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국 유산균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워싱턴무역관 이현경
  • 2019-09-20
  • 출처 : KOTRA
Keyword #유산균

- 미국 건강보조제 시장, 2024년까지 361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

- 제조사별 유산균을 함유한 특정 기능의 건강보조제의 인기 증가-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ㅇ HS Code: 210690*

    주*: 미국의 HS CODE 분류체계에서는 유산균은 별도로 분류돼 있지 앉아 근접한 HS 코드를 선정했음.

 

□ 시장 규모, 시장동향*

 

    주*: 유산균 같은 세부 품목에 대한 시장 규모 및 동향은 별도로 조사되지 않아 제품의 상위 개념인 건강기능식품 시장으로 대체해 조사를 진행했음.

 

  ㅇ 미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건강보조제 제조사들이 신제품을 꾸준히 소개함에 따라 미국의 건강보조제 시장은 2019년까지 5년 동안 성장세를 보임.

    - 또한 의약품의 가격이 상승하고 웰빙 및 건강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가 증가하며, 미 소비자의 건강보조제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함.

 

  ㅇ 미국의 건강보조제 시장은 2024361억 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해당 시장은 지난 5년 동안 수십 건의 제품 리콜, 잘못된 라벨링, 안정성에 대한 의문 및 규제 강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어왔음.

    - 현재까지 건강보조제 시장을 이끌어왔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은 개개인의 소비자의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2024년까지 연평균 2%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됨.  

 

미국 자연 건강 식품 시장 규모 전망 및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연도

시장 규모

2018

32,018.0

2019

32,666.9

2020

33,420.3

2021

33,910.8

2022

34,622.8

2023

35,414.7

2024

36,126.7

자료: IBIS WORLD

 

  ㅇ 건강 보조제 중 유산균은 여러 연구결과들이 유산균의 면역력 강화, 소화 촉진 등의 효능에 대해 발표하면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많은 제조사들이 자사만의 특정 기능을 강조한 유산균을 조합한 제품을 출시하며,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했음.

    - 미국의 영양, 식품, 건강 분야의 컨설팅사인 New Nutrition Business사의 전문가들은 소화 기능 건강이 2019년의 건강 트렌드 1위를 차지했다고 분석함.

    -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IBIS World는 유산균은 Specialty Products로 분류하고 있음.(전체 건강보조제 시장에서 Specialty Product는 18%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미국 건강보조제 시장 분류

자료: IBIS WORLD

 

□ 최근 3년간 수입 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2018년 미국의 HS 210690은 전년대비 132%의 급격한 성장률을 보여 약 517500만 달러를 기록  

    - 주요 수출국으로는 싱가포르, 캐나다, 중국, 태국 순이며 2017년 대비 가장 높은 수출 성장률을 보인 국가는 네덜란드와 중국임. (101%, 48%)  

    - 미국의 싱가포르산 수입이 크게 증가하며, 시장의 50%를 넘게 점유하고 있으나 이는 유산균에 대한 수입이 아닌 해당 HS Code 하위 품목의 (HS Code 2106909873, 제조 음료의 재료, Preparation for the manufacture of beverage) 수출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싱가포르는 2017년 미국 수입 1위 국가였던 캐나다의 2018년 수출액보다 3배가 넘는 26억 달러를 기록했음.(2017년의 싱가포르 시장 점유율은 0.18%에 불과했음.)

    

HS 210690 수입 동향

(단위: US$, %)

순위

국가

점유율 (%)

증감률(%)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전체

2,094,786,244

2,230,270,644

5,175,146,739

100

100

100

132.04

1

싱가포르

3,211,703

4,093,804

2,607,627,730

0.15

0.18

50.39

2

캐나다

627,547,768

716,111,219

787,318,105

29.96

32.11

15.21

9.94

3

중국

104,131,933

137,203,746

203,629,069

4.97

6.15

3.93

48.41

4

태국

140,053,450

165,805,187

173,201,999

6.69

7.43

3.35

4.46

5

독일

109,849,917

113,087,274

130,632,326

5.24

5.07

2.52

15.51

6

네덜란드

40,248,230

50,244,775

101,450,846

1.92

2.25

1.96

101.91

7

덴마크

109,594,865

107,594,244

97,903,347

5.23

4.82

1.89

-9.01

8

영국

97,116,488

84,764,021

94,288,077

4.64

3.8

1.82

11.24

9

멕시코

98,106,919

91,385,810

92,909,036

4.68

4.1

1.8

1.67

10

이탈리아

32,698,560

64,442,723

88,457,034

1.56

2.89

1.71

37.26

15

한국

35,373,397

40,238,216

44,951,853

1.69

1.80

0.87

11.71

자료: Global Trade Atlas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한국의 해당 HS Code 수출은 미국 수입시장에서 15위를 차지하고 있음.

    - 한국의 2018년 수출액은 44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11%가 증가한 수치임.

    - 2015년 수출액이 전년대비 주춤한 이 후 2016년부터 꾸준히 증가해왔음.

 

연도별 한국산 수입동향

(단위: US$, %)

 

HS Code

수입액

2014

2015

2016

2017

2018

증감률

210690

36,024,792

34,715,008

35,373,397

40,238,216

44,951,853

11.71

자료: Global Trade Atlas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신제품의 출시가 잦고 주요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이 낮아 기업들간의 경쟁이 매우 심화돼 있음.

    - 시장을 선도하는 4개사의 점유율이 2019년 기준 25%에 미치지 못하며, 이 중 한 업체만의 5%가 넘는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음.  

미 건강보조제 시장 경쟁현황


자료: IBIS WORLD

 

  ㅇ 가장 점유율이 큰 업체는 Nature’s Bounty co.(8.5%)로 제조 유통 기업이며, 월마트(Walmart)로의 납품이 2016년 기준 기업 매출의 20%가 넘는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음.

    - 대부분 미국 내에서 생산하지만 소규모로 캐나다, 중국 및 영국에도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소규모 건강보조제 제조사들을 인수하며 성장해왔음.

    - 2018년 해당 기업의 매출은 약 26억 달러로 전년대비 약 3% 증가한 수치임.

 

  ㅇ 다음으로 시장 점유율이 높은 기업은 Abbott Laboratories Inc., Glanbia Performance Nutrition, The Otsuka Group이며 4.3%, 1.9%, 0.3%를 기록하고 있음.

 

□ 유통구조

 

  ㅇ 미 건강보조제는 오프라인 매장판매가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온라인 판매가 약 30%를 차지

    - 슈퍼마켓 등을 포함한 식품점이 32.3%로 가장 큰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건강 식품 매장의 경우 19.6%를 차지하고 있음.


미 건강보조제 유통 구조 현황

(단위: %)

오프라인 유통

 70.1

식품매장

32.3

종합유통매장

17.9

건강식품 매장

19.6

기타

0.3

온라인 유통

 29.9

인터넷 판매

11.8

기타

18.1

총합

100

자료: Passport Euromonitor


□ 관세율, 수입규제 및 인증

 

  ㅇ HS 2016.90 관련 미국의 일반 수입 관세는 세부 품목에 따라 다르며, 한국의 경우 FTA가 적용돼 무관세인 제품 및 일반 관세보다 낮은 관세를 부과하는 제품으로 나뉨.  

    - HS Code 2106.90.8200 2106.90.9100은 기타 제품에 해당

 

 해당 제품 관세율

HS Code

일반 관세

한국 FTA 적용 관세율

2106.90.8200

8%

0%

2106.90.9100

28.8¢/kg + 8.5%

5.7¢/kg + 1.7%

자료: USITC


  ㅇ 건강보조식품 라벨 표기법 주의

    - 건강보조성분의 명칭, 순중량, 영양성분표(Supplement Facts & Ingredient List), 제조·포장·유통사의 이름과 장소를 명시해야 하며 해외로부터 수입됐을 경우 반드시 원산지를 영어로 표기해야 함.

    - 건강보조식품과 일반식품 라벨표기법의 차이점: 건강보조식품의 영양성분표는 Supplement Facts로 표기, RDIs(영양권장량), DRVs(1일 섭취 영양적정량) 표기 불가, 건강보조성분 및 성분이 추출된 식물 의무적 표기, 유통기한의 표시는 필수사항이 아니며 표시할 경우 그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해야 함.

    - 의약품이 아닌 건강보조식품은 FDA의 사전 승인절차는 불필요하나 치료효과가 있다는 내용의 문구가 표기돼 있을 경우 의약품으로도 취급될 수 있어 주의 필요

 

□ 시사점

 

  ㅇ 많은 제조사들이 유산균이 함유된 자사만의 제품을 선보이고 있음. Hum사의 경우 미 대형 화장품 유통 업체인 Sephora에 피부개선에 특화된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 한국 기업도 한국만의 특유의 건강보조식품 등을 함유한 제품을 개발해 차별화를 통해 제품을 부각시킬 수 있을 것

 

  ㅇ 더욱 더 많은 소비자들이 영양제에 글루틴 프리, GMO 프리 혹은 베지터리안 표기된 제품을 선호하고 있음.

    - 이러한 트렌드에 맞는 제품은 소비층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음.



자료: IBIS World, Global Trade Atlas, Euromonitor Passport, 미 현지 언론 및 코트라 달라스 무역관, KOTRA 워싱톤 무역관 자체 보유 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유산균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