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국 배관 연결구 시장 동향
  • 상품DB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우은정
  • 2019-12-24
  • 출처 : KOTRA

- 한국산 플라스틱 배관 연결구 대미 수출, 전년 대비 109.87% 증가 -

- 美 부동산 시장과 건설업의 회복세로 배관 연결구 수요 또한 성장할 전망 -

 

 

 

□ 상품명 및 HS Code

 

  ◦ 상품명: 배관 연결구

    - 배관 연결구란, 산업 및 주거·상업의 용도로 쓰이는 배관(Plumbing) 설비인 관(Tubes), 파이프(Pipes), 호스(Hoses) 등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Fittings)를 의미

    - 외형과 사용 용도에 따라 조인트(Joint), 엘보(Elbow), 플랜지(Flange), 커플링(Coupling), 슬리브(Sleeve) 등 종류가 다양함.

 

  ◦ HS Code: 3917.40 7307

    - 배관 연결구는 플라스틱·쇠·강철·구리·알루미늄 등 그 재질에 따라 각각 다른 HS Code로 분류됨.

    - 본 글에서는 쇠·강철(Iron or steel) 배관 연결구(HS Code 7307) 및 플라스틱 배관 연결구(HS Code 3917.40)를 기준으로 살펴보고자 함.

 

다양한 종류의 배관 연결구

EMB00001de4be8d  EMB00001de4be8e  EMB00001de4be8f  EMB00001de4be90

자료: Google 이미지 검색(Labeled for noncommercial reuse)

 

□ 시장 규모 및 동향

 

  ◦ 시장 규모

    - 산업시장 전문 리서치 기관 Freedonia의 미국 배관 연결구 산업 시장 보고서(Plumbing Fittings: United States, 2017 8월 발간)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미국의 배관 연결구 시장 규모는 약 506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2011년부터 연평균 약 6.3% 성장한 수치임.

    - 미국 배관 연결구 산업 시장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향후 2021년에는 연평균 3.3% 성장한 약 5940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Freedonia는 예측함.

 

2006~2016년 미국 배관 연결구 수요 변화 추이

(단위: US$ 백만)

EMB00001de4be93

자료: Freedonia(Plumbing Fittings: United States, 2017 8월 발간)

 

  ◦ 시장 동향

    - 2006년 시작된 미국 부동산 시장의 약화로 그 직후인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배관 연결구 시장 또한 꾸준한 수요 감소를 겪었고, 그 이후 2012년부터 경기가 회복됨과 더불어 부동산 시장과 건설업 또한 활기를 띠기 시작하며 해당 시장의 수요는 점차 회복되었음.

    - 배관 연결구의 수요를 이끄는 주요 트렌드로는 활발한 신규 주택 개발로 인한 배관 설비의 수요 증가, 주택뿐만 아니라 상업용 시설 및 건물의 건설 증가, 물 절약을 위한 효율적인 배관 시스템에 대한 수요 증가 등을 꼽을 수 있음.

    - 주택 개·보수 관련 분야는 미국 전체 배관 연결구 수요 중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시장임. 주택 가격 상승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화장실이나 주방 등의 시설을 더욱더 고급스럽게 개조하려는 주택 보유자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주방 싱크대, 화장실 시설, 욕조, 샤워기 등의 배관에 사용되는 다양한 연결구에 대한 수요로 이어지고 있음.

    - 학교, 헬스 케어 시설, 사무실 등의 상업용 건설 또한 2021년까지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돼, 이에 따른 배관 연결구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분석됨.

 

□ 수입 동향

 

  ◦ 미국의 배관 연결구 수입 동향

    - 미국의 쇠·강철(Iron or steel) 배관 연결구(HS Code 7307) 수입액은 2018년 기준 약 276311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같은 기간 플라스틱 배관 연결구(HS Code 3917.40) 수입은 약 5164만 달러를 기록함. 쇠·강철 배관 연결구와 플라스틱 배관 연결구의 수입은 전년 대비 각각 31.32% 13.49% 증가함.

    - 쇠·강철 배관 연결구의 경우, 최대 수입국은 2018년 약 102174만 달러를 기록한 중국으로, 중국산 제품은 미국 전체 배관 연결구 수입 시장에서 약 37%라는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중국 다음으로는 약 29753만 달러 규모를 기록한 인도로, 인도산 제품 수입은 전체 수입 시장에서 약 11%의 비중을 보임.

    - 플라스틱 배관 연결구는 2018년 기준 약 11221만 달러를 기록한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가장 많았으며, 중국산 제품은 미국 전체 배관 연결구 수입 시장에서 약 22%의 비중을 기록함.

 

최근 3년간 미국의 쇠·강철 배관 연결구 수입 동향(HS Code 7307 기준)

(단위: US$ 백만, %)

자료: Global Trade Atlas(2019.11.26)

 

최근 3년간 미국의 플라스틱 배관 연결구 수입 동향(HS Code 3917.40 기준)

(단위: US$ 백만, %)

 

자료: Global Trade Atlas(2019.11.26)

 

  ◦ 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

    - 2018년 미국의 한국산 쇠·강철 배관 연결구 수입액은 약 23211만 달러, 플라스틱 배관 연결구 수입액은 약 873만 달러로 집계됨.

    - 쇠 및 강철 소재 연결구의 경우, 전체 수입 시장에서 약 8%의 비중으로 수입국 중 3위를 기록했으며, 플라스틱 소재 연결구의 경우에는 약 2%의 비중으로 수입국 중 9위를 기록함.

    - 미국의 한국산 배관 연결구 수입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냈으며, 쇠·강철 및 플라스틱의 두 품목 모두에서 전년 대비 각각 85.1% 109.87%라는 괄목할만한 성장을 기록해 향후에도 꾸준한 성장이 기대됨.

 

□ 경쟁 동향

 

  ◦ 경쟁 현황

    - Freedonia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배관 연결구 산업 시장의 경쟁 구도는 적은 수의 메이저 플레이어 기업들에 매우 집중된 경향이 있음.

    - 미국 전체 배관 연결구 판매 시장의 59%를 상위 3개의 경쟁 기업이 점유하고 있으며, 3개 기업들로는 Masco(점유율 21%), Fortune Brands Home & Security(21%), Kohler(18%)가 꼽힘.

    - 이 외의 주요 기업으로는 Fluidmaster, Rexnord, Sloan Valve, Spectrum Brands 등이 있음.

 

□ 유통구조

 

  ◦ 주요 수요처

    - 배관 연결구 제품은 신규 주택 분야, 주택 개조 및 보수 분야, 상업용 건설 분야 및 교통수단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로 유통되는 것으로 분석됨.

    - Freedonia에 따르면, 위의 분야 중에서도 배관 연결구의 가장 큰 주요 수요처는 주택 개조 및 보수 분야로, 2016년 기준 해당 시장에 대한 전체 수요 중 약 47%가 주택 개조 및 보수 분야에 해당함.

    - 신규 주택 분야로의 유통 또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연평균 약 20%라는 가파른 성장을 기록했으며, 2021년까지 향후 5년간 약 7%의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됨.

    - 한편, 간단한 화장실·샤워 및 주방 시설을 갖춘 레저용 차량(RV) 및 보트의 사용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교통수단 분야에의 배관 연결구 유통 또한 2021년까지 연평균 약 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관세율 및 수입규제

 

  ◦ 관세율

    -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에 따르면, 플라스틱 배관 연결구인 HS Code 3917.40의 경우 5.3%의 일반 세율이 적용되며, 한국산의 경우 한미 FTA에 따라 2019년까지 1%의 협정 관세율이 적용됨. (2021년부터 관세 철폐)

    - 쇠 및 강철 배관 연결구인 HS Code 7307의 경우, 하위 품목에 따라 적게는 무관세에서부터 많게는 6.2%까지의 일반 세율이 적용되지만, 한국산의 경우 한미 FTA로 인한 관세 혜택으로 대부분의 하위 품목에 무관세가 적용됨. 일부 하위 품목의 경우 현재는 한국산 제품도 0.6%에서부터 2.2%의 협정 관세가 적용 중이나, 2021년부터는 관세가 철폐될 예정임.

 

  ◦ 수입 및 통관 제도

    - 한미 FTA 협정상의 원산지 결정 기준에 따라 한국산으로 인정받는 제품은 통관 시 원산지 증명서 등의 필요서류를 갖춰야 하며, 세관에서 제출을 요구하지 않아도 미리 갖추고 있어야 함.

    - 미국 세관에서는 한미 FTA를 포함한 다양한 무역 협정에 따른 원산지 사후 검증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원산지 증명서, 납품업체로부터 받은 원자재 확인서 등의 관련 서류는 통관일로부터 5년 동안 보관해야 함.

    - 특히 미국은 전반적인 물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연방 및 주 정부 단위의 물 사용 효율성 규제(Water Efficiency Standards) 및 인센티브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으며, 미국 환경청(EPA)에서는 물 절약을 위한 자발적 참여 프로그램인 ‘WaterSense’를 관할하고 있음. (관련 내용: https://www.epa.gov/watersense) 따라서 미국 배관 연결구 시장에 진출하려는 기업들은 수출 이전에 위와 같은 연방 및 지역 정부의 규제 등을 철저하게 확인해 준비할 필요가 있음.

 

주별 물 사용 효율성 프로그램들(State-Level Water Efficiency Programs)

EMB00001de4be92

자료: Freedonia(Plumbing Fittings: United States, 2017 8월 발간)

 

□ 시사점

 

  ◦ 주요 수요처 산업의 성장으로 배관 연결구 수요도 증가 예상

    - 2006년 미국의 경기 침체 당시, 부동산 시장의 몰락과 건설업의 침체로 인해 전반적인 배관 설비 및 연결구에 대한 수요가 대폭 줄었으나, 2011년 이후 경제 상황이 회복되기 시작하며 배관 연결구를 필요로 하는 건설업 및 부동산 시장 등이 다시 활성화됨에 따라 관련 수요 또한 회복되는 양상임.

    - 특히, 오래된 건물 및 시설에 대한 재개발 및 개조·보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로스앤젤레스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 L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는 취임과 더불어 대대적인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한 바 있어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다양한 지역에서 노후화된 기존 인프라 시설을 보수하거나 신설할 계획을 꾸준히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짐.

    - 공공 인프라에 해당하는 건물 및 시설에는 배관 시스템 또한 필수 구성 요소이므로, 이에 동반되는 배관 및 연결구와 같은 배관 설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며 새로운 수요 창출 기회가 생겨날 것으로 분석됨.

    - 미국의 배관 연결구 판매 시장은 몇몇 메이저 플레이어 기업들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집중된 경쟁 시장이지만, 그 외의 소규모 기업들도 특정 지역에 초점을 맞춘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어, 관련 업계의 우리 기업들은 시장 진출 시 이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겠음.

 

  ◦ 배관 연결구 시장 진출 시 유의할 사항

    - 미국에서 사용되는 배관 연결구 등의 배관 설비 중 건축·건설 분야 및 유틸리티 분야로 유통되는 제품의 경우, 배관의 용도 및 건물 용도에 따라 규격이 다양하며 지역별로 이러한 규격 기준 및 인증 등이 다를 수 있음. 따라서 미국 배관 연결구 시장으로 제품을 수출하는 기업들은 이를 사전에 철저히 확인할 필요가 있음.

    - 앞서 언급했듯이, 물 절약을 강조하는 미국에서는 연방 및 주 정부 단위로 물 사용 효율성 규제가 존재하며 관련된 인센티브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므로, 진출 혹은 납품을 계획 중인 해당 지역의 관련 규제를 사전에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함.

    - 플라스틱 및 쇠·강철 합금 소재의 배관 연결구에 해당하는 HS Code 3917.40 7307의 하위 품목들은, 지난해 7월부터 올해 9월까지 발효된 미국의 대중 통상제재인 무역통상법 301조의 2차와 3차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음.

    - 따라서 원산지가 중국인 해당 제품에는 2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고 있으나, 한국산 제품은 한미 FTA로 인해 적게는 무관세부터 많게는 2.2%까지의 협정 관세가 적용되므로, 미국 수입 시장 내 경쟁과 관련해 이를 참고할 수 있겠음.

 

 

자료: Freedonia, Global Trade Atlas,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관세법령정보포털, Pixabay, Google, 그 외 KOTRA 로스앤젤레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배관 연결구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