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공기청정기 시장 동향
  • 상품DB
  • 인도
  • 뭄바이무역관 경기우
  • 2019-12-26
  • 출처 : KOTRA

- 숨막히는 인도, 숨통트이는 공기청정기 시장 -

- 실내 공기오염 문제에 대한 인도 소비자 교육이 절실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공기청정기


  ㅇ HS Code: 8421.39

 

□ 인도 공기청정기 시장 개요


  ㅇ 인도 공기청정기 시장 정의

    - 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기에서 오염 물질을 정화하여 신선하고 쾌적한 공기로 바꾸어주는 장치이며, 황사, 알레르기 물질,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어 대기오염 피해가 극심한 국가에서 수요가 높음

    -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Frost&Sullivan이 발간한 보고서 ‘Indian Air Purifiers Market’에 따르면, 인 내 유통되는 공기청정기는 사용 방식에 따라 하기의 세 가지 제품으로 분류할 수 있음

 

공기청정기 종류

제품 설명

HEPA 필터식 공기청정기

·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filter의 약어로, HEPA 필터는 0.3μm의 입자를 1회 통과시켰을때 공기중 먼지의 99.97%이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냄새 및 기타 유해 가스제거에도 탁월

음이온 발생식 공기청정기

· 전기를 사용해서 음이온을 공기 중에 방출하며, 먼지, 박테리아, 꽃가루, 알레르겐 등 양으로 하전된 입자에 부착, 가라앉히는 방식을 사용

오존 발생식 공기청정기

· 오존 분자를 방출하고 강한 냄새 및 공기 중의 화학 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

자료: Frost & Sullivan report on Air Purifiers


    - HEPA 필터식 공기청정기가 98.4%의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음이온 발생식 및 오존 발생식은 수요가 극히 적은 것으로 파악


공기청정기(방식별) 시장 점유율

자료: Frost & Sullivan report on Air Purifiers

 

  ㅇ 인도 공기청정기 시장 현황

    -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도 주요 도시의 대기오염은 심각한 것으로 알려진데 반해 공기청정기의 보급률은 매우 낮음

 

인도 대기오염도 상위 10개 도시

연번

도시명

대기 질 지수(AQI)

범례

1

비히와디

431

심각

2

가지아바드

421

심각

3

델리 수도권(NCR)

414

심각

4

파리다바드

375

매우나쁨

5

러크나우

373

매우나쁨

6

구루그람

361

매우나쁨

7

노이다

347

매우나쁨

8

로타크

346

매우나쁨

9

자이푸르

340

매우나쁨

10

아그라

326

매우나쁨

자료: Frost & Sullivan report on Air Purifiers

 

    - 대중에게 영향을 미치는 공기오염에 대한 척도, 대기 질 지수(AQI, Air Quality Index)는 통상 300을 넘어가면 매우 나쁨(Severe) 또는 심각(Hazardous)으로 분류되는데, 인도 내 주요 도시는 대부분 이 범주에 해당하는 것으로 드러남

    - 델리 수도권(NCR, National Capital Region), 하리아나주, 우타르 프라데시주 등 대기오염이 심각한 서북부 지역에서 공기청정기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 인도 내 공장 및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먼지뿐만 아니라, 자동차 매연, 농작지 소각 매연, 힌두 축제에서 터뜨리는 폭죽 매연, 그리고 지리적 환경 요인 등으로 인해 연중 대기오염이 지속되며 실내외 공기의 오염도가 모두 높은 상황

    - 인도에 진출한 공기청정기 기업들은 대중 매체, 소셜미디어를 통해 오염된 공기가 건강에 주는 영향에 대해 알리고 자사 제품을 홍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 인식이 점차 바뀌고 가정용 공기청정기의 판매는 증가하는 추세

    - 상기와 같은 시장 환경에도 불구, 아직까지 인도의 일반 대중에게 공기청정기는 필수품이 아닌 사치재로 인식되고 있음

    - 관련 인증 제도가 미비하여 공기청정기의 성능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가 깊숙히 자리잡지 못한 점, 높은 유지보수 비용, 부족한 전력 인프라 등이 앞으로 당 시장이 성장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임


  ㅇ 공기청정기 시장 규모 및 예측

    - 인도 공기청정기 시장 규모는 회계연도 2018년 기준 6,160만 달러로, 2023년까지 연평균 35.8% 성장하여 2억 8,360만 달러에 이를 전망

    - 공기청정기의 판매 대수는 회계연도 2018년 기준 274,000대를 기록하였으며, 회계연도 2018년에서 회계연도 2023년까지 연평균 39.9% 성장할 전망

    - 기업간 가격경쟁이 격화, 전 제품 라인의 가격이 하락하는 추세이며, 특히 143~257 달러 사이의 저렴한 공기 청정기에 대한 수요가 높음

    - 30개 이상의 기업이 동 시장 내에서 점유율 확보를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으며, 이에 그치지 않고 유수의 해외 가전 기업이 인도 시장 진출을 고려중

 

공기청정기 시장 현황 및 전망

(단위: 백만 달러, 천 대)

연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매출액

61.4

83.3

113.2

153.7

208.8

283.6

판매대수

274

383

535.5

748.6

1047

1470

자료: Frost & Sullivan report on Air Purifiers

 

공기청정기 방식별 매출액 현황 및 전망

(단위: 백만 달러)

연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HEPA 필터식

60.3

82.2

111.8

152.1

206.8

281.3

음이온 발생식

0.6

0.7

0.8

1.0

1.1

1.4

오존 발생식

0.5

0.5

0.6

0.7

0.8

0.9

자료: Frost & Sullivan report on Air Purifiers

 

□ 국가별 수입현황 및 한국 제품 對인도 수출현황

 

  ㅇ 공기청정기 (HS Code 8421.39 기준)

    - 2018년 1~2분기 기준, HS Code 8421.39의 총 수입액은 2억 8,926만 4천 달러

    - 주요 수입원은 미국, 독일, 중국으로 총 58%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2018년 기준 대한민국의 對인도 수출액은 약 637만 4천 달러 수준이며 11위에 위치

 

인도의 국가별 공기청정기 수입현황(HS Code 8421.39기준, 2019년 1~2분기)

자료: DGCI&S, Ministry of Commerce

 

인도의 국가별 공기청정기 수입현황 (HS Code 8421.39 기준)

(단위: 백만 달러)

구분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연번

국가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  18/17  -

0

-- 전세계--

172.43

233.31

289.26

100

100

100

23.98

1

미국

21.80

26.05

66.86

12.64

11.16

23.11

156.68

2

독일

42.53

63.22

54.03

24.67

27.1

18.68

-14.54

3

중국

28.51

37.55

48.32

16.53

16.09

16.71

28.68

4

싱가포르

2.26

2.76

17.44

1.31

1.18

6.03

531.68

5

영국

9.06

7.07

10.64

5.26

3.03

3.68

50.51

6

태국

7.28

10.59

10.19

4.22

4.54

3.52

-3.73

7

네덜란드

1.00

1.93

8.85

0.58

0.83

3.06

357.85

8

이탈리아

3.11

7.00

8.47

1.81

3

2.93

21.05

9

일본

4.87

3.76

7.15

2.82

1.61

2.47

90.42

11

대한민국

10.94

7.42

6.37

6.34

3.18

2.2

-14.09

: 해당 HS Code로 분류된 모든 상품을 포함한 통계

자료: DGCI&S, Ministry of Commerce

 

□ 경쟁 동향


  ㅇ 주요 경쟁사

    - 시장점유율 상위 3개 기업 Philips, Sharp, Kent는 각 22.8%, 17.7%, 12.1%의 점유율을 확보, 도합52.6%의 점유율로 동 시장을 주도

    - 뭄바이에 소재한 인도 가전 기업 Eureka Forbes는 약 1,800개의 대리점과 1800개의 서비스 센터를 기반으로 하는 대규모 유통망을 구축, 기존 주력 제품인 진공청소기와 정수기에 이어 공기청정기 시장에 진출

    - 중국 기업 Xiaomi는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점유율 확보에 나섰음

    - 한국 기업 삼성은 2017년에 공기청정기 시장에 진입, 가격대 15,490~41,990루피의 고가 제품을 판매하며 프리미엄 소비자층을 타겟팅하고 있음


연번

회사명

소재지

설립연도

웹사이트

1

Philips India Ltd.

구르가온

1930

https://www.philips.co.in

2

Sharp Business Systems (India) Private Ltd

뉴델리

1912

https://www.sharpindia.co.in

3

Kent RO Systems Ltd

노이다

1999

https://www.kent.co.in/

4

Xiaomi Technology India Private Ltd

벵갈루루

2010

https://www.mi.com/in/

5

Eureka Forbes Ltd.

뭄바이

1982

https://www.eurekaforbes.com

6

Panasonic India Pvt. Ltd.

하리아나

1918

https://www.panasonic.com/in/

7

Blueair-Acquired by HUL

뭄바이

1996

https://www2.blueair.com/in/

8

Blue Star Limited

뭄바이

1943

https://www.bluestarindia.com

9

Atlanta Health care

구르가온

1997

https://www.atlantahealthcare.in

10

Honeywell International India Pvt. Ltd.

구르가온

1906

https://www.honeywell.com/en-us/global/en-in

11

Samsung

뉴델리

1938

https://www.samsung.com/in/

자료: 각 사별 웹사이트


□ 유통구조, 관세, 필요 인증 및 규정

 

자료: Frost & Sullivan report on Air Purifiers, Personal Interview


    - 공기청정기의 유통은 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72%, 직접 판매를 통해 20%, 전자상거래를 통해 8%의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음

    - 현재 e-zone, Croma, Vasanth, Viveks 및 Girias와 같은 소매 가전 유통기업을 통해 대부분의 직접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공기청정기 기업들이 Amway, Vestige, QNet과 같은 대형 유통기업과 제휴를 맺고 유통망 구축에 나서고 있어 직접 판매는 더욱 늘어날 전망

    - 온라인 채널을 통해 직접 구매를 할 경우, 소매 업체를 통한 중간 유통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제품 가격이 낮아지는 것으로 관찰됨

 

  ㅇ 관세

 

        공기청정기 무역협정 적용여부 및 특혜세율(HS code 8421.39기준)

수입국

자유무역협정 해당 여부

특혜세율

유/무

기본관세율(%)

총세율(%)

대한민국

한-인도 CEPA 해당

아시아태평양무역협정 해당

CEPA-

APTA-

8%

28.384%

미국

협정 없음

10%

30.98%

독일

협정 없음

10%

30.98%

중국

아시아태평양무역협정 해당

8%

28.384%

자료: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주요 수입국별 관세구조 및 적용세율

자료: http://www.indiantradeportal.in

 

아시아태평양무역협정 적용시 관세 계산 구조

구분

세율

공식

최종세액

관세표준(AV)

-

100

 

기본관세율(BCD)

8%

8%X(AV)

8.00

사회복지세(SWS)

10%

10%X(BCD)

0.80

수입부가세(IGST)

18%

18% X (AV+BCD+SWS)

19.584

총 세액

 

BCD+SWS+IGST

28.384

자료: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아시아태평양무역협정 비적용시 관세 계산 구조

구분

세율

공식

최종세액

관세표준(AV)

-

100

 

기본관세율(BCD)

10%

10%X(AV)

10.00

사회복지세(SWS)

10%

10%X(BCD)

1.00

수입부가세(IGST)

18%

18% X (AV+BCD+SWS)

19.98

총 세액

 

BCD+SWS+IGST

30.98

자료: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ㅇ 필수 인증, 등록 및 관련 규정

    - 인도에서 공기청정기 시장은 신생 시장으로 분류되며, 현행법상 수입 및 인증에 관련한 규정이 없음

    - 고객 홍보를 위해 공기청정기 업계가 사용하는 주요 인증으로는 미국의 AHAM(Association of Home Appliance Manufacturers), 유럽의 ECARF(European Centre for Allergy Research Foundation), 중국의 GB/T 18801 인증이 존재

    - Blueair, Bosch, Electrolux, Honeywell, LG, Philips, Sharp, Wirlpool 등 기업이 자사 제품에 AHAM 인증을 부여받아 인도 시장 진출시 마케팅 목적으로 사용


□ 시사점


  ㅇ 숨막히는 인도, 숨통 트이는 인도 공기청정기 시장

    - 인도 중산층의 소득 증가, 건강인식 제고, 대기오염 상승 등의 요인이 성장 동력이 되어 향후인도 공기청정기 시장은 크게 활황할 것으로 예상

    - 인도 공기청정기 시장은 수입 의존도가 높아 해외 기업의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공기청정기 기업은 프리미엄 주거 시설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어, 주거 옵션으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판매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

    - 디왈리 축제 기간인 10월을 전후하여 온라인 구매량이 대폭 상승하므로, 이러한 축제 특수와 대기오염이 증가하는 연말의 시기적 동일성을 활용하여 공기청정기를 홍보한다면 판매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

    - 공기청정기 부문에 인도 표준 인증 규격인 BIS인증이 장차 도입될 경우, 저가의 저품질 공기청정기는 시장에서 퇴출되고, 고품질 공기청정기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

    - 향후 기술력이 발전하면 공기청정기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자동 온/오프 기능 등이 적용되어 일상 속의 사물인터넷(IoT) 제품으로 발전할 전망

    - 아시아태평양무역협정으로 미국, 독일 등과 비교하여 낮은 관세율을 누리는 한국의 우수한 공기청정기 제품이 인도 시장에 진출하는데 있어 유리할 것으로 사료


  ㅇ 관계자 인터뷰

세부사항

작성 내용

회사명

Infinity Retail (Tata Croma)

관계자

Mr. Venu Gopal

웹사이트

www.croma.com

의견

· 인도의 주요 도시에서 대기 오염이 위험한 수준에 도달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호흡기 건강에 대해 관심을 높이고 있음

· 실외 공기만큼이나 실내 공기의 오염이 심각한 수준이며, 이에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고자 소비자들의 공기청정기 수요가 증가

· 호흡기 질환자, 천식 환자 등 기저질환자, 유아, 임산부, 고연령층 등 취약계층이 무방비 상태로 대기오염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는 인도 내 커다란 사회적 이슈가 되었음

· 200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인도에서 정수기를 구입하는 소비자는 거의 없었으나 현재 인도 도심의 가정은 대부분 정수기를 보유하고 있듯이, 공기청정기도 언젠가 모든 가정 및 사무실에서 한대씩 보유하는 시기가 도래할 수 있음

· 소규모 가정용, 사무실용, 휴대성을 높인 미니 청정기, 그리고 색다른 디자인을 적용한 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공기청정기가 출시되고 있음

· 현재 인도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주요 브랜드로는 Phillips, Xiaomi 및 Honeywell이 있음

· 현재 중국 기업 Xiaomi는 저렴한 가격대의 공기청정기를 통해 인도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고 있음

·  일본 기업 Daikin은 일본 오사카에 소재한 본사로부터 공기 청정기를 직접 수입하며, 프리미엄 공기청정기 부문을 타겟팅하고 있음



자료: Frost&Sullivan, 인도 관세청 홈페이지, 인터뷰,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공기청정기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