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카자흐스탄 유아용품시장 동향
  • 상품DB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이선호
  • 2019-06-04
  • 출처 : KOTRA

- 경제 성장과 높은 출산율 등을 바탕으로 카자흐스탄 유아용품 시장 꾸준히 성장 중 -

- 유아용품 수입 규모 약 30억 달러, 95% 수입에 의존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유아용 보행기(940370), 유아용 조제식품(190110), 유아용 의류(6209), 아동용 책(4903) 등


□ 제품 선정사유


  ㅇ 카자흐스탄의 유아용품 시장은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높은 출산율 등으로 인해 꾸준히 성장 중임. 카자흐스탄은 만 14세 미만 인구가 전체의 22%에 달할 정도로 젊은 국가이며, 2017년 기준 합계 출산율은 2.73명에 달해 중진국 중에서도 높은 편에 속함.

   - 합계출산율이란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의 수로 2017년 기준 카자흐스탄은 2.73명, 한국은 1.05명


러시아, 카자흐스탄의 연령별 인구비율

external_image

자료원: 카자흐스탄 통계청(2018)


  ㅇ 카자흐 유아용품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제품의 90% 이상을 중국, 러시아, 터키 등에서 수입하고 있음. 

  ㅇ 현재는 중국, 러시아제 저가제품이 많이 수입되고 있으나, 소득 수준 향상, 중산층 확대에 따라 프리미엄 제품수요 또한 증가 추세
    - 프리미엄 유아용품 시장은 독일, 일본 등의 국가가 양분하고 있으며, 아직까지 한국 상품의 진출은 활발하지 않은 상태
    - 저가 유아용품 시장은 중국, 러시아, 터키산 제품으로 구성돼 있음.

  ㅇ 최근 건강, 웰빙 라이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좋은 품질의 유아 용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음. 특히, 카자흐스탄에서는 Made in Korea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높은 바, 우리 기업에게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음.

□ 카자흐스탄 인구통계

  ㅇ 2018년 기준, 카자흐스탄의 인구는 약 1,800만 명이며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임. 인구 중 남성은 48.8%, 여성은 51.6%이며, 농촌인구는 42.6%, 도시인구는 57.6%임.

  ㅇ 카자흐스탄의 합계출산율은 2000년대 초반 1명대로 떨어지기 까지 했지만, 고속성장을 하기 시작한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2명대로 회복함.
    - 2018년 기준, 인구 1,000명 당 신생아 수는 21.2명으로 러시아의 13.3명과 비교했을 때 약 2배 이상임.

연도별 카자흐스탄 인구통계(단위 : 천명)

연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인구

15,982

16,203

16,440

16,674

16,910

17,161

17,416

17,670

17,918

18,250




자료원: 카자흐스탄 통계청(2018)

  ㅇ 카자흐스탄은 소득 수준이 비슷한 러시아 등과 비교했을 때 출산율이 높은 반면, 도시화율은 상대적으로 낮아서 발전 잠재력이 높은 국가로 평가됨.
    - 전문가들은 2050년경 카자흐스탄의 도시화율이 70%를 돌파하고, 인구도 계속 증가하여 경제 활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측

  ㅇ 실제로 카자흐스탄에서는 매년 약 40만 명의 아기가 태어남. 한국의 2018년 출생아 수가 32만 명인 것에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임.
    - 전문가들은 출산율 증가, 소득수준 향상, 도시화율 증가 등이 아동용품 시장 성장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 보고 있음.

□ 카자흐스탄 유아용품 시장 규모

  ㅇ 카자흐스탄의 유아용품 시장 규모는 약 30억 달러로 평가됨. 매년 10-15%씩 확대 추세에 있음.

  ㅇ 아동, 유아용품 전문 유통회사인 Meloman사에 따르면, 중국, 터키, UAE에서 수입된 유아용품들이 인기가 높음. 특히, 최근 유아용 의류, 완구, 식기류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지방도시에서는 중국제 저가 유아용품이 많이 유통되며, 대부분은 밀수품임. Meloman사는 이러한 저가 밀수품까지 합치면 카자흐스탄의 실제 유아용품 시장은 더 클 것이라 보고 있음.

  ㅇ 최근 밀수에 대한 단속이 강화되고, 전자정부 시스템이 본격 도입됨에 따라 지하경제에서 유통되는 유아용품들은 조금씩 감소할 것이며, Meloman사와 같은 정식 유통기업들이 성장할 가능성이 높음.
    - 현재는 Marwin, Detsky mir, Erkemai, KariKids 등의 유아용품 전문매장이 존재

품목별 유아용품 시장 규모
external_image
자료원: 카자흐스탄 유아용품산업협회(2018) 

  ㅇ 카자흐스탄 유아용품산업협회는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세계의 유아용품 연평균 성장률은 5%지만, 카자흐스탄은 연 20~30%씩 성장한다. 일부 품목은 50%씩 성장하기도 한다. 최근 밀수에 대한 단속이 강화되고 있는데, 지하경제 양성화가 본격화된다면 시장규모는 더 커질 것이다.”고 언급

  ㅇ 협회에 따르면, 중국제 아동의류와 장난감 등이 그 동안 많이 밀수 됐으나 최근 그 비율이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임. 아울러,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하지 않은 안전한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증가추세에 있음.

□ 무역통계 및 경쟁동향

  ㅇ 카자흐스탄에는 유아용품을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기업이 전무하여, 95%이상의 제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의류, 신발 등은 자체적으로 생산하기도 하지만, 유모차, 완구, 식품, 음료, 장난감 등은 대부분을 수입

  ㅇ 유아용품은 품목이 다양하고 관련 통계를 집계하는 기관이 없어 정확한 정보는 부재하나, 약 30억 달러로 평가됨. 전문 유아용품 유통회사의 품목별 매출구조는 아래와 같음.
 
전문 유아용품 매장의 품목별 매출비율(2018)
external_image


자료원: 카자흐스탄 유아용품산업협회

카자흐스탄의 유모차 수입통계(2017)

2017년

 

 

수입 국가

단위 : 달러

비중(%)

CHINA

5,737,967

64,6

POLAND

1,009,183

11,4

LITHUANIA

398,572

4,5

GERMANY

304,123

3,4

ITALY

252,227

2,8

TURKEY

245,388

2,8

BULGARIA

200,943

2,3

FRANCE

175,911

2,0

NETHERLANDS

162,374

1,8

UAE

83,959

0,9

DENMARK

60,976

0,7

GEORGIA

56,890

0,6

SWITZERLAND

34,317

0,4

UKRAINE

27,495

0,3

UZBEKISTAN

22,377

0,3

PORTUGAL

16,957

0,2

HUNGARY

15,058

0,2

SLOVAKIA

12,494

0,1

UNITED KINGDOM

12,242

0,1

KOREA, REPUBLIC

11,424

0,1

OTHER COUNTRIES

46,847

0,5

The overall result

8,887,725

100,0

자료원: 카자흐스탄 유아용품산업협회

  ㅇ 카자흐스탄 유아용품 시장에는 중국, 러시아, 터키, 독일, 폴란드 등 다양한 브랜드가 존재
    - 유모차는 중국제품이 많이 판매되며, 의류는 이태리, 폴란드, 영국 제품이 선호됨.
    - 최근에는 차량 보유대수가 늘어나 차량용 유아시트 수요도 증가 추세

유아용품 전문매장

자료원: Meloman.kz

카자흐스탄에 입점해 있는 해외브랜드 현황(2018)
자료원: 카자흐스탄 유아용품산업협회

□ 유통구조

  ㅇ 저가 제품은 재래시장, Ramstore, Magnum과 같은 유통 마트 등을 통해 판매됨. 대부분이 중국, 러시아제 제품이며, 완구, 장난감 위주로 판매되고 있음. 

  ㅇ 유모차, 의류, 완구, 식기 등의 고가 및 프리미엄 제품들은 전문 유아용품 매장에서 판매됨. Marwin, Ak bota, Golden key, Kenguru, Uti-puti, Detsky Mir, Minim 등의 매장이 존재

□ 시사점 및 바이어 의견

  ㅇ 카자흐스탄의 유아용품 시장은 2014년 이후로 평균 15%씩 성장 중이며, 매년 늘어나는 출산률로 인해 전망이 밝음. 올해부터 2배 이상 인상된 최저 월급도 시장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ㅇ 현재 시장규모는 약 30억 달러로 평가되지만, 지하경제에서 유통되는 제품까지 포함하면 실질 시장 규모는 이를 상회함. 전문가들은 지하경제 양성화가 진행되면 유아용품 시장 규모는 더 확대될 것이라 전망됨.

  ㅇ 업계 전문가들은 "현재는 유아용 의류, 완구 등의 인기가 높으나, 카자흐스탄 소득 수준이 향상될 수록 유아용 식료품(분유 등), 위생 용품(귀저기, 티슈 등)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이다."고  밝힘. 아울러, 바이어들은 한국제품의 인지도와 신뢰도가 높아, 향후 우리기업 진출 시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자료: 카자흐스탄 유아용품산업협회, 카자흐스탄 통계청, KOTRA 알마티무역관 자료 종합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 유아용품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