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UAE 스킨케어제품 시장 동향
  • 상품DB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미진
  • 2015-03-13
  • 출처 : KOTRA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색조 및 스킨케어, 향수, 샤워제품을 포함하는 UAE 뷰티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7.2% 성장하며, 48억디르함(2013년 판매액 기준, 약 13억680만달러)으로 집계됨.

  -  UAE 거주민의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은 편으로 뷰티를 위한 소비는 필수적인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관심을 반영하듯 대부분의 글로벌 브랜드들이 UAE에 진출, MENA 지역에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최근 3년간 UAE 뷰티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백만 디르함, %)

구분

2011

2012

2013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4,208.4

-

4,490.5

6.7

4,818.2

7.2

주: 어린이용, 남성용, 목욕용, 데오도런트, 향수, 헤어, 오랄, 선케어, 색조 및 스킨케어 포함

자료원: 유로모니터

 

□ 시장전망

 

 ○ 전체 뷰티시장의 11%를 차지하는 스킨케어제품 시장규모는 2013년 5억 3,000만디르함(1억4,400만 달러)으로 전년대비 7.2%의 성장률을 나타내었음. 이러한 성장세는 2018년 까지 이어져 약 7억 500만디르함(1억 9,00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서유럽의 불경기로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지의 유럽 인구가 UAE로 이주, 아울러 인근 이집트, 시리아, 레바논 등의 아랍인구 또한 정치적 경제적 불안정성을 이유로 UAE로 유입되고 있음. 이들의 경제활동은 UAE 경기 활성화에 한 몫하며 더 높은 가처분 소득으로 연결되고 있음.

  - 경제적 여유로 인한 거주민의 소비증가뿐 아니라 쇼핑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는 UAE의 명성에 힘입어 더 많은 관광객들의 입국과 소비가 기대됨.

  - 셀룰로이드관리용, 립케어제품을 중심으로 빠른 수요 증가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문화적으로 흰 피부를 선호하는 아랍, 동남아시아계 거주자로 인해 화이트닝 기능이 있는 스킨케어제품 수요가 특히 기대됨.

 

UAE 스킨케어제품 시장규모 및 성장 예상

            (단위: 백만디르함, %)

구분

2011

2012

2013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464.4

-

496.0

6.8

531.9

7.2

자료원: 유로모니터

 

 ○ 두바이 무역관에서 진행한 바이어 인터뷰에 따르면, 뷰티 시장규모가 성숙단계에 접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제품의 경쟁력은 높지 않은 편이라고 함.

  - 고소득 계층인 자국민과 외국인 이민자들의 경우 프리미엄 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높을 뿐 아니라, 저소득층의 경우 물류비용 등의 부담으로 저가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제품을 이용할 경제적 여유가 없는 편이기 때문임.

  - 수요증가와 시장 확대가 기대됨에 따라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방법고안이 필요한 시점임.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연령을 불문한 여성층이 주 소비자 계층이나, 최근 외모에 관심을 가지는 남성을 대상으로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음.

 

 ○ UAE 스킨케어제품 시장은 크게 프리미엄 브랜드, 슈퍼마켓 브랜드, 비 브랜드로 나눌 수 있으며 브랜드의 특성에 따라 주요 소비자와 구매 패턴에 차이가 있음.

  - 세계 굴지의 프리미엄 브랜드는 높은 가격대를 형성, 현지 대형 쇼핑몰이나 백화점을 통해 유통되고 있으며, 전체 스킨케어제품 판매액의 20%정도가 프리미엄 브랜드에서 발생

  - 또한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로 현지 슈퍼마켓 등지에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되는 슈퍼마켓 브랜드인 Olay, Nivea, Vaseline, Dove, Avon 등이 있음.

  - 아울러 인도, 중국, 대만 등지에서 특별한 브랜드 네임 없이 매우 저렴한 값으로 시장에 진출 해 있는 제품도 있음.

 

 ○ 소비자 구매 동기

  - 피부보습

  - 주름관리, 미백효과 등의 부가적인 목적을 위한 구매

 

□ 수입동향

 

 ○ UAE 정부의 수출입통계 발행 중단으로 인해, 입수 가능한 최신통계는 HS코드 4단위 기준2011년 수치임.

  - 하기의 수입 통계 또한 HS코드 4단위 기준으로 의약품을 제외한 메이크업제품과 네일제품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HS코드 8단위의 단순 스킨케어제품 수치와는 차이를 보임.

 

 ○ 통계에 따르면, 2009년에서 2011년 까지 화장품 류의 수입은 5천억 달러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UAE 경기가 회복되는 시점인 2011년에는 전년대비 33%증가하며 6천7백억 달러를 상회함.

  - 한국의 대 UAE 수출은 2011년 3백 35만달러에서 2013년 5백87만달러로 소폭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음.(KITA)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UAE/화장품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3304 기준)

 

                        (단위: US천$,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

2009

2010

2011

2009

2010

2011

10/11

0

총계

505,699,317

505,363,992

677,097,206

 100.00

 100.00

 100.00

 33.98

1

인도

96,384,234

94,406,267

138,978,535

 19.06

 18.68

 20.53

 47.21

2

프랑스

95,109,272

108,954,528

119,896,094

 18.81

 21.56

 17.71

 10.04

3

독일

54,655,110

53,635,971

62,843,056

 10.81

 10.61

  9.28

 17.17

4

미국

53,860,724

46,705,458

60,543,534

 10.65

  9.24

  8.94

 29.63

5

이탈리아

29,067,911

25,452,162

41,542,690

  5.75

  5.04

  6.14

 63.22

6

중국

23,423,212

27,170,131

32,831,764

  4.63

  5.38

  4.85

 20.84

7

스페인

23,169,361

17,960,059

30,038,237

  4.58

  3.55

  4.44

 67.25

8

영국

23,800,050

21,164,597

29,349,084

  4.71

  4.19

  4.33

 38.67

9

태국

16,222,671

18,977,188

26,822,669

  3.21

  3.76

  3.96

 41.34

10

캐나다

10,678,671

11,194,266

20,645,203

  2.11

  2.22

  3.05

 84.43

22

대한민국

2,566,788

3,988,766

3,517,325

  0.51

  0.79

  0.52

 - 11.82

주: HS코드 4단위 3304 기준(미용 또는 메이크업용 제품류와 기초화장용 제품류(의약품을 제외하며, 썬스크린과 썬텐 제품류를 포함, 및 매니큐어용 제품류와 페디큐어용 제품류)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 규제 제도

 

 ○ UAE는 국제교역 장려 정책을 펼치는 국가로 수입규제, 원산지규정과 같은 비관세장벽에 대한 제제가 미미한 편임.

  - 통관절차는 비교적 간단한 편으로 송장, 원산지 증명서 및 필수인증이 갖추어져 있다면 특별한 애로사항은 없음.

 

 ○ UAE 표준측량청인 ESMA는 2014년 11월 화장품과 퍼스널케어제품에 대한 신규 규제(Scheme for Cosmetics and Personal Care)을 시행함.

  - UAE 내에 스킨케어 제품의 유통을 희망하는 경우 ESMA가 규정하는 안전과 품질, 제조과정, 도량형, 포장, 라벨링 요건을 따르고 ECAS인증 획득을 통해 준수여부를 증명해야 함.

  - ESMA의 규정을 따르지 않은 제품 적발 시 금고형, 벌금형, 사업자등록 취소 등의 엄벌을 받게 됨으로 성공적인 현지진출을 위해서 해당 인증 획득은 필수임.

 

□ 관세율

 

 ○ HS 코드 3304 및 하위 단위 기준 5%

 

 ○ 통관 시 유의사항

  - 특이사항 없음.

 

□ 주요 유통채널

 

 ○ 현지 에이전트나 디스트리뷰터 선임을 통해 수입, 주요 쇼핑몰, 하이퍼마켓, 온라인 샵을 통해 최종소비자가 구매함.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 세계 최대의 뷰티그룹인 에스티로더, 로레알을 비롯해 La Mer, La Prairie, Kiehl’s과 같은 대부분의 유명 글로벌 브랜드들이 두바이를 중심으로 진출 해 있음.

 

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

회사명

브랜드 명

점유율

원산지

Clarins Group Middle East Ltd.

Clarans

26.6

프랑스

L’Oreal Middle East FZE

Lancome

15.3

프랑스

Eastee Lauder Middle East FZE

Clinique

15.0

미국

Christian Dior SA, Parfumes

Dior

6.3

프랑스

주: 2013년 기준 프리미엄 스킨케어 브랜드 경쟁동향 분석

자료원: 유로모니터

 

주요 제품 가격 안내

            (단위: AED)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Lancome

Galateis Douceur Gentle Softening Cleansing Fluid

185.00

Clarte Tonique Douceur

211.00

Renergie Nuit Multi-lift

570.00

Renergie Night

900.00

Clinique

BB Cream SPF 30 shade 02

110.00

Clinique Moisture Surge Tinted Moisturizer

290.00

Clarifying Lotion Clarifante

138.00

Dramatically Different Moisturizing Lotion

275.00

Christian Dior

Capture Totale

130.00

Instant Cleansing Water

243.00

Capture R60/80 XP Ultimate Wrinkle Correction Serum

660.00

Capture Totale Multi-Perfection Cream

476.00

Clarins

HydraQuench Cream Gel

303.00

Cleansing Milk

250.00

Vital Light Serum

429.00

Multi-Active Night Youth Recovery Comfort Cream

366.00

주: USD1=AED3.67

자료원: 무역관 자체조사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한국산 제품의 대한 인지도는 미미하며, 현지에 진출 해 있는 The Faceshop을 제외하고 알려진 브랜드는 거의 없음.

 

 ○ 선호 브랜드

  - 없음.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Beautyworld Middle East

전시회명(한국어)

중동 미용박람회

전시품목

헤어, 네일제품, 향수, 화장품, 스파제품 및 미용기기

개최국가/도시/개최주기

UAE/두바이/매년

규모(참가업체 수)

52개국 1,400여개

개최기간(2015년)

5월 26일-28일

웹사이트

www.beautyworldme.com/frankfurt/94/messe-frankfurt/for-visitors/for-exhibitors.aspx

 

중동 미용박람회 개최 현장

자료원: Beautyworld Middle East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및 현지 바이어 구매상담 시 우선 고려사항

  - 유명 화장품 브랜드의 경우, 인지도를 바탕으로 대형 쇼핑몰에 입점, 판매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브랜드 로열티 혹은 습관성 구매에 따른 소비가 이루어 지고 있음.

  - 여타 제품의 경우 브랜드 보다는 가격이나 품질 수준이 바이어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편이기 때문에 경쟁사를 고려한 가격책정이 중요함.

 

□ 마케팅 방안 및 타깃고객층

 

 ○ 아름다움을 원하는 성별, 나이 층은 점차 다양해 지면서 스킨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전망되나, 아직까지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인지도는 미약한 편이기 때문에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한 인지도 상승이 가장 시급 한 것으로 보임.

  - 이미 상용화 된 제품 수출을 기획하기 보다는, 미약한 브랜드 이미지와 애매한 가격을 커버할 수 있는 니치 마켓을 노려야 한다는 것 또한 바이어의 공통된 의견임.

 

 ○ 유행에 민감한 시장이라는 UAE의 특성 상, 새로운 유행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편이기 때문에, 다양한 인종과 문화권의 사람들의 특성이나 니즈를 반영한 제품 개발이 절실함.

  - 2012년 최고급 스파에서 1회 시술에 약 2천디르함에 이르는 24K 금을 이용한 피부미용이 인기를 끌면서 Unilever사에서는 많은 여성들이 좀 더 저렴하고 편리하게 피부관리를 할 수 있도록 60디르함 내외의 Gold Radiance라인의 크림 등을 출시, 선풍적 인기를 끈 선례가 있음.

  - 최근 들어 한국에서 유행하는 페이셜 마스크팩, 달팽이크림 등을 중심으로 하는 제품에 대한 바이어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는 바, 이를 중심으로 한 UAE 진출을 노려볼 만 함.

 

 ○ 아울러 피부 마사지나 스파에서의 피부관리는 UAE 지역의 여성들에게 보편화 되어있는 여가생활이기 때문에 이를 통한 제품유통을 시도해 볼 수 있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스킨케어제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