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홍콩 조제 식료품 시장동향(2013.1)
  • 상품DB
  • 홍콩
  • 홍콩무역관 오새봄
  • 2015-09-11
  • 출처 : KOTRA

 

작성일자: 2013.1.15

작성자: 홍콩 무역관 이범희(bhlee@kotra.org.hk)

 

 

□ 수출입동향

 

 ○ 육·어류 조제품

  - 수입 동향

 

HS Code 16 수입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2009

2010

2011

2012.1~11월

순위

수입국

수입

규모

증감률

수입

규모

증감률

수입

규모

증감률

수입

규모

시장

점유율

증감률

-

전체

5,936,834

+7.6

6,907,325

+16.3

10,651,860

+54.2

9,406,174

100.0

-1.1

1

중국

1,821,232

+8.9

2,208,640

+21.3

3,693,477

+67.2

3,803,231

40.4

+15.4

2

미국

504,885

+37.7

610,855

+21.0

891,181

+45.9

945,947

10.1

+20.5

3

스페인

489,079

-9.8

460,262

-5.9

795,236

+72.8

518,684

5.5

-23.8

4

호주

256,289

-20.1

252,500

-1.5

350,666

+38.9

334,210

3.6

+3.0

5

대만

204,985

+20.0

241,634

+17.9

328,819

+36.1

298,482

3.2

+2.6

6

태국

332,821

+17.4

328,996

-1.1

336,342

+2.2

294,145

3.1

-3.6

7

일본

219,341

-3.4

261,377

+19.2

241,683

-7.5

265,202

2.8

+19.8

8

이탈리아

174,812

-2.6

207,156

+18.5

357,173

+72.4

257,517

2.7

-19.4

9

폴란드

145,638

+17.7

218,286

+49.9

374,087

+71.4

233,992

2.5

-28.8

28

대한민국

9,781

+17.5

31,152

+218.5

94,228

+202.5

41,228

0.4

-53.8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특히 소시지(HS Code 160100)의 경우 지난 3년간 대한민국에서의 수입이 꾸준히 증가추세로 Parknshop 및 Wellcome 등 대형마트에서 다양한 대한민국 소시지 제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음.  

 

 

   · 대한민국 소시지 제품에 대한 인기가 꾸준히 증가추세로 더욱 다양한 브랜드 제품이 팔리고 있는 추세임.

 

  - 수출 동향

 

HS Code 16 수출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2009

2010

2011

2012.1~11월

순위

수출국

수출

규모

증감률

수출

규모

증감률

수출

규모

증감률

수출

규모

시장

점유율

증감률

-

전체

1,256,955

-16.5

1,252,700

-0.3

1,694,862

+35.3

1,084,973

100.0

-27.6

1

베트남

45,922

+136.8

77,723

+69.2

556,640

+616.2

365,942

33.7

-23.4

2

마카오

180,474

+9.5

206,716

+14.5

260,691

+26.1

251,004

23.1

+7.4

3

중국

376,092

-56.0

598,224

+59.1

662,254

+10.7

237,450

21.9

-60.3

4

미국

207,425

+16.3

144,022

-30.6

91,485

-36.5

109,135

10.1

+36.7

5

싱가포르

24,896

-21.3

35,002

+40.6

55,717

+59.2

38,830

3.6

-20.9

6

말레이시아

17,619

-2.4

17,180

-2.5

29,404

+71.2

29,813

2.7

+23.4

7

대만

379,966

+99.4

142,133

-62.6

9,731

-93.2

15,620

1.4

+61.5

8

캐나다

13,272

+9.7

16,515

+24.4

10,289

-37.7

11,175

1.0

+20.7

9

일본

753

-41.7

1,678

+122.9

5,826

+247.3

8,166

0.8

+40.2

20

대한민국

114

-98.5

940

+724.9

3,849

+309.4

301

*

-92.2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육 · 어류 조제품의 수출 및 재수출은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로 대부분 베트남, 마카오 및 중국 등지로 수출되고 있음.

 

 ○ 당류. 설탕과자

  - 수입 동향

 

HS Code 17 수입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2009

2010

2011

2012.1~11월

순위

수입국

수입

규모

증감률

수입

규모

증감률

수입

규모

증감률

수입

규모

시장

점유율

증감률

-

전체

1,990,423

-9.1

2,401,139

+20.6

2,757,494

+14.8

2,497,649

100.0

+1.9

1

대한민국

463,459

+12.3

609,305

+31.5

729,447

+19.7

615,891

24.7

-7.3

2

중국

641,693

-10.2

713,015

+11.1

684,764

-4.0

607,955

24.3

-0.6

3

일본

306,794

-13.9

337,962

+10.2

358,581

+6.1

309,968

12.4

+1.5

4

태국

144,628

+9.5

100,616

-30.4

167,793

+66.8

225,061

9.0

+44.1

5

말레이시아

73,628

-10.9

78,515

+6.6

210,223

+167.8

200,017

8.0

+6.7

6

미국

64,062

-28.9

100,497

+56.9

135,967

+35.3

127,826

5.1

+14.3

7

대만

42,989

-0.5

68,400

+59.1

77,991

+14.0

80,446

3.2

+19.4

8

영국

39,171

-12.2

90,111

+130.0

41,346

-54.1

61,529

2.5

+62.8

9

독일

25,296

-12.2

33,455

+32.3

41,318

+23.5

45,029

1.8

+17.9

10

호주

56,966

+14.1

79,140

+38.9

109,274

+38.1

38,085

1.5

-62.0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대한민국이 당류. 설탕과자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 최근 홍콩 유통업체에서 한국산 당류, 설탕과자 등에 대한 구매 문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은 상당히 고무적이며 다양한 과장 등이 다양한 유통업체를 통해 활발히 판매되고 있음.  

 

 

   · 또한 홍콩 내 유명 식당체인 등으로 인기리에 국산 설탕이 대량 유통되고 있음.

 

  - 수출 동향

 

HS Code 17 수출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2009

2010

2011

2012.1~11월

순위

수출국

수출

규모

증감률

수출

규모

증감률

수출

규모

증감률

수출

규모

시장

점유율

증감률

-

전체

781,566

-27.2

872,834

+11.7

867,643

-0.6

784,814

100.0

+0.9

1

중국

196,469

-24.4

264,793

+34.8

306,092

+15.6

326,839

41.6

+15.8

2

마카오

139,096

-3.0

159,128

+14.4

189,530

+19.1

173,099

22.1

+5.7

3

미국

186,951

-25.1

169,141

-9.5

169,468

+0.2

111,456

14.2

-22.7

4

베트남

7,200

+999.2

16,721

+132.5

27,384

+63.8

34,074

4.3

+51.6

5

캐나다

28,433

-8.1

37,450

+31.7

21,971

-41.3

20,110

2.6

+6.8

6

호주

20,441

-6.5

20,105

-1.6

17,454

-13.2

18,354

2.3

+7.2

7

싱가포르

12,972

-9.6

13,349

+2.9

11,587

-13.2

11,623

1.5

+5.3

8

영국

31,846

-33.3

38,778

+21.8

15,444

-60.2

11,050

1.4

-26.9

9

프랑스

10,371

-33.6

12,802

+23.4

12,492

-2.4

9,889

1.3

-20.8

16

대한민국

1,619

+37.4

2,063

+27.4

3,985

+93.2

3,503

0.4

+37.2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기타 식품제품과 유사하게 중국 및 마카오 등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으로의 수출은 약 5억원 규모로 꾸준히 증가추세임.

 

 ○ 채소·과실의 조제품

  - 수입 동향

 

HS Code 20 수입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2009

2010

2011

2012.1~11월

순위

수입국

수입

규모

증감률

수입

규모

증감률

수입

규모

증감률

수입

규모

시장

점유율

증감률

-

전체

2,040,963

-0.2

2,232,984

+9.4

2,596,261

+16.3

2,542,741

100.0

+9.7

1

미국

686,974

+10.0

658,333

-4.2

714,794

+8.6

729,389

28.7

+18.4

2

중국

485,266

+4.8

594,780

+22.6

729,902

+22.7

644,610

25.4

-2.7

3

태국

166,113

-13.2

167,569

+0.9

186,748

+11.4

175,314

6.9

+2.9

4

일본

75,255

-3.9

108,606

+44.3

109,278

+0.6

161,333

6.3

+70.9

5

필리핀

126,647

-12.8

137,247

+8.4

196,248

+43.0

138,985

5.5

-21.1

6

남아프리카

85,356

-18.5

96,347

+12.9

116,854

+21.3

125,265

4.9

+15.4

7

대만

55,266

+24.7

70,724

+28.0

82,449

+16.6

90,190

3.5

+17.9

8

대한민국

27,000

+7.5

33,882

+25.5

48,320

+42.6

66,059

2.6

+45.2

9

이탈리아

34,577

+19.5

38,766

+12.1

48,513

+25.1

42,563

1.7

-5.4

10

영국

29,449

-13.8

29,545

+0.3

34,847

+17.9

41,100

1.6

+30.6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채소 · 과실의 조제품은 2011년 3월 일본 지진으로 인한 방사능의 영향으로 한국 제품의 수요가 급증하였음.

   · 2011년 3월 이전의 경우 대형마트에서 국산 채소 및 과일의 유통을 찾아볼 수 없었으나 현재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 국산 딸기제품 등에 대한 TV 광고가 진행 중임.

 

 ○ 김치

 

 

  - 한국 음식과 웰빙에 대한 관심으로 김치 수요 증가

  - 한국 드라마 대장금 및 다양한 영화와 음악등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특히 2003년 사스 예방에 효과가 있었다는 점과 한류 및 웰빙 트렌드가 맞물려 김치 판매량이 증가함.

 

김치 해외 수출량 추이

(단위: 달러)

자료원: 무역협회

 

  - 2011년 일본 수출량이 전체 수출량의 83%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운데 미국, 홍콩, 대만 등지의 수요도 꾸준히 증가함

  - 특히, 홍콩으로의 수출량은 2011년 전년동기 대비 35.8%, 2012년 상반기 32.4% 증가하며 김치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짐.

 

 

  - 수출 동향

 

HS Code 20 수출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2009

2010

2011

2012.1~11월

순위

수출국

수출

규모

증감률

수출

규모

증감률

수출

규모

증감률

수출

규모

시장

점유율

증감률

-

전체

552,119

-4.7

668,816

+21.1

1,269,575

+89.8

699,484

100.0

-42.0

1

중국

247,194

-13.1

268,544

+8.6

289,580

+7.8

316,239

45.2

+19.2

2

마카오

157,732

+2.4

145,279

-7.9

170,405

+17.3

157,873

22.6

+3.7

3

베트남

17,151

..

33,400

+94.7

44,995

+34.7

67,361

9.6

+61.3

4

싱가포르

14,980

-6.2

20,820

+39.0

21,334

+2.5

28,494

4.1

+47.1

5

미국

22,065

+15.3

30,493

+38.2

26,755

-12.3

18,363

2.6

-22.1

6

캐나다

15,783

+7.2

20,116

+27.5

22,168

+10.2

18,187

2.6

-7.0

7

대만

20,443

+12.9

78,614

+28.4

551,230

+601.2

16,439

2.4

-97.0

8

호주

9,101

+9.8

13,111

+44.1

9,283

-29.2

10,625

1.5

+27.9

9

네덜란드

8,804

-7.2

9,126

+3.7

10,871

+19.1

9,613

1.4

+0.2

27

대한민국

67

-71.9

412

+515.9

196

-52.5

670

0.1

+242.3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전체 수입의 4분의 1규모로 주로 중국 및 마카오 등으로 수출되고 있음.

   · 대한민국으로의 수출은 1억원 미만의 규모로 매우 작음.

   · 국산 팽이버섯 등을 중국으로 재수출하는 홍콩업체가 있었으나 통관 및 신선보관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사례가 있음.

 

 ○ 음료, 주류, 식초

 

  - 수입 동향

HS Code 22 수입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2009

2010

2011

2012.1~11월

순위

수입국

수입

규모

증감률

수입

규모

증감률

수입

규모

증감률

수입

규모

시장

점유율

증감률

-

전체

11,566,570

+21.9

15,546,598

+34.4

19,311,670

+24.2

17,285,930

100.0

-2.7

1

중국

4,849,787

+20.2

5,545,587

+14.3

5,900,358

+6.4

6,304,708

36.5

+11.6

2

프랑스

1,941,263

+23.6

3,290,197

+69.5

4,826,584

+46.7

3,608,057

20.9

-17.5

3

영국

1,305,537

+61.1

1,874,021

+43.5

2,549,354

+36.0

1,888,588

10.9

-18.3

4

싱가포르

567,462

+15.3

771,677

+36.0

1,025,150

+32.8

1,078,799

6.2

+16.8

5

미국

583,091

+63.7

860,469

+47.6

1,214,892

+41.2

906,316

5.2

-17.6

6

호주

353,601

+15.2

430,336

+21.7

535,902

+24.5

514,482

3.0

+7.8

7

일본

240,325

-8.5

288,901

+20.2

416,926

+44.3

381,474

2.2

+5.4

8

대한민국

372,935

+39.9

347,532

-6.8

363,711

+4.7

314,221

1.8

-5.8

9

이탈리아

121,502

+5.1

179,938

+48.1

270,002

+50.1

288,184

1.7

+21.6

10

네덜란드

261,577

-13.4

447,238

+71.0

269,429

-39.8

267,891

1.5

+9.1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발효주(HS Code 220600)의 경우 일본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대지진 이후에도 수입량이 감소하지 않고 꾸준히 증가. 이는 홍콩 내 유통중인 발효주의 경우 일본제품의 인지도가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음. 실제로 홍콩 내 일본 Sake 제품만을 취급하는 전문점이 상당히 많이 운영되고 있음.

 

 

   · 한국에서의 수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시장점유율이 높지 않음. 하지만 일본 대지진 이후 대체식품으로 한국 제품이 활발히 수출되고 있으며 발효주 역시 2년 전과 비교하여 다양한 제품이 홍콩 내 대형마트에 유통되고 있음.(가격비교 참고)

   · 전통주 및 발효주의 경우 국내 중소기업의 활발한 진출이 고무적임.

 

  - 수출 동향

 

HS Code 22 수출통계

                        (단위: 천 홍콩달러, %)

 

2009

2010

2011

2012.1~11월

순위

수출국

수출

규모

증감률

수출

규모

증감률

수출

규모

증감률

수출

규모

시장

점유율

증감률

-

전체

4,384,973

+3.2

5,537,955

+26.3

6,976,841

+26.0

6,112,507

100.0

-3.0

1

중국

1,411,939

-7.9

1,841,922

+30.5

2,559,225

+38.9

2,938,066

48.1

+28.4

2

마카오

1,189,996

+24.6

1,575,677

+32.4

2,103,440

+33.5

1,663,684

27.2

-13.9

3

베트남

1,256,942

-4.3

1,623,894

+29.2

1,697,233

+4.5

820,474

13.4

-46.2

4

싱가포르

144,748

+20.0

63,988

-55.8

99,322

+55.2

125,573

2.1

+45.3

5

미국

74,333

+7.6

90,505

+21.8

96,527

+6.7

124,900

2.0

+42.3

6

캐나다

38,503

+4.3

42,926

+11.5

43,737

+1.9

41,365

0.7

+5.7

7

아랍

에미레이트

28,645

+776.0

51,004

+78.1

55,727

+9.3

39,041

0.6

-16.6

8

대만

17,178

+35.9

17,640

+2.7

42,280

+139.7

36,170

0.6

-10.1

9

호주

27,043

+89.6

45,912

+69.8

63,587

+38.5

34,022

0.6

-42.3

10

대한민국

34,174

+96.9

22,626

-33.8

16,660

-26.4

32,799

0.5

+128.5

       자료원: 홍콩무역발전국

 

   · 기타 식품에 비해 활발히 수출되고 있으며 대부분 수입된 상품의 재수출임.

   · 중국, 마카오 및 베트남으로 대부분 수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으로의 수출은 약 46억 원 규모임.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홍콩 조제 식료품 시장동향(2013.1))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