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네시아 건설/인프라/플랜트 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인도네시아
  • 최용안
  • 2018-12-24
  • 출처 : KOTRA


건설/인프라/플랜트 

 

산업 개요


인도네시아 건설 시장의 전체 규모는 2017년 기준으로 909억 달러로 GDP의 9%를 차지하는 주요 산업이며, 매년 6~7%의 빠른 성장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성장은 2억 6천여만 명 이상의 인구대국으로 5% 전후의 양호한 경제 성장률이 지속되면서 나타나는 왕성한 주택, 상업시설, 인프라 수요가 뒷받침하고 있다.
 

최근 5년 사이에 전 세계적으로 건설 산업이 점진적으로 성장해가고 있으며, 이에 건설 자재와 장비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세계 건설 정보 센터(Construction Intelligence Center)에 의하면, 인도네시아 건설장비시장 규모는 2012년에 420억 달러 가량부터 시작해, 매년 평균 약 10%대의 성장을 보이며 2017년에는 684억 달러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산했다. 인도네시아 건설 장비 시장에는 땅고르기, 터널링 장비, 도로 건설 장비, 건설 자재 생산 장비, 채굴 장비 등이 포함돼 있다.

 

2018년 민관합동 프로젝트 명부(The Public Private Partnership(PPP) Book))에는 2017년부터 성공적으로 지속되는 2018년 프로젝트 및 결렬된 프로젝트 현황은 다음과 같이 명시돼 있다.


2017년에 이어 지속 중인 프로젝트

2018년 결렬 프로젝트

ㅇ자카르타-찌깜뻭 남부 고속도로

(Jakarta-Cikampek South Toll Road)

ㅇ반다르 람뿡 물 공급사업 (입찰완료)

(Bandar Lampung Water Supply)

ㅇ메단 시 시내 교통 사업

(Medan Municipal Transport),

ㅇ쁘깐바루 물 공급 사업(Pekanbaru Water Supply)

ㅇ삼 라뚜랑이 의과대학 부속 병원 사업

(Sam Ratulangi Teaching Hospital)

ㅇ족자카르타-바웬 고속도로

(Yogyakarta-Bawen Toll Road)

ㅇ다기능 위성사업(Multifunction Satellite) ㅇ누사깜방안 산업 교정 시설

(Nusakambangan Industrial Correctional Facility)

ㅇ까빌 항만 개발 사업

(Development of Kabil Port)

ㅇ꾸알라 딴중 국제 허브 항만 개발 사업 (Development of Kuala Tanjung International Hub Port)

ㅇ비뚱 국제 허브 항만 개발 사업

(Development of Bitung International Hub Port)

ㅇ마까사르 신 항만 개발

(Development of Makassar New Port)

ㅇ빠띰반 항만 개발

(Development of Patimban Port)

ㅇ바땀 섬 철도(Batam Island Railway)

ㅇ수까부미-찌란장 고속도로

(Sukabumi-Ciranjang Toll Road)

ㅇ딴중 쁘리옥 항 연결 고속 도로

(Tanjung Priok Access Toll Road)

ㅇ족자카르타-솔로 고속 도로

(Yogjakarta-Solo Toll Road)

ㅇ로곡 낭까 최종 폐기물 처리장

(Final Waste Disposal Site Logok Nangka)

ㅇ뽄독 게데 물 공급 사업

(Pondok Gede Water Supply)

ㅇ신당 헬라 수처리 시설

(Sindang Heula Water Treatment Plant)

ㅇ파푸아 스포츠 시설(Sport Facility Papua)

ㅇ반둥 가로등 사업(Bandung Street Lighting)

자료원: PPP Book 2018(사업현황은 2017.12 기준이며, PPP Book 2018 3 29일에 공표)



한편,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 상의 가장 큰 어려움은 토지수용과 자금 부족이다. 상기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이 토지수용 문제를 겪고 있으며, 실례로 자바 횡단 고속도로의 중앙 부분인 Pemalang-Batang-Semarang 고속도로는 20년간 토지수용 문제로 추진이 지연되다가 2016 6월에야 착공됐다. 또한, 인프라 공사에 필요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지 못해 허가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시장 전망

     

    발전/플랜트와 관련, 인도네시아 전력 수급 불균형은 IPP(Independent Power Plant)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인도네시아의 전력은 대부분이 PLN 주도로 공급되고 있으며, IPP 사업자를 통한 전력 수급이 약 20%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원격지, 작은 섬 등은 PLN 의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곳이 많아 정부는 1MW 미만의 소형 발전() 건설에 특히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다만, 10MW 이하 발전의 경우에는 현지인 사업자만 가능한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일반 거주/상업용 건설 분야도 긍정적 전망이다. 이 분야는  10%의 연간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로도 추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긍정적 전망은 인구대국, 경제성장, 도시화 등의 기본적인 성장요인에 기인한다.

     

    인도네시아 거주/상업/산업용 건설사업 규모 추이와 전망(2015~2025년)

    (단위: 십억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원: BMI


    진출 전략   


건설/플랜트 분야는 지금까지 많은 기업들이 지사/연락사무소의 형태로 진출했으나, 수주실적으로 살펴보면 법인의 형태로 진출한 쌍용 건설 등을 제외하고는 현지국 건설 프로젝트를 실제 수주 성공한 경우는 지극히 적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때문에 현지 시장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서는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한 진출이 바람직하다.


플랜트 산업의 경우, 대부분의 진출 희망 기업이 초기 진출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O&M(Operation & Managemen) 수주를 원하는데, 실제 현지 산업의 구조는 O&M 사업자는 프로젝트 입찰 단계부터 콘소시움에서 협력한 파트너사를 선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이 분야 진출을 원할 경우 초기투자비 리스크를 감안할 것이 요구된다. 건설/플랜트 사업의 경우 참여가능한 형태가 다른 산업 대비 유연성이 있지만, 그만큼 비거주자 원천 징수 등의 세무 리스크에 노출될 가능성도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건설/인프라/플랜트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