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주방용품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
  • 뭄바이무역관 경기우
  • 2019-11-29
  • 출처 : KOTRA

- 비점착성(Non-Sticking)이 우수한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

- 코팅 기술과 디자인이 뛰어난 한국 제품에 좋은 기회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주방용품


  ㅇ HS Code: 3924.10

 

□ 주방용품 시장 개요


  ㅇ 주방용품 시장 정의 및 규모

    - 해당 뉴스에서 다루는 주방용품은 음료용기, 날붙이류, 식기류, 취사도구, 보관용기, 조리용기구 등으로 세분해 분석함.

    - 2019년 6월 유로모니터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 주방용품 시장 규모는 23억8500만 달러로 추산

    - 주방용품 시장은 회계연도 기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9.7%의 성장률을 보임.

 

  ㅇ 주방용품 시장 예측

    - 인도 주방용품 시장 규모는 회계연도 기준 2018년에서 2023년까지 연평균 3.3% 증가해 2023년에는 시장 규모가 27억8900만 달러에 이를 전망

    - 날붙이류 세분시장은 2018년에만 약 9%에 이르는 성장률을 기록하며,세분시장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

 

주방용품 세분시장의 연도별 매출 규모 현황 및 예측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음료용 용기

(HS Code 7013.49)

44

48

50

52

54

날붙이류

(HS Code 8215.20)

82

90

93

96

99

식기류

(HS Code 6911.10)

639

699

729

760

792

취사도구

(HS Code 7323.93)

889

954

979

1,004

1,029

보관 용기

(HS Code 3926.90)

429

464

480

499

521

조리용기구

(HS Code 7323.94)

112

120

121

123

125

총 주방용품

2,196

2,375

2,451

2,534

2,619

자료: 유로모니터

 

  ㅇ 주방용품 시장의 추세

    - 인도 대도시 소비자의 구매력이 증가하자 주방용품은 기능성 생활용품에서 탈바꿈해 개인의 취향에 맞춘 라이프스타일 제품으로 재탄생

    - 상기와 같은 변화는 1)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제품, 2) 차별화된 디자인을 갖춘 제품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대변할 수 있음.

    - 연구에 따르면 플라스틱에서 나오는 유해 물질은 신진 대사를 교란시켜 비만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암을 유발하거나 불임을 초래하는 등 신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이에 따라 안전한 제품을 사용하려는 소비자들은 점차 주방에서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줄이는 추세임.

    - 프라이팬, 냄비 등 비점착성(Non-Sticking) 제품의 코팅 재질에 활용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테프론)이 건강에 유해하다는 연구결과의 언론 보도로 해당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가 증가했음.

    - 가정용 주방용품에 있어서 더욱 안전한 소재를 활용한 재질을 개발하기 위해 업계가 몰두하고 있음.

    - 새로운 주택으로 이사하거나 기본 주택의 주방을 리모델링하는 소비자는 새로운 인테리어에 부합하는 최신 주방제품을 선호함.

    - 주방의 미적 외관을 고려하는 소비자가 증가하자 차별화된 디자인의 주방용품을 선보이는 기업이 많아짐.

 

□ 국가별 수입현황 및 한국 제품 대인도 수출현황

 

  ㅇ 주방용품(HS Code 3924.10 기준)

    - 2019년 1~2분기 기준 HS Code 3924.10의 총 수입액은 1044만 달러

    - 주요 수입원은 중국, 방글라데시, 미국으로 총 77%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2019년 기준 대한민국의 대인도 수출액은 16만 5000달러 수준이며, 8위에 위치

 

인도의 국가별 주방용품 수입현황(HS Code 3924.10 기준, 2019년 1~2분기)

자료: DGCI&S, Ministry of Commerce

 

인도의 국가별 주방용품 수입현황(HS Code 3924.10 기준)

(단위: 백만 달러)

구분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연번

국가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  18/17  -

0

 전 세계

11.68

16.11

26.72

100

100

100

65.89

1

중국

6.21

9.86

18.61

53.14

61.24

69.63

88.63

2

미국

0.65

0.82

1.01

5.6

5.07

3.79

24.02

3

대만

0.33

0.85

0.63

2.83

5.3

2.36

-26.1

4

방글라데

0.34

0.64

0.62

2.91

3.99

2.34

-2.85

5

독일

0.17

0.33

0.61

1.45

2.03

2.3

88

6

태국

0.61

0.34

0.60

5.23

2.1

2.23

76.01

7

홍콩

0.04

0.09

0.52

0.38

0.55

1.96

494.14

8

포르투갈

1.18

0.60

0.47

10.14

3.73

1.77

-21.34

9

일본

0.12

0.19

0.47

1.04

1.16

1.75

149.59

10

터키

0.05

0.14

0.43

0.41

0.9

1.62

199.44

13

대한민국

0.13

0.25

0.26

1.15

1.53

0.98

6.33

: 해당 HS Code로 분류된 모든 상품을 포함한 통계

자료: DGCI&S, Ministry of Commerce


□ 경쟁 동향


  ㅇ 주요 경쟁사

    - 인도 내 주방산업의 주요 경쟁사로는 TTK Prestige, Hawkins, Sivanesan Co Pvt Ltd, Hamilton Housewares, La Opala RG Ltd, Tupperware India, AMC Cookware India 등이 있음.

    - TTK Prestige Ltd는 인도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에 발맞춰 넓은 폭의 제품을 선보이며, 2018년 조사된 주방용품 기업 중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을 확보

    - TTK Prestige는 우수한 제품의 라인업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브랜드와 제품 홍보를 위해 유명인사를 활용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통해 시장을 선도 중

 

인도 주방용품 시장 주요 기업

연번

회사명

소재지

설립연도

주요 품목

웹사이트 주소

1

TTK Prestige

방갈로르

1928

Non Stick Cookware, Pressure Cookers, Gas Stoves

https://www.ttkprestige.com

2

Hawkins

뭄바이

1959

Non Stick Cookware, Cook and Serve Bowls

https://www.hawkinscookers.com

3

Sivanesan Co Pvt. Ltd

첸나이

1974

Non Stick Cookware, Stainless Steel Tableware, Pressure Cookers

http://www.sspremier.net/

4

Hamilton Housewares

뭄바이

1987

Caasaroles, Bottles, Tiffins

https://www.hamiltonindia.in

5

La Opala RG Ltd

카르나타카

1987

Glassware Tableware

https://laopala.in

6

Tupperware India

굴가온

1946

Food Storage products, Bottles, Tiffins

https://www.tupperwareindia.

com/index

7

AMC Cookware India

방갈로르

1967

Cooking pots and pans

https://www.amc.info › en-in

8

Bharat Potteries

자이푸르

1978

Ceramic Dinner Sets, Crockery sets

https://www.bharatpotteries.com/

자료: KOTRA 뭄바이 무역관 종합

 

□ 유통구조, 관세, 필요 인증 및 규정


  ㅇ 유통구조

 

인도 주방용품 시장 유통채널 도식

 자료: Primary Interview

 

    - 상기 도식에 나타나 바와 같이 주방용품 수입업자들은 제조업체로부터 제품을 직접 수입해 1) Star Bazar·Big Bazaar·D-Mart 등 유통업체, 2) OEM 공급업체, 3) Amazon, Flipkart와 같은 온라인 채널을 통해 유통하는 방법을 활용함.

    - 주방용품 수입은 주로 중국, 베트남, 대만 등으로부터 이뤄지고 있음.

    - TTK Prestige의 경우 대리점을 통한 대규모 유통망 채널을 앞세워 높은 견고한 시장지배력을 확보

    - 대규모 유통망을 갖춘 기업들이 인도 주방용품 시장의 35~40%에 불과한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 분열수준이 높은것으로 평가됨.


  ㅇ 관세

 

주방용품 CEPA 적용여부 및 특혜세율(HS code 3924.10기준)

(단위: %)

수입국

자유무역협정 해당 여부

특혜세율 유/무

기본관세율

총세율

대한민국

한-인도 CEPA 해당

6.25

26.11

중국

아시아태평양무역협정 해당

15

37.47

미국

협정 없음

15

37.47

자료: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주요 수입국별 관세구조 및 적용세율

자료: http://www.indiantradeportal.in

 

CEPA 적용시 관세 계산 구조

구분

세율

공식

최종세액

관세표준(AV)

-

100

 

기본관세율(BCD)

6.25%

6.25%X(AV)

6.25

사회복지세(SWS)

10%

10%X(BCD)

0.625

수입부가세(IGST)

18%

18% X (AV+BCD+SWS)

19.23

총 세액

-

BCD+SWS+IGST

26.11

 

CEPA 미적용시 관세 계산 구조

구분

세율

공식

최종세액

관세표준(AV)

-

100

 

기본관세율(BCD)

15%

15%X(AV)

15.00

사회복지세(SWS)

10%

10%X(BCD)

1.5

수입부가세(IGST)

18%

18% X (AV+BCD+SWS)

20.97

총 세액

 

BCD+SWS+IGST

37.47

자료: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ㅇ 필수 인증, 등록 및 관련 규정

    - 현행법상, 수입 주방용품에 관련한 규정이 없음.

 

□ 시사점


  ㅇ 인도 주방용품 시장의 성장 및 변화

    - 가속화되는 도시화와 구매력이 높아진 소비자들로 인해 인도 주방용품 시장은 향후 꾸준히 성장할 전망

    - 주방용품은 단순 생활용품으로써의 기능성에 더해서 홈 데코 용품으로써의 디자인성이 주목받고 있으며, 따라서 좋은 디자인을 갖춘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

    - 플라스틱의 유해성에 대한 우려로 플라스틱의 사용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플라스틱 대체 소재의 발굴 및 개발로 이어짐.

    - 플라스틱 대체제로 주목받는 소재로는 내구성, 친환경성, 안전성 등 여러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스테인리스강이 있음.

 

  ㅇ 비점착성(Non-Sticking)제품에 대한 관심 급증

    - 비점착성 제품을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인도 소비자들이 제품의 인체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증가했고 이는 코팅 지속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주방용품의 수요 증가로 발전

    - 인도로 수출하는 대한민국 제품은 한-인도 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에 의거해 중국 또는 미국 제품보다 낮은 특혜관세율을 적용받고 있으므로 이는 내구성과 비점착성이 우수한 한국 제품이 인도 시장에 진출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

 

  ㅇ 관계자 인터뷰

세부사항

작성 내용

회사명

Staunch E-Tail Services LLP

관계자

Mr. Nishant Choudhary

웹사이트

www.staunch.in

의견

 · 인도 주방용품의 강력한 경쟁상대인 중국산 조리기구의 수입량이 매우 높음.

 · 주방용품 시장은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증가하는 도심인구와 점점 작아지는 가족 규모로 인해 더욱 많은 사람들이 다목적 제품을 찾게 됨.

 · 주방용품사 Stovekraft의 경우 한 개의 조리기구에서 스팀 기능, 압력솥 기능, 조리 기능 등 3가지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제품을 출시

 · 비점착성(Non-Sticking)은 주방용품에서 필요한 기능 중 하나로 부상했음.

 · 인도 요리는 대부분 많은 양의 기름을 사용하지만 비점착성 제품을 사용할 경우 기름 사용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건강한 식생활로 이어질 수 있음.

 · 주방용품에서 주목받는 또 다른 분야로는 젊은 미혼층이 주로 사용하는 인덕션 레인지가 있음.

 · 인덕션 레인지에서 요리할 때 바닥이 평평한 조리기구가 필요하므로 일부 회사는 가스레인지뿐만 아니라 인덕션 레인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조리기구를 출시하고 있음.

 · 스테인리스강제 식기류는 내구성을 앞세워 시장 인지도를 넓혀가고 있음.

 · 도자기제 식기류는 일반 가정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지만 호텔∙요식 산업에서는 수요가 높음.

 · 그 외 밀폐 용기의 시장 판매율이 증가하고 있음.

 · 인도 주방용품산업에서 많은 변화와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음.


 

자료: 유로모니터, 인도 관세청 홈페이지,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주방용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