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숙취해소제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19-10-17
  • 출처 : KOTRA

- 주류 시장은 지속 성장세, 숙취해소제 시장은 초기성장 단계로 성장 가능성 매우 커 –

- 숙취해소제에 대한 중국인들의 전반적인 인지도 제고 노력 필요 -

 

 

□ 상품 개요

 

ㅇ 상품명: 숙취 해소제

ㅇ HS Code: 2202.10 (설탕이나 그 밖의 감미료 또는 맛이나 향을 첨가한 물)

ㅇ 중국어로 숙취 해소제는 싱지우야오(醒酒药)라고 함.  

 

□ 중국의 주류 소비량

 

 ㅇ 중국의 음주인구는 약 5억 명으로 추산되며, 특히 백주의 경우 전국 36개 주요 도시의 백주 소비자 비율은 전체 음주인구의 22.97%에 달함. 중국 전체 음주량은 전국 연간 300kg.

   - 2017년 28만 5000명의 네티즌이 참여한 '전국 주량조사'에 따르면, 설 연휴에는 전국 26개 성시의 4만명 이상이 매일 술을 마셨다고 응답함. 산동성(东) 네티즌의 72%는 하루 평균 소주를 3병 이상 마셨다고 응답

 

□ 숙취해소제 시장 동향


 ㅇ 음주 소비는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현지 숙취해소 음료 시장은 여전히 초기 성장단계

   - 중국의 숙취해소 시장은 2017년 기준 1500억원 규모로 아직 크게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나 음주인구와 음주량을 고려 시 향후 시장의 성장가능성은 크다고 볼 수 있음. 중국에서 ‘숙취해소’라는 특정 문구로 브랜드 상품들의 유통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것은 3~4년에 불과

   - 국내 숙취해소제 시장이 2000억 원대인 것을 보면 중국은 여전히 초기시장 형성 단계라고 할 수 있으며, 현지 소비자들에게 숙취해소제 상품의 존재와 그 개념이 익숙하지 않고 상품 홍보가 충분히 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이 가능함.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서도 숙취해소제에 관련한 정보들이 매우 적은 것으로 보아 소비자들의 숙취해소제에 대한 인식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최근 3년 간 수입 규모 및 상위 7개국 수입동향

 

ㅇ 중국의 비주류음료 주요 수입 대상국은 태국, 프랑스, 일본, 말레이시아, 미국, 인도네시아, 한국 순

   - 중국에서 숙취해소 음료는 비주류음료(HS Code 2202.10)로 분류되어 수입됨.

   - 2018년도 HS code 2202.10 품목에 대한 중국의 한국제품 수입 금액은 전년대비 2배 증가

   - 중국에서 전체 비주류음료 대비 숙취해소 음료의 유통 비중이 크지 않으므로, 포괄적인 비주류음료 수입금액으로 숙취해소 음료 수입 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어려움.

  

중국 비주류음료 상위 7개 수입국(HS Code 2202.10)

(단위: 천 달러)

 

2014

2015

2016

2017

2018

태국

418

567

435

31,215

19,264

프랑스

2,158

2,372

5,063

12,785

16,166

일본

2,266

4,176

4,537

9,071

16,114

말레이시아

1,716

3,647

4,024

18,637

12,410

미국

2,919

3,322

6,253

10,724

11,454

인도네시아

70

141

110

9,675

9,568

한국

2,722

6,163

7,644

4,942

8,257

자료: K-Stat

주 : 2018년 중국의 수입금액 기준으로 내림차순 배열

  

□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광저우시 오프라인 유통채널에서 비교적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숙취해소 관련 상품들은 Condition(한국), Ready Q(한국), 海王金樽(중국) 등이 있음.

- 숙취해소제와 비슷한 품목을 주로 다루는 판매처는 세븐일레븐(7 Eleven), 패밀리마트(Family Mart), C store 등의 편의점을 비롯하여, 약국, 백화점, 온라인(징동, 타오바오 등)으로 다양함.

- 광저우 무역관에서 직접 광저우시에 소재한 14곳의 오프라인 매장(편의점 7곳, 마트 4곳, 약국 3곳)을 방문한 결과, 동 오프라인 매장 중 8곳은 숙취해소 음료를 인지하고 있었으나 따로 구비하고 있지는 않았으며 다른 6곳은 숙취해소제를 구비하고 있었음.

- 중국 숙취해소제 판매량 1위 제품인 ‘하이왕진준(海王金樽)’은 위생 미등록 이슈로 인해 숙취해소제 시장 1등 자리에서 밀릴 가능성이 있음. 그러나 등록 후 다시 판매가 가능하여 그 영향은 단기적일 것으로 보임. 

 

2019년 중국 상위권 숙취해소제 판매 제품

상품명 (국적)

설명

Condition (한국)

- 국내 CJ Healthcare Group의 브랜드

- 타오바오(淘宝),징동(京东) 인터넷을 통해 판매 중

- 헛개 추출물이 주요성분 

  

Ready Q (한국) 

- 국내 한독의 브랜드  

- 타오바오(淘宝), 징동(京东) 인터넷을 통해 판매 중

- 음료와 젤리 버전 중 젤리의 판매 비중이 큼.

- 커큐민(울금)의 체내흡수율을 개선시킨 테라큐민과 강황 추출물이 주요 성분 

 

RU-21 (미국) 

- 미국 Willner Chemists의 브랜드  

- 타오바오(淘宝), 징동(京东) 등 인터넷을 통해 판매 중

- 비타민, 글루타민이 주요성분

(아세트알데히드 발생만 완화할 뿐 억제효과는 없음)

海王金樽 (중국)

 

- 중국 해왕의 브랜드

- 야오팡왕(药房网), 타오바오(淘宝), 징동(京东) 등 인터넷을 통해 판매 중

- 굴가루 추출물이 주요성분

* 중국 시장 숙취해소제 판매량 1위

 

力克保健液 (중국) 


- 중국 Liaoning Like Pharmaceutical의 브랜드  

- 야오팡왕(药房网), 타오바오(淘宝), 징동(京东) 등 인터넷을 통해 판매 중

- 타우린이 주요 성분

자료: 타오바오(淘宝), 바이두(百度)

 

□ 중국의 한국 수입 규모 및 동향

 

HS코드 및 관세율

HS Code

상품명

관세

증치세

MFN

한중FTA

220210

Waters, including mineral waters and aerated waters, containing added sugar or other sweetening matter or flavoured

5%

15%

13%

 

 ㅇ 중국 숙취해소제 시장은 한국 상품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2019년 9월 기준, 시판 중인 한국산 숙취해소 기능 강조 음료는 CJ의 컨디션(Condition), 한독의 레디큐(Ready Q), 큐원의 상쾌한 등이 있음.

   - 한국 숙취해소제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보이는 CJ의 컨디션은 중국에서도 마찬가지로 온, 오프라인을 막론하고 가장 잘 팔리는 숙취해소제임. 한독의 레디큐는 2016년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서 입소문을 타기 시작하여 중국 관광객들에게 ‘필수 소유 아이템’으로 자리잡아 방한 중국인들이 면세점 또는 명동 등의 관광명소에서 사재기를 해가는 제품이었고, 2018년부터 본격적인 중국 진출을 통해 현재 주로 온라인에서 판매 중임. 이외에도 그래미의 여명, 큐원의 상쾌한 등도 한국마트 및 온라인 몰에서 판매 중임.

 

□ 유통구조

 

 ㅇ 대체적으로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 판매 비중이 큼.

 ㅇ 일반 소매(리테일) 시장의 가격보다 온라인(징동, 타오바오 등)의 시장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

   - 중국 소매유통법에 따라, 중국으로 수입된 상품을 현지 시장에 유통하기 위해서는 중국에서 유통 라이선스를 취득해야하며, 현지 유통 라이선스를 구비하고 있는 중국인이 타오바오를 통해 대리점을 차려 판매하는 경우를 가장 많이 볼 수 있음.


       

 자료: 타오바오(淘宝) 

 

□ 관세율 및 수입 규제

 

 ㅇ 수입규제 및 인증요건

    - 숙취해소 기능을 강조한 음료 상품들은 ‘일반 식음료’로 분류되며, 이 상품들을 중국으로 수출 시 중국 일반 식음료 수입 규정을 적용하여 진행 가능 

   - 상하이, 톈진, 랴오닝성, 저장성, 푸젠성, 허난성, 허베이성, 광둥성, 충칭, 쓰촨성, 산시성 지역에 해당할 경우, 해당 지역의 식약처에서 등록이 가능하나 그 외 지역은 국가약품식품감독관리총국(베이징)에서 등록해야 함.

   - 필요 서류는 ▲ 제품명, 종류 ▲ 제품 성분, 제한물질 사용량 ▲제품 품질표준, 검사방법, 중문번역본 각 3부 ▲ 생산지의 생산허가증, 판매증명서 복사본 3부 ▲기타 지역 등록 및 판매허가증 등 증명서류 복사본 3부 ▲ 제품생산국과 기타지역 생산, 등록, 허가 판매 심사 평가보고서, 중문 번역본 각 5부 ▲ 제품안전성 평가자료 혹은 제품 위생품질검사 보고서 5부 ▲제품 라벨, 사용설명서, 중문 번역본 각 3부 ▲온전히 포장된 제품 샘플(3개 소량 포장품) 등임. 

 

□ 전망 및 시사점

 

 ㅇ 수입품의 경우 중국 내 가짜 복제품이 다수 존재

   - 파트너 사와의 협업을 통해 가짜 복제품(가품) 업체에 대한 강력한 단속 필요

   - 진출 초기에는 채널, 지역별 파트너 사 선정 및 테스트 마케팅을 통해 제품의 효능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식품 등록 및 보건기능식품 인증절차 후 합법적으로 가품에 대한 소송이 가능

 

 ㅇ 숙취해소제 인식 확대를 위한 다양한 방안 필요

   - 온라인의 경우, 샤오홍수(小红书)와 같은 플랫폼이나 SNS, 왕홍(网红) 등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

   - 오프라인의 경우, 중국 종합 소비재 박람회 또는 식음료 박람회 등에 참가하는 방법을 통해서도 시장 판로를 확보하여 시장을 공략할 수 있음.

 

 

자료: CBNData, 国日用化学工业信息中心, 百度, 百度文, 环球化妆品网, PCLADY(太平洋时尚网), 易通, KITA, 国产业研究院, Google, KOTRA 광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숙취해소제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