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몽골 소스 시장 동향
  • 상품DB
  • 몽골
  • 울란바토르무역관 Nandintsatsral Amarsanaa
  • 2020-07-24
  • 출처 : KOTRA

- 몽골 소스류 제품 시장 5개년 연속 증가세 –

- 코로나19 여파로 총 수입이 감소 추세이나 대한국 소스 제품 수입은 ‘20년에도 증가세 유지 -

 

 

상품명 HScode

 

  ㅇ 상품명: 소스용 조제품

HS 코드

건설 장비

사진

 

2103.90

 

장류: 된장, 춘장, 고추장, 마요네스, 인스턴트 카레

external_image

 

□ 시장동향

 

  ㅇ 몽골 소스류 시장은 99% 수입에 의존

    - 몽골에는 소스류 제조 공장은 존재하지 않으나 최근 들어 한식을 선호하는 소비자들로 인해 현지 한식당 및 한식에 들어가는 소스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따라서 소비자들이 집에서 한식을 손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소스장을 현지에서 생산하는 기업들이 나타나고 있음. 이들은 한국에서 고추장, 간장, 된장 등 장류를 대량 수입하여 제육볶음, 닭볶음탕, 닭도리탕 등 음식에 들어가는 소스를 제조하고 있으나 전체 소스 시장에서의 비중은 1%에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됨. 즉 몽골 소스류 시장은 거의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시장임.

    - ‘19년 몽골 소스류 수입 시장규모는 1,140만달러로 전년대비 6.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역대 최대 수입 규모임. 이는 최근 소비자 들의 식생활 변화로 소스류 소비가 증가한데다 한국, 독일, 태국, 일본 등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급증한 것에 따른 것임. 또한 동 시장은 5개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향후 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유망시장으로 거듭나고 있음.

최근 5개년 HS코드2103.90에 해당하는 소스류 제품 수입 동향

(단위: 천달러, %)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6월

수입액

(증감률)

7,883.4

(8.7%↑)

9,162.7

(16.2%↑)

10,731.4

(17.1%↑)

11,401.7

(6.2%↑)

4,198.8

(1.2%↑)

자료: 몽골 관세청

□ 몽골 수입동향

 

  ㅇ 몽골 소스시장에는 러시아 및 한국 제품이 우수

    - 몽골은 소스류 제품을 약 25개국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최대 수입국은 이웃국가인 러시아이며, 그 다음으로 한국이 수입 비중 20%대 이상으로 꾸준히 2위를 고수하고 있음. 이들 상위 2개국가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60% 이상으로 러시아와 한국 제품이 현지 소스류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 최대 수입국인 러시아에서는 국물과 음식용 가루 소스가 주로 수입되고 있으며, 2위 수입국인 한국의 경우 쌈장, 고추장, 된장 등 장류 수입이 대다수인 것으로 확인됨.

최근 3개년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

(단위 : 천달러, %)

국가

2018년

2019년

2020.1~6월

수입액

비중

수입액

비중

수입액

비중

1

러시아

4,369.7

40.7

4,598.1

40.3

1,411.5

33.6

2

한국

2,487.4

23.2

2,840.1

24.9

1,192.2

28.4

3

독일

630.7

5.9

988.2

8.7

114.2

2.7

4

태국

452.5

4.2

557.6

4.9

153.3

3.7

5

중국

419.4

3.9

492.2

4.3

374.6

8.9

6

일본

196.5

1.8

440.3

3.9

218.9

5.2

7

폴란드

475.8

4.4

334.3

2.9

215.0

5.1

8

베트남

266.8

2.5

259.4

2.3

142.3

3.4

9

미국

294.2

2.7

230.3

2.0

37.1

0.9

10

필리핀

288.0

2.7

219.3

1.9

58.8

1.4

 

기타

850.4

7.9

441.9

3.9

280.9

6.7

합계

10,731.4

100.0

11,401.7

100.0

4,198.8

100.0

자료: 몽골 관세청

□ 대한국 수입 동향

 

  ㅇ 한국은 몽골의 소스류 수입 제2위국으로 4개년 연속 증가세 유지

    - '15~'19년 대한국 소스류 수입 시장규모는 225만달러로 ‘17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올해의 경우 코로나19 여파로 몽골의 대한국 수입이 상반기 기준 1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스류 수입은 2020년 1월부터 6월까지 연속 6개월간 증가세를 보임. 이처럼 6개월간 증가세를 보인 품목은 담배, 화장품, 페인트, 특수차량 그리고 소스류 제품 등 5개 품목에 그치고 있는데 향후로도 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몽골에는 오뚜기, 청정원, 해표, 샘표, 삼양, Ajumma Republic, 백설, 비비고, 해찬들 등 다양한 브랜드의 한국산 소스류 제품이 유통되고 있음.

최근 5개년 대한국 소스류 수입 동향

(단위: 천달러, %)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6월

수입액

1,828.3

1,963.5

2,487.4

2,840.1

1,192.1

증감률

-15.7

7.4

26.7

14.2

5.3

자료: 몽골 관세청

 

□ 경쟁동향 및 유통구조

 

  ㅇ 현지 장류 제품 시장에는 한국산이 선두

    - 몽골은 수입 의존국가로 소스 시장에도 세계 각국의 제품이 진출되어 있음. 소스 시장 최대 수입국인 러시아에서는 Heinz, Mr.Ricco, Янта, Maggi, Лука 태국의 Sriraja Panich, 베트남의 Chin-Su 등 다양한 브랜드 제품이 유통되고 있음. 몽골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한국 브랜드는 아래와 같음.


한국 소스 제품 수입유통업체 현황

수입업체

비중

수입 브랜드

1

I&R Mongolia LLC

(Homeplaza supermarket 공급처)

www.inr.mn

www.homaplaza.mn

23%

external_imageexternal_imageexternal_image

2

Sky Hypermarket

(Emart 운영업체)

www.e-mart.mn

14.6%

external_imageexternal_image

3

Bayasakh Khulij LLC

www.bayasakh.mn

10.1%

external_image

4

Altanjoloo impex LLC

(Sansar supermarket운영업체)

www.altanjoloo.mn

9.4%

external_image

5

GLF LLC

8.5%

external_image

6

Mongol Korea store LLC

www.mkmall.mn

7.1%

external_imageexternal_imageexternal_imageexternal_image

7

CVS Mongolia LLC

(CU편의점 운영)

www.cumongol.mn

6.4%

external_image

8

Amtat Tsamkhag LLC

www.horecamon.mn

6.2%

external_imageexternal_imageexternal_image

9

Chianti Mongolia LLC

www.koreanfoods.mn

5.3%

external_imageexternal_image

자료: KOTRA울란바토르무역관


  ㅇ 몽골에서는 한국의 모든 소스류 제품이 판매 중

    - 현지 Nomin, Orgil, Sansar, Minii delguur, Good Price 등 체인 슈퍼마켓과 한국의 E마트(3호점 보유) 등 대형 마트 외에 EFES, Absolute, Family mart, Daily Grocers, MK mart, Well mart 등 소규모 마트에서 한국 등 세계 각국에서 수입된 소스류 제품을 구입할 수 있음. 이들 중 한국 소스류 제품이 보다 다양하게 판매되는 마트로는 MK mart, Emart, Family mart 등을 꼽을 수 있음. 상기 마트들에서 판매되는 일부 한국 제품의 소매가는 3천~7천 투그리크대로 달러로는 1.2~2.7US달러로 확인되고 있음. 판매되는 제품으로는 간장, 고추장 등 일반 장류에서부터 김치겉절이 양념 소스, 불닭소스 등 최근 인기제품도 수입, 판매되고 있음.


몽골에서 판매중인 한국 소스류 제품 가격 동향

(단위: 투그리크/mnt)

브랜드명

해찬들

Ajumma Republic

청정원

제품명

태양초

초고추장

순창

 

 

제품사진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판매가격

3,600~6,960

(200gr~500gr)

6,500

(330gr)

3,400~6,300

(200gr~500gr)

 

브랜드명

Bibigo

Ottogi

청정원

제품명

Korean BBQ sauce

골드 마요네스

소돼지불고기 양념

 

 

제품사진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판매가격

7,290~7,630

(480gr)

4,150~9,300

(300gr~500gr)

5,000

(280gr)

: 1US달러의 투그리크 환율은 2,842투그리크로 제품의 달러 단가 산출 시 활용 가능

자료: KOTRA울란바토르무역관 정리


  ㅇ 소스류 제품 유통구조는 수입업체를 통한 유통과 외식기업의 직접 수입으로 구분

    - 몽골 현지 소스류 제품 유통구조를 보면 음식점 및 외식업에 종사하는 기업이 직접 수입하거나 유통업체가 수입후 현지 시장에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

 

몽골 소스류 수입 유통구조

external_image


□ 관세율 및 인증

 

  ㅇ 몽골은 대부분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 5% 적용

    - 소스 제품은 역시 관세율 5%를 적용하고 있으며, 관세 외에 부가세 10%를 납부해야 함. 참고로 몽골은 현재 일본과 경제적 동반자협정(EPA)을 체결한 상태이며, HS코드2103.90에 대한 관세율 5%를 ‘16년부터 매년 1%로 인하하여 현재 ‘20년에는 관세율 1%임. ‘21년부터 일본에서 수입되는 HS코드2103.90에 해당되는 제품은 면세될 예정임.

 

  ㅇ 수입 소스류 제품은 현지에서 인증 및 면허 취득 필요없어 일부 수입규정 사항을 충족하면 통관 가능

    - 몽골은 수입 식품에는 영어, 러시아어, 몽골어 등 3개 언어 중 하나로 라벨링 요구하고 유효기간의 2/3이 남아 있어야 하는 등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며, 구비서류에는 원산지 증명서, GMP또는 HACCP 등 품질증명서를 요구하고 있음.

 

□ 시사점

 

  ㅇ 전통 한국의 맛을 전하는 소스가 풍부한 몽골 식품 시장

    - 몽골 현지인들은 한국 거주 경험자가 많고 한국 음식 문화에 익숙한 소비자가 많아 한식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시에만 해도 한식당이 70여개가 운영되고 있어 이를 반증하고 있음. 또한 한국계 마트 및 편의점 프랜차이즈 진출 확대도 현지인들의 한국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한국 소스 및 식품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따라서 우리기업들은 이런 트렌드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 시장진출에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음. 또한 몽골 시장은 이미 많은 한국기업 제품이 진출해 있어서 치열한 경쟁중에 있어 한국제품 중에서도 가격경쟁력이 있는 제품 또는 차별화된 제품으로 접근해야 하는 시장임.


  ㅇ 현지 한국식품 수입유통체 M사와의 전화 인터뷰에 의하면,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야외활동 제한 및 외식인구가 급감한 반면 가정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대형 소스 보다 가정용 소형 소스 제품 수요가 약 20% 증가했다고 밝힘.

    - 또한 고추장 수입은 약 30% 감소한 반면 BBQ소스 수입은 30% 증가했으며, 이는 가정에서의 요리 가능 제품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함.

 

  ㅇ 깔끔한 라벨에 식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필요

    - 소비자의 식품에 대한 교육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제품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받기를 선호하며, KETO diet 등 다양한 다이어트에 따른 소스 제품 수요도 증가 추세임. 또한 현지 식품 수입 규정에 따라 수입 식품 라벨은 영어, 러시아어, 몽골어 3개 언어 중 하나로 표기되어야 함. 대부분의 수출업체들은 현지어로 번역하여 스티커 작업을 했으나, 최근 들어 처음부터 몽골어로 라벨링한 제품이 출시되는 등 제조단계에서 라벨링한 제품들이 늘어나고 있음. 따라서 몽골 시장 진출시 제품에 대한 세부정보를 표시한 몽골어 라벨링을 제조단계에서 부터 부착하는 것도 시장진출에 도움이 될 것임.

 

 

정보: 몽골 관세청, 통계청, 각 마트 및 수입업체 홈페이지, 현지 언론 기사, KOTRA울란바토르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몽골 소스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