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에티오피아 건설/인프라/플랜트 산업_전력 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에티오피아
  • 최용안
  • 2018-12-24
  • 출처 : KOTRA

건설/인프라/플랜트 - 전력산업

 

에티오피아의 전력산업 개황

     

    에티오피아의 전력 생산량은 2016년 기준 2,261MW에 달하고 있으며, 이중 수력발전이 86%,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가 8%, 지열이 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체 인구 1억 명 대비 현 전력량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으로 전체 인구의 23%만이 전력공급을 받고 있으며, 도서산간지방의 경우 송전 및 배전망 부족으로 인해 겨우 8%에 해당하는 인구가 전력을 공급받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전력생산인프라, 능력, 접근도 등 벤치마킹


    구분

    에티오피아

    기타 저소득 국가

    현재 전력생산 능력

    MW/mil. people

    9.8

    24.4

    전력소비

    kWh/capita

    33.6

    99.5

    정전 빈도

    day/year

    44.2

    40.6

    기업의 자가 발전기 의존도

    % consumption

    6.9

    17.7

    정전으로 인한 기업 손실

    % sales

    0.9

    6.1

    전력 접근도

    % population

    33.0

    15.4

    도시 전력 접근도

    % population

    86.0

    71.0

    농어촌 전력 접근도

    % population

    2.0

    12.0

    전력 접근도 증가율

    % population/year

    0.4

    1.4

    Revenue collection

    % billings

    96.5

    88.2

    Distribution losses

    % production

    22.0

    22.1

    Cost recovery

    % total cost

    46.0

    90.0

    Total hidden costs as   % of revenue

    %

    132.7

    121.2

    Power tariff   (residential at 75 kWh)

     

    10.27

    5.0 10.0

    Power tariff   (commercial at 900 kWh)

    8.26

    11.73

    Power tariff   (industrial at 50,000 kWh)

    4.76

    11.39

    자료원: Briceño-Garmendia and others 2008 as cited in World Bank, 2011

     

    한편 전력개발 잠재력을 분석한 결과, 총 60,000MW(’16년 기준)까지 발전량을 늘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중 주 에너지원인 수력발전이 45,000MW를 차지하고 있으며, 태양광, 풍력, 지열 및 나무, 곡물 폐기물, 천연가스, 석탄 등도 소소하게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수력발전의 경우 잠재력 대비 5% 미만의 개발율을 보이고 있으나 주요 대도시를 제외하고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도서산간지방의 경우 나무(개발률 50%) 및 곡물 폐기물(개발률 30%)을 태워서 생활하는 상황임에 따라 삼림 황폐화 등의 문제점이 심각한 상황이며, 더욱이 2016년에는 인구수가 1억 명을 돌파하면서 향후 2~3년 내 전력수요는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전력생산 확대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는 실정이다.

     

    주요 에너지원별 개발 잠재력 및 개발률

    구분

    단위

    개발 잠재력

    개발률

    Hydropower

    MW

    45,000

    <5%

    Solar/day

    kWh/m2

    4 – 6

    <1%

    Wind: Power

    GW

    100

    <1%

    Speed

    m/s

    >7

    Geothermal

    MW

    <10,000

    <1%

    Wood

    Million tons

    1120

    50%

    Agricultural waste

    Million tons

    15-20

    30%

    Natural Gas

    Billion m3

    113

    0%

    Coal

    Million tons

    300

    0%

    Oil shale

    Million tons

    253

    0%

    자료원: 에티오피아 전력청 – Ethiopia Electrical Power

     

    에티오피아 전력산업 개발 계획

     

    에티오피아 정부는 과거 한국과 유사하게 2010년부터 5개년 단위의 경제개발계획(GTP – Growth & Transformation Plan)을 수립하고 각 정부부처에서 이를 근거로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2025년까지 중진국으로의 진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6년부터 제 2차 경제개발 계획(GTP II,2016~2020년)을 추진 중에 있으며, 특히 국가 발전의 근간이 되는 전력은 수력발전을 중심으로 현재 4,290MW에 머물고 있는 전력 발전용량을 2020년까지 17,000MW로 확대하겠다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이밖에 전력발전에 필수적으로 개발돼야 할 송전, 배전도 2020년까지 현재 수준에서 2배 가까이 늘리겠다는 것이 목표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은 Grant(무상차관) 및 Loan(유상차관)을 통해 조달규모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에티오피아의 발전, 송전, 배전 현황 및 목표

    구분

    단위

    2010

    2015년 목표

    2016

    2020년 목표

    발전용량

    MW

    2,000

    10,000

    4,426

    17,208

    송전

    Km

    10,884

    16,400

    16,018

    21,728

    배전

    Km

    126,000

    258,000

    198,000

    385,000

    전력공급 가정 수

    백만

    2.0

    4.0

    2.54

    7.0

    자료원: 에티오피아 전력청 – Ethiopia Electrical Power


    특히 수력발전의 경우 이집트와 갈등 중인 나일강 유역의 르네상스 댐(밀레니엄 댐, Grand Ethiopian Renaissance Dam)은 완공 시 약 6,000MW의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기대되며, 에티오피아는 나일강 전체 유량의 85%를 소유하고 있어 수력 발전에 있어 큰 잠재력을 갖고 있다.

     

    한편 2018년 완공될 르네상스 댐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국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송전망과 배전망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으로서 동 댐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대부분은 케냐와 남수단으로 수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에티오피아의 수력발전소 현황


    수력발전소 명

    형태

    발전용량
    (MW)

    완공시기

    강 명칭

    1

    Gilgel Gibe III

    Reservoir

    1870

    2015

    Omo River

    2

    Beles Power Station

    Reservoir

    460

    2010

    Lake Tana/Beles River

    3

    Gilgel Gibe II Power Station

    Run of river

    420

    2009

    Omo River[3]

    4

    Tekeze Power Station

    Reservoir

    300

    2009

    Tekeze River

    5

    Gilgel Gibe I Power Station

    Reservoir

    184

    2004

    Omo River

    6

    Melka Wakena Power Station

    Reservoir

    150

    1989

     

    7

    Fincha Power Station

    Reservoir

    134

    1973

     

    8

    Fincha Amerti Neshe

    Reservoir

    100

    2011

    Blue Nile River

    9

    Tis Abay II Power Station

    Reservoir

    73

    2001

    Abay River

    10

    Koka Power Station

    Reservoir

    43

    1960

    Awash River

    11

    Awash III Power Station

    Reservoir

    32

    1971

    Awash River

    12

    Awash II Power Station

    Reservoir

    32

    1966

    Awash River

    13

    Tis Abay I Power Station [5]

    Reservoir

    12

    1953

    Abay River

    14

    Sor Power Station

    Reservoir

    5

    1990

     

    자료원: 에티오피아 전력청 – Ethiopia Electrical Power

     

    또한 발전용량 확대뿐만 아니라 에티오피아 정부는 2020년까지 송전선을 총 17,208Km로 연장하고 변전소도 200개 이상을 설치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으나, 2014년을 정점으로 하락하고 있는 경제성장과 만성적인 외환부족 현상으로 인해 계획대로 추진될지에 대한 의문은 지속 제기된다.

     

    현재 에티오피아 전력청(EEP)과 중국의 TBEA는 9.8천만불 규모의 송전망 건설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2018년까지 동 프로젝트를 완료하여 아파트 등 인구밀집 지역 및 전력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는 국영공단으로의 전력공급 활성화할 계획이다. 반면  국가 주도의 전력 확충이 어렵다는 판단하에 에티오피아 정부는 에티오피아 전력청을 중심으로 민간 IPP의 활성화를 통해 송전 및 배전망 건설이 어려운 도서산간 지방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관련 법규 및 제도를 마련중에 있다. 현재 GPI(Global Procurement Initiative)에 의거하여 USTDA의 자금 지원하에 미국의 Crwon Agents International과 공동으로 이를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과 유사한 발전차액 제도도 도입할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리기업 진출 유망분야

     

    IPP 분야는 에티오피아 정부 차원에서도 외국기업의 시장진출을 기대하고 있는 상황으로서 오프 그리드(Off-Grid) 전략에 따라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원거리 소재지역의 에너지 자급자족을 실현하겠다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특히 에티오피아 수관개에너지부(Ministry of Water, Energy and Electricity)는 외국으로부터의 무상차관을 활용하여 파일럿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소액 차관으로도 실현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향후 우리 기업들이 진출할 수 있는 유망 분야로 부상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향후 추진 예정인 에티오피아 오프 그리드 관련 사업계획

    회사명

    프로젝트 정보

    현 추진단계

    미국 A사

    ㅇ 에티오피아 오프 그리드 프레임 워크 개발

      - 에티오피아 오프그리드 시장규모 및 전망 예

      - 발전 및 배전 방법

      - 신재생에너지 발전 소유권 및 운영방향

      - 상업적 관리 방안 및 재무, 환경평가 등

    ㅇ USAID로부터 자금 확보

    ㅇ 추진기간 1년으로 설정

    ㅇ 현장조사 시작 예정

    유럽 B사

    ㅇ 64개 마을에 태양광, 풍력을 활용한 마이크로 그리드(Micro-Grid) 건설

    ㅇ 신재생에너지 관련 운영 및 관리교육

    ㅇ 재원 미확보

    ㅇ 추진기간 1.5년으로 설정

    ㅇ F/S 종료

    미국 C사

    ㅇ BOT 방식의 마이크로 그리드 건설 추진

    ㅇ Wattcoin Paygo 방식으로 추진

    ㅇ 오프그리드 관련 일자리 창출 및 인력개발

    ㅇ PPP 모델로 확정

    ㅇ 추진기간 2년으로 설정

    ㅇ 에티오피아 정부의 PPP

    관련 법령 마련시까지 대기 중

    자료원: 에티오피아 전력청 – Ethiopia Electrical Power

     

    특히 에티오피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규모는 매년 성장세에 있는데, 에티오피아의 기술력 부족으로 인해 관련 기술 및 제품의 90% 이상은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며, IPP 관련 법령 제정 및 사업성이 뒷받침되는 시점부터는 보다 활성화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에티오피아 신재생 에너지 시장규모

 (단위: USD 천)

구분

2015

2016

2017년(추정)

2018년(추정)

총 시장규모

2,465,633

2,270,770

2,587,634

2,955,383

국내생산

320,073

502,972

553,904

615,756

총 수출

1,966

15,228

16,750

18,425

총 수입

2,147,526

1,783,026

2,250,480

2,358,052

자료원: 미 상무부 – export.gov

 

이밖에 발전소 설계, 건설, 감리 프로젝트도 발주될 전망임에 따라 설계, 감리 분야에 강점을 가진 우리 기업들의 관심과 참여가 기대되고 있다. 현재 4개 수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의 입찰이 계획된 상황이며, 태양광, 풍력, 바이오 매스 등에 대해서는 프로젝트화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 중이다. 세부 정보는 에티오피아 전력청 웹사이트(www.eep.gov.et/tender)에서 확인 가능하다.

 

향후 발주 예정 프로젝트

연번

발전형태

프로젝트 명

발전용량(MW)

현 단계

1

수력

Tekeze II

450

입찰 계획 수립 중

2

수력

Gojeb

150

입찰 계획 수립 중

3

수력

Lower Dedesa

550

입찰 계획 수립 중

4

수력

Lower Dabus

250

입찰 계획 수립 중

5

태양광

-

500

IFC에서 검토 중

6

풍력

-

1000

지역별 풍력정보 수집 중

7

바이오매스

-

420

세부정보는 없음

자료원: 미 상무부 – export.gov, 에티오피아 전력청

 

시장진출 시 유의사항

 

신재생에너지 IPP 사업의 경우 관련 법령 및 제도 마련이 지체되고 있어 실제로 활성화되기 까지는 약 2~3년 이상 걸릴 전망인데, 현재 추진될 예정인 프로젝트의 대다수도 파일럿 테스트의 성격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증과 일정 규모의 시장으로 자리잡기까지는 더욱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편 일부 외국기업에서는 미래시장 선점을 목적으로 에티오피아 관계부처 및 주정부와 협력하여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기부 및 무상 운영을 추진 중에 있으나, 기부를 목적으로 반입하는 설비라 하더라도 통관 및 관세 부과 등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므로 철저한 사전조사 및 준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발전소 설계, 건설, 감리 프로젝트의 경우 프로젝트 오피스 설립 등의 행정적 절차가 복잡하며, 발주처의 지속적인 계획 변경으로 인해 프로젝트 수주 기업들이 많은 시행착오와 애로를 겪고 있다는 점은 특히 유의해야 하는데, 장기차관으로 추진되는 대단위 프로젝트를 제외하고, 건설 프로젝트의 경우 우리기업 대다수는 에티오피아에 기 진출한 중국기업과의 가격경쟁에서 매우 열세이다.

 

한편 설계, 감리 분야에 있어서는 우리기업들의 참여가 매우 활발한 편이나 기 진출한 기업들이 겪는 공통적인 애로사항으로 프로젝트 수주 후 발주처의 잦은 설계 변경 요구 및 설계 변경에 따른 추가 비용을 수주기업이 부담하도록 하는 사례가 빈번하므로 계약조건 및 추진계획(특히 납기)에 대해서는 발주처와 최대한 상세히 협의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에티오피아 건설/인프라/플랜트 산업_전력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