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운동화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0-07-15
  • 출처 : KOTRA

- 中 전국민적인 운동 붐으로 운동화 시장 급부상 -

- 개성과 기술을 접목한 신개념 운동화 및 맞춤제작 운동화, 마라톤 붐에 따른 러닝화 등이 트랜드로 떠올라 -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운동화

HS Code

6402.19.00





시장동향

 

 〇 2016년을 기점으로 전국민 체육이 국가전략에 포함되며 대중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고 있으며 운동 관련 체육시설 등이 개선되기 시작함. 이에 따라 개인의 운동에 필수적인 제품인 중국의 운동화 산업은 새로운 성장기를 맞이함

  - 2019년, 중국의 운동화 및 운동복 시장의 판매액은 3,165.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3% 증가했음. 운동 관련 시장이 나날이 발전해 나가며 중국 운동화 시장의 성장에 기여함. 2019년 중국 운동화의 판매액은 1,829.5억 위안으로서 전년 동기 대비 대폭 증가하였으며, 증가율 20.5%를 기록함.

  -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중국 운동화 시장의 연평균 성장율은 20.6%에 달하며 매우 큰 시장 잠재력을 보여줌.

  - 2020년, 중국 운동화 시장의 예상 매출액은 2,153.8억 위안으로, 2019년보다 17.7%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음.

 

2014-2020년 중국 운동화 시장 매출액

단위: 억 위안, %

external_image

자료: Euromonitor


수입동향

 

 〇 운동화 수입액은 증가 추세

  - 2019년, 중국의 운동화 수입액은 63,442천 달러로서 전년 동기 대비 85.7% 증가하였음.

  - 2014~2018년, 중국 운동화 수입액의 변동은 비교적 큰 편이며, 2017년 수입액은 15,700천 달러로서 전년 동기 대비 47.0% 하락하기도 함.

    

2014-2019년 중국의 운동화 수입액(6402.19.00 기준)

단위: 천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 한국무역협회


 〇 미국, 베트남, 인도네시아가 수입국(지역) 상위 3위를 차지

  - 2019년 미국으로부터의 운동화 수입액은 17,266천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29.6% 증가하였으며 미국은 2019년에 들어 1위에 안착함.

  - 노동력이 풍부하고 인건비가 저렴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들의 생산거점으로 새롭게 태어나며 수입국가 순위의 상위에 자리잡음. 특히 베트남(2위), 인도네시아(3위), 캄보디아(5위) 등에 공장을 설립하여 생산하고 있는 추세임.  

  - 2019년, 한국은 수입국(지역)에서 12위를 차지하였으며, 전년 동기 대비 154.4% 증가한 수치를 기록함.

 

2017-2019년 중국의 운동화(6402.19.00기준) 수입액 Top10 국가(지역)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지역)

2017년

2018년

2019년

증가율

(2019/2018

1

미국

22

5,239

17,266

229.6%

2

베트남  

4,104

7,400

14,265

92.8%

3

인도네시아  

5,651

10,524

10,613

0.8%

4

이탈리아  

356

1,339

3,416

155.0%

5

캄보디아  

3,055

3,004

2,647

-11.9%

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815

1,572

2,349

49.4%

7

홍콩  

0

586

2,182

272.2%

8

영국  

5

847

1,566

85.0%

9

독일  

68

915

829

-9.4%

10

인도  

19

46

640

1286.4%

12

한국  

55

169

429

154.4%

 

합계  

15,700

34,163

63,442

85.7%

자료: 한국무역협회


 〇 대한국 수입동향

  -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으로부터의 운동화 수입액은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으며, 감소폭이 비교적 뚜렷함.

  - 2017년부터 수입이 회복 되었으며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206.4%, 154.4%의 큰 폭의 증가를 기록함.

  - 현재까지 한국으로부터의 운동화 수입액은 전체 비중에서 그리 크진 않지만 미래의 성장 잠재력은 매우 큰 것으로 전망함.


2015-2019년 중국의 대한국 운동화 수입액(6402.19.00 기준)

단위: 천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 한국무역협회


경쟁동향

 

 〇 시장 집중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중국 국내 브랜드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음.

  - 현재 중국의 운동화 시장은 나이키, 아디다스, 안타(ANTA)등과 같은 소수의 브랜드 기업들이 점유하고 있음. 업계 및 브랜드에 대한 집중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임. 운동화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일부 기업들의 경우 끊임 없는 연구개발과 적극적인 투자 및 홍보를 통해 경쟁 장벽을 구축하는데 유리한 상황이며, 이를 통해 시장 집중도와 브랜드 가치를 나날이 높여가고 있음.  

  - 2019년, 중국의 운동화 및 운동복 브랜드 점유율 상위 3개 브랜드는 각각 아디다스, 나이키 그리고 중국기업 안타로서, 그 중 아디다스와 나이키는 시장 내에서 압도적인 우세를 차지하고 있음. 이 두 브랜드가 전체 시장점유율의 35.8%를 차지하고 있음. 상위 10개 브랜드 중 중국 로컬브랜드는 총 4개가 있으며, 휠라(FILA)의 경우 중국 내에서의 브랜드 사용권은 안타가 소유(합작법인)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시장 중 중국 브랜드가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음. 중국 로컬 브랜드의 경우 높은 가성비와 더불어 자국산 제품 구매열풍 그리고 친숙한 홍보대사 영입을 통해 소비자층을 점진적으로 확대해나가며 시장 점유율을 높여나가고 있음.  

 

2017-2019년 중국 운동화 및 운동복 Top10 브랜드 시장점유율

(단위: %)

브랜드

국가

2017

2018

2019

Adidas

external_image

독일

16.9%

17.5%

18.4%

Nike

external_image

미국

16.7%

17.1%

17.4%

Anta

external_image

중국

8.4%

9.0%

8.9%

Skechers

external_image

미국

4.5%

5.6%

6.7%

Li Ning

external_image

중국

5.9%

5.7%

5.9%

Fila

external_image

이탈리아

2.4%

3.6%

5.2%

Xtep

external_image

중국

4.4%

4.5%

4.9%

361 Degrees

external_image

중국

3.9%

3.2%

2.7%

Converse

external_image

미국

2.3%

2.2%

2.1%

New Balance

external_image

미국

3.3%

2.6%

2.1%

자료: Euromonitor


유통구조 및 관세율

 

 〇 유통구조

  - 온라인 전자상거래가 성장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운동화 제품 특성상 오프라인은 여전히 시장의 주요 유통통로임.

  - iMedia Research(艾媒咨询)에 따르면, 2018년 중국 운동화 및 운동복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판매액은 각각 465억 위안, 144억 위안으로 오프라인 점유율이 전체의 65.6%, 성장가치 기여율은 4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온라인 점유율은 33.2%로 성장가치 기여율은 52.0%를 기록함.


 〇 관세율

  - 2020년, 중국이 한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운동화(6402.19.0090 기준)의 세율은 아시아태평양무역협정에서 규정한 세율에 따라 최저 세율은 5.0%임.

  

APTA세율

한중 FTA세율 

최혜국세율(MFN)

일반세율

5.0% CIF

16.8% CIF

10.0% CIF

100.0% CIF

자료: 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망(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 한중 FTA 협정 관세 양허 규정(6402.19.0090기준)

년도

세율(%)

MFN

24

2015

22.8

2016

21.6

2017

20.4

2018

19.2

2019

18

2020

16.8

2021

15.6

2022

14.4

2023

13.2

2024

12

2025

10.8

2026

9.6

2027

8.4

2028

7.2

2029

6

2030

4.8

2031

3.6

2032

2.4

2033

1.2

2034

0

* 관세 양허 유형: 20 (원산지 화물의 관세는 본 협정이 효력을 발생한 일자부터 20년 내 비례하여 감액되며, 20년차 11일부터 관세를 면제한다)


전망 및 시사점


 〇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운동화 업계의 지속 발전을 추진

  - 중국 브랜드들의 경우 운동과학기술에 대한 중요성 강조와 끊임 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고유의 운동화 제작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베이따중헝업종센터(北大纵横中心) 사장 천펑(陈鹏)은 소비의 업그레이드 및 대중들의 건강인식 제고에 따라 더 많은 소비자들이 운동을 즐기고 좋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운동화의 기능에 대한 요구 사항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라고 밝혔으며 효율적이며 첨단기술이 접목된 다양한 운동화가 많은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임.


 〇 개성화 맞춤제작이 빠르게 성장 중

  - 소비자의 개성을 살린 맞춤식 기능형 운동화는 3D시각화, 3D프린트, 인체 데이터베이스 구성, 3차원 인체측정 등 기술의 보급 응용으로 운동화 맞춤제작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보장할 것으로 기대함.


 〇 런닝화가 운동화 시장의 새로운 성장포인트가 될 것으로 기대 

  - 최근 중국의 마라톤대회와 관련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관련 대회가 201122회에서 20191,828회로 9년 사이 83배나 급격히 증가함. 설문조사에 따르면 40%의 마라토너들이 일반적으로 3~4쌍의 런닝화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따라서 마라톤대회의 대중화 및 빠른 보급에 따라 미래 런닝화의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런닝화가 운동화 시장의 성장 포인트가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 끝으로, 현지 운동화 시장에 진출을 준비 중인 우리 기업의 경우 빠르게 변하는 현지 트렌드를 정확히 파악하고 한국이 가진 창의적인 디자인과 실효성을 융합시킨 운동화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건강을 강조한 기능성 운동화 및 젊은 소비자층을 타켓으로 한 새로운 수요와 틈새시장을 찾아 발굴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자료: 챈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아이메이망(艾媒), 중국산업경제정보망(中国产业经济信息网),

신랑재정(新浪财经), Euromonitor, 한국무역협회, KOTRA상하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운동화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