스 수준 제고, 정부의 의료산업 투자 및 의료개혁 시행 등으로 인해 중국의 의료서비스 및 의료기기 시장은 성장세에 있으며 2020년 중국 의료 시장 규모가 최대 6 7천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소득수준의 상승으로 재활의료 서비스, 의료기기 등 시장이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헬스케어산업의 투자를 확대하여 2015 3조 위안에서 2020년에는 8조 위안, 2030년에는 16조 위안 규모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3대 최종 시장의 판매액 분포를 보면 공립병원이 여전히 약품 판매의 주요 시장이며, 시장점유율이 가장 큼 그 다음으로는 약국과 온라인 약국 판매가 2위를 차지했으나, 이 시장의 경우 판매액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할지라도 전체 점유율은 2010 25.76%에서 2016 22.54%까지 떨어지는 등 매년 하락세를 보였다  


    시장 전망


2050년까지 중국의 60세 이상의 인구는 4 4,000만 명으로 늘어나 총 인구의 34%를 차지하여 중국 사회는 심각한 고령화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병, 천식 등 만성질환에 걸릴 확률이 15~45세 인구의 3~7배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져 현재 중국의 의료 자원 부족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인터넷 의료 서비스가 제공하는 원격 진료 및 처방, 주기적인 건강관리 등은 노년층에게 적합하며 위와 같은 노년인구 대비 의료 자원 부족으로 야기될 사회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 될 수 있어 현재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중국 의료시장의 성장, 고령화, 스포츠활동 인구 증가 등으로 재활의료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이며 재활치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점차 확립됨에 따라 시장 성장세는 더욱 가파를 것으로 전망되는데 특히 실버산업과의 동반 성장 가능성이 크다. 재활의료 서비스뿐 아니라 의료기기 및 용품, 재활치료과정에서 관련 보조기기 및 용품의 시장의 잠재력이 주목을 받고 있다.


    진출 전략


한중 FTA로 중국은 98개 의료기기 품목을 개방했으며, 주요 품목으로는 보청기, 온도계, 수술용 장갑, 콘택트렌즈, 치과용 Xray기기, CT, 시력교정용 안경 등이 있다. 중국은 한국인 다수 지분이 허용되는 합작회사의 병원 또는 의원 설립과 한국 의사면허자의 중국 내 단기 진료(6개월 허가 후 1년까지 연장 가능)을 허용하는 등 의료서비스 시장을 일부 개방했는데, 이러한 조치 하에 한국 의료기기의 중국 진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들어 중국은 포괄적인 건강산업인 대건강산업 개념이 주목받고 있어 의료제품, 헬스케어제품, 영양식품, 건강컨설팅 등 건강과 밀접한 산업들이 향후 잠재력이 클 것이다. 또한 인터넷, IoT 등 기술이 융합된 건강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간호기기, 가정용 의료로봇 등 제품이 큰 인기를 끌 것이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의료/바이오 산업_의료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