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홍콩 유통/물류 산업_물류 산업
  • 국별 주요산업
  • 홍콩
  • 최용안
  • 2018-12-26
  • 출처 : KOTRA

유통/물류 물류업

 

산업 개요

 

  ㅇ 홍콩 물류산업 규모

 

산업별 GDP 비중을 살펴보면, 홍콩은 서비스산업이 92% 수준을 차지하며 서비스산업 의존도가 절대적이다. 홍콩 '4대 핵심산업'(금융, 물류, 관광, 전문서비스) 2016년 부가가치는 1조 3,675 홍콩달러이며, 무역·물류산업의 부가가치는 5,231억 홍콩달러로 4대 핵심산업의 21.6%를 차지했다. 무역·물류를 무역과 물류로 구분해 보면, 물류산업은 768억 홍콩달러의 부가가치를 창출해 4대 핵심산업의 3.2%를 차지하고 있다.

 

  ㅇ 홍콩 물류산업의 경쟁력


    - 지리적 입지 요인

홍콩은 비행기로 4시간이면 아시아의 모든 주요 시장, 5시간이면 전 세계 인구의 절반이 살고 있는 지역 모두에 접근할 수 있을 정도로 지리적 입지가 우수하다. 또한, 홍콩은 전 세계 155개국과 연결된 직항 노선이 있으며, 그 중 40개 노선은 중국 도시와 연결돼 있는데, 이는 홍콩이 중국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중요한 신 소비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아세안 시장과도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점이 있다.


    - 중국 진출의 교두보

저우, 홍콩, 마카오를 연결하는 주강 삼각주 지역은 중국에서도 가장 인구가 밀집한 지역의 하나로 외국인 투자 제조기업의 집적지로 알려져 있으며, 이 지역에서 창출되는 물동량으로 홍콩 항만 및 공항 물동량 처리 실적이 세계 상위권을 유지한다. 또한, 홍콩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친 중국 관련 정보를 빠르고 신속하게 입수할 수 있으며, 중국-홍콩 간 경제협약(CEPA)을 통해 중국시장 진출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 발달된 교통물류 인프라

홍콩은 세계적 수준의 콰이청 항만과 첵랍콕 국제공항 시설을 갖추고 있어 외부 지역과의 연계성이 뛰어나며, 항구는 수입관세가 없는 면세항구로 운영하며 통관업무가 매우 효율적이다. 섬과 반도의 육상 연결도 잘 돼 있으며 중국 본토 및 마카오 등과의 연결성 향상과 통행비용 및 시간절감을 위한 다양한 육상 교통 인프라 프로젝트가 완료 혹은 진행 중에 있다 


    - 자유로운 무역제도 및 높은 경제 자유도

홍콩은 총수출 중 재수출 비중이 97% 이상을 차지하는 중계무역항, 수출입 규제 및 무역장벽이 없는 자유무역항으로 일반 상품 수출입에 대해서는 무관세 정책을 펴고 있어 물동량 창출이 용이하다. 또한, 홍콩은 자유로운 무역절차와 매우 단순한 조세제도로 헤리티지 재단의 경제자유도시 순위에서 21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시장 동향

 

  ㅇ 홍콩의 주요 물류기업 및 유관기관


    - 허치슨 포트 홀딩스(HPH, Hutchison Port Holdings)

HPH는 허치슨 왐포아 리미티드(HWL, Hutchison Whampoa Limited)의 자회사로서 1994 HWL그룹의 항만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됐다. HWL은 아시아 최대 재벌 리카싱(Li Ka-shing)의 청콩 그룹(Cheung Kong Limited)의 계열사로서 운송 및 물류 체인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과 항만 개발 및 운영을 수행하는 세계적인 항만 운영업체로, 26개국 52개 항에서 320개 선석을 운영하고 있다.


    - 케리 로지스틱스 네트워크(KLN, Kerry Logistics Network)

홍콩에 본사를 둔 홍콩계 다국적 물류기업 케리 로지스틱스는 직원 1 9,000명의 아시아의 선도적인 3자물류 기업이자 화물운송주선 회사로, 홍콩을 중심으로 중국 전역, 동남아, 미국, 유럽, 호주 등 전 세계 35개국, 400여 물류거점에 자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현재 삼성,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루이뷔통, KFC, 포드 등 각 산업별 4,000여 고객사의 3PL, 물류센터 운영, 포워딩, 운송, 유통 및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홍콩물류협회(Hong Kong Logistics Association)

홍콩물류협회는 1996년 설립된 비영리 물류 및 SCM(Supply Chain Management) 전문기관으로 창고, 화물운송, 재고관리, 포장, 구매 프로세싱, 고객서비스, 자재관리 등 현대 물류 촉진과 IT 기술을 활용한 물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홍콩 물류협회가 유일한 물류 관련 협회는 아니지만, 가장 오래되고 활동이 활발한 협회이며 모든 기업 유형을 회원으로 확보하고 있다. 홍콩 물류협회는 중국 물류 및 구매 연합회(CFLP, China Federation of Logistics & Purchasing)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맺고 있으며, 홍콩에서의 물류자격시험(중국 공인 물류사)을 주관한다. 정기적인 회의, 세미나,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관리기술 능력 제고 등 70여 개 회원사의 경쟁력 증진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시장 전망

 

  ㅇ 물류정책

 

홍콩은 동북아 주요 물류도시인 싱가포르, 부산 및 중국 다른 도시들(상하이, 선전 등)과의 물동량 유치 경쟁관계에 있다. 홍콩은 발달된 물류 인프라 구축을 통해 아시아의 물류 허브 역할을 유지해 왔는데, 최근 아시아 국가들 간 물류경쟁 심화로 물류 허브로서의 위상이 약화되고 있다. 환적 화물의 경우 화물처리 비용이 낮은 기타 항만(대만 가오슝항, 부산항 등)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중국도 홍콩을 경유하는 간접수출에서 직수출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바뀜에 따라 상하이, 선전 등으로의 물동량이 매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홍콩 당국은 주변 도시들과의 물류인프라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적인 교통물류 인프라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ㅇ 연관 사업 동향

 

철도의 경우 '철도 개발전략 2014'를 통해 2031년까지 홍콩 철도 네트워크 확장 계획으로 7개의 새로운 노선 건설을 발표했고, 도로의 경우 중앙 완차이 우회도로 및 섬 동부간선도로(Island Eastern Corridor Link) 2017년 완공 예정이며, 청콴오(Tseung Kwan O)와 카우룽 도심을 연결하는 제2터널, 툰먼(Tuen Mun)-첵랍콕 도로, 홍콩-주하이-마카오 대교 등이 건설 중에 있다. 항만의 경우 칭이(Tsing Yi) 10컨테이너 터미널에 대한 기술적 타당성 검토 및 환경영향평가를 수행 중에 있으며, 공항의 경우 홍콩 공항공단의 제3활주로 건설이 2016년에 착수하여 2024년 완공 예정이다.

 

진출 전략

 

  ㅇ 진출 성공사례

    - 홍콩에 진출한 한국 기업은 약 50개로, 수출입 포워딩 기업 위주로 구성돼 있고 한국 기업 간 경쟁이 많은 편이다


코차이나(Korchina)


1994년 홍콩을 본사로 설립해 포워딩을 중심으로 화물혼재, 3 자물류, 통관, 보관 및 육상운송 등 전 범위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류 서비스 제공업체이다. 홍콩, 한국,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대만, 캄보디아,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국, 그리고 중국 17개 도시 등 총 37개의 자체 지사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2 7월 유럽 3개 법인을 추가로 설립했다. 주요 사업구성은 수출입 포워딩 중심으로 수출입 70%, 내수 30%로 구성돼 있다. 수출입 포워딩 업무를 세부 내용별로 나누어보면 항공(50%), 해상(20%), 육로(20%), 3PL 창고(5%), 택배(5%)로 구분된다


특히 택배(국제특송 포함)는 한국-홍콩, 홍콩-기타 지역 간 국제특송을 중심으로 하며 홍콩 내 택배업무 및 국제특송은 DHL, Fedex 등 글로벌 특송업체에 비해 가격경쟁력으로 승부하며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수출입 포워딩의 경쟁이 치열하고 마진율이 매우 낮은 수준이라, 새로운 비즈니스 모색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창고 및 국제특송 분야를 확대하고자 하며, 특히 타오바오, 해외직구의 증가에 따라 규모가 커지고 있어 국제특송이 비즈니스의 한 축을 담당할 것이라 전망하며 장기적인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ㅇ 진출 포인트 및 시사점

 

홍콩은 중국 남부 내륙으로 들어가는 관문인 동시에 남태평양 및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연결돼 있는 지리적 요충지이며 홍콩 물류의 강점은 자유무역항(Free Port) 정책에 따른 물동량 창출 능력, 공항, 항만 등 우수한 물류 인프라, 중소 물류기업의 대기업과의 협력 기회 및 효율적인 운영능력 등이다. 하지만 토지 부족에 따라 물류 창고시설 확보의 어려움과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물류인력 확보의 어려움 등이 있다


홍콩 물류 서비스 산업 진출 계획 시, 한국 기업들의 강점인 화주기업에 맞춤형 대응능력 제고 및 마케팅이 필요한데 홍콩 기업들 및 외국계 기업들이 취약한 기급 화물 취급 및 요청에 대한 신속한 대응 등을 적시에 잘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나 물류 전문인력의 언어능력(중국어(광둥어) 및 영어) 제고가 요구된다. 또한, 홍콩 내 글로벌 물류기업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가격경쟁력 확보 및 틈새시장 발굴을 위해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자가 창고보관시설(warehouse)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가 매우 적기 때문에 임대 혹은 소유를 통한 창고시설 확보에도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홍콩 유통/물류 산업_물류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