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안정적 성장 이어가는 中 영유아복 시장을 주목하라
  • 상품DB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19-06-05
  • 출처 : KOTRA

- 가성비와 패션으로 젊은 맘 소비수요 반영해야 -

- SNS 등 다양한 홍보 마케팅을 통해 제품 우수성을 충분히 어필해야 -

 

 

 

상품명 및 HS CODE

 

  ㅇ 영유아복은 0~6세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의복

    - 현재 중국 많은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0~24개월 영아를 대상으로 하는 영아복, 18~36개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아복으로 구분

    - 3세 이상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옷은 ‘아동복(童裝)’으로 분류

 

상품명

HS CODE

영유아복

嬰兒服裝

6209.20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80~6세의 영유아복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20% 이상 증가하여 419억 위안으로 집계됨

    - 14세 미만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중국 영유아·아동복 시장은 2015년부터 10% 이상의 시장증가율을 보이며 지난해 2천억 위안 돌파

    - 영유아복과 아동복으로 시장을 구분하여 볼 때 시장규모는 영유아복이 아동복 시장의 1/4 수준이나 시장성장률은 아동복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 영유아·아동복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E

합계

1,164

(9.9%)

1,271

(9.2%)

1,400

(10.2%)

1,571

(12.2%)

1,796

(14.3%)

2,083

(16%)

아동복

()

493

(10.6%)

540

(9.5%)

590

(9.3%)

656

(11.2%)

748

(14%)

861

(15.2%)

아동복

()

483

(8%)

517

(7%)

560

(8.3%)

619

(10.5%)

701

(13.2%)

802

(14.4%)

영유아복

188

(13%)

214

(14%)

250

(16.9%)

296

(18.4%)

347

(17.2%)

419

(20.8%)

1: 영유아복은 6세 미만의 영유아 대상, 아동복은 6~14세 아동 대상으로 하는 의류제품임

2: 괄호 안 %는 증감율

자료원: Euromonitor(2018.2)

 

  ㅇ 2022년까지 중국 영유아복 시장은 10% 대의 성장세를 유지하여 700억 위안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됨

 

중국 영유아·아동복 시장전망

(단위: 억 위안, %)

구분

2018E

2019E

2020E

2021E

2022E

합계

2,083

(16%)

2,380

(14.3%)

2,680

(12.6%)

2,995

(11.8%)

3,289

(9.8%)

아동복()

861

(15.2%)

980

(13.8%)

1,100

(12.3%)

1,227

(11.5%)

1,353

(10.3%)

아동복()

802

(14.4%)

909

(13.2%)

1,011

(11.3%)

1,122

(11%)

1,224

(9.1%)

영유아복

419

(20.8%)

491

(17.1%)

568

(15.7%)

646

(13.8%)

712

(10.1%)

1: 영유아복은 6세 미만의 영유아 대상, 아동복은 6~14세 아동 대상으로 하는 의류제품임

2: 괄호 안 %는 증감율

자료원: Euromonitor(2018.2)

 

수입동향

 

  ㅇ 중국 영유아복 수입은 20162811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후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

    -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0.6% 소폭 하락한 2212만 달러로 집계됨

 

최근 10년 간 중국 영유아복(HS 6209.20) 수입동향

: HS 6209.20은 유아용 의류와 그 부속품, 이외에 기타 의류 HS 코드로 수입되는 영유아복이 있으므로 실제 수입시장규모는 이보다 클 것으로 추정됨

자료원: GTA

 

  ㅇ 수입 상위 10개국은 주로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인도, 베트남 등 인건비가 낮은 동남아와 남아시아 국가

    - 상위 10개 국 중 선진국은 일본과 이탈리아 뿐이며, 수입시장 점유율은 모두 약 1.5% 수준에 그침

    - 한국은 2016년에 9위였으나 지난해에는 13위에 랭킹

 

2018년 중국 영유아복(HS 6209.20)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자료원: GTA

 

  ㅇ 최근 10년간 한국으로부터의 영유아복 수입액을 살펴보면 2009년부터 부진했다가 2016년에는 전년대비 800% 이상 급증

    - 2017년 대한국 수입이 81% 감소하여 13만 달러에 그쳤다가 지난해 다시 17만 달러 수준으로 회복

 

최근 10년 간 중국 영유아복(HS 6209.20) 대한국 수입동향

자료원: GTA

 

경쟁동향, 주요 경쟁기업 및 유통구조

 

  ㅇ 시장집중도가 낮아 다양한 브랜드가 각축 중이며 최근 로컬 브랜드가 급부상

    - 상위 10개 브랜드 시장 점유율 합계가 11.3%이며, 1위인 Balabala5% 수준

    - 로컬 브랜드가 급부상하고 있으며, Adidas KidsDisney 등 해외 브랜드들도 안정적 성장세 유지

 

중국 영유아·아동복 TOP 10 브랜드 시장점유율(%)

연번

브랜드

2015

2016

2017

1

Balabala

썬마(Semir, ) (중국)

4.1

4.6

5.0

2

Adidas Kids

Adidas (독일)

0.8

0.9

1.1

3

Pepco(小猪班)

광둥 Pepco 의류사 (중국)

0.9

0.9

0.8

4

Annil(安奈兒)

선전 annil 의류사 (중국)

0.9

0.8

0.8

5

Dadida(嗒嘀嗒)

푸젠 거린(格林) (중국)

0.9

0.8

0.8

6

Disney

Disney (미국)

0.6

0.6

0.6

7

ABC

치부(起步) 의류 (중국)

0.6

0.6

0.6

8

Mini Peace

닝보 타이핑냐오(太平)

(중국)

0.3

0.5

0.6

9

PencilClub

(鉛筆俱樂部

톈상(添翔) 의류 (중국)

0.5

0.5

0.5

10

Anta Kids

Anta(安踏) (중국)

0.5

0.5

0.5

자료원: Euromonitor(2018.2)

 

  ㅇ 영유아복은 온·오프라인에서 모두 다양하게 유통되고 있음

    - (온라인) 중국 대표 온라인 플랫폼인 티몰, 징둥 이외에도 미야(蜜芽)와 같은 영유아상품 전문 온라인 플랫폼 위주로 유통

    - (오프라인) 백화점 영유아용품 코너 이외에도 영유아 전문 매장이 최근 더 주목받고 있으며 절반 가까이는 아이잉스(愛嬰室), 바오바오수(寶寶樹) 등과 같은 프랜차이즈 매장이 주도

 

유통구조

자료원: KOTRA 베이징무역관

 

관세율

 

  ㅇ 2019년 기준, 중국 영유아복 MFN 세율(최혜국세율)10%이며, 상위 10개 수입국에 모두 적용됨

    - 한국산의 경우는 한중FTA 세율 적용이 유리함. 한중FTA 세율은 MFN세율보다 3%포인트 낮은 7%

    - 영유아복은 한중FTA 양허유형이 '10', 10년 내 철폐되는 품목으로 2024년 '0%'로 완전 철폐됨

 

영유아복(HS 6209.20) 관세율 비교

2019 MFN

2019 APTA

2019 한중 FTA

2020 한중 FTA

2021 한중 FTA

10%

-

7%

5.6%

4.2%

자료원: 중국 수출입세칙

 

수입규제 및 인증

 

  ㅇ 중국에서 영유아 아동복 및 섬유제품은 는 반드시 <국가 방직품 기본안전 기술규범(GB 18401-2010)><영유아 및 아동 방직품 안전기술규범(GB 31701-2015)>에 부합해야 함

    - <국가 방직품 기본안전 기술규범>에서 유아용 의류는 ‘A류 제품’으로 분류되며, 가장 까다로운 안전기준을 두고 있음

     * A: 영유아용제품, B: 피부직접접촉 제품, C: 피부非직접접촉 제품 등 3가지로 분류

    - <영유아 및 아동 방직품 안전기술규범>에서는 연령대별 제품의 필수 기술 규범*등을 추가로 규정하고 있어 관련 항목 주의 필요

     * 의류에 부착된 끈의 길이, 부속물 크기 등

 

중국 영유아·아동복 방직제품 안전기술규범

구분

A

B

C

포름알데히드 함량(mg/kg)

20

75

300

수소이온 농도(pH)

4.0~7.5

4.0~8.5

4.0~9.0

염색견뢰도()

물견뢰도

3~4

3

3

산견뢰도

알칼리견뢰도

마찰견뢰도

4

타액견뢰도

-

-

냄새

무향

분해가능한 발암성 방향족아민 염료

사용금지

자료원: <국가 방직품 기본안전 기술규범(GB 18401-2010)>

 

  ㅇ 중국 내 판매 제품은 반드시 중문 라벨을 부착해야 함

    - 라벨과 설명서에 'A류'와 '유아용 제품' 명시 의무화

 

라벨 예시

자료원: KOTRA 베이징무역관

 

시사점

 

  ㅇ 바링허우, 주링허우 젊은 엄마들의 소비수요 반영해야(KOTRA 베이징무역관 인터뷰)

    - 영유아용품 전문 온라인 쇼핑몰 미야(蜜芽) 관계자는 최근 바링허우(80, 1980년대 태어난 세대), 주링허우(90, 1990년대)의 젊은 엄마들은 원단, 디자인, 가성비 등을 꼼꼼하게 비교, 체크하는 까다로운 소비자들이라고 분석

    - 상품 디자인의 ‘디테일 하이라이트’, ‘혁신적인 소재와 기능’ 등을 바탕으로 젊은 엄마들을 사로잡아야 한다고 조언

 

  ㅇ SNS 등 다양한 홍보마케팅을 통해 제품 우수성을 소비자들에게 충분히 어필해야

    - 신세대 부모들은 인터넷, SNS로 수입산과 국내산 영유아 제품을 비교, 연구하고 경험담을 육아정보 사이트에서 공유하고 토론하는 세대임

    - 왕훙, 육아정보 커뮤니티사이트 등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전문 정보를 제공하거나 자사 제품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등 소비자 참여도와 충성도를 높여야 함

 

 

 

자료원: Euromonitor KOTRA 베이징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안정적 성장 이어가는 中 영유아복 시장을 주목하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