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쿠웨이트 의약품 시장동향
  • 상품DB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이삼식
  • 2015-03-11
  • 출처 : KOTRA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시장규모

  - 쿠웨이트 의약품 시장규모는 2014년 기준 US$11억달러로 전년대비 0.2억달러로 추정되며 전년대비 6.8% 성장할 것으로 예상

  - 헬스케어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53.5억달러로 이중 의약품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9.3%임

  - 의약품별 시장규모는 오리지널약(66.8%), 제네릭약(18.9%), 처방약(16.0%)로 나뉘어짐

 

의약품 시장규모 및 성장율

(단위: US$십억, %)

구분

2010

2011

2012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0.98

6.9

1.03

5.7

1.10

6.8

자료원 : BMI

(단위: US$십억, %)

구분

오리지널약

제네릭약

OTC(처방약)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비중)

0.665 (66.8)

2.1

0.193 (18.9)

13.9

0.164 (16.0)

6.1

자료원 : BMI

 

□ 시장전망

     

 ○ 수요 증대 예상 요인

  - 쿠웨이트는 최근 3년간 인구가 3백만명에서 4백만명으로 증가하였고, 1,000억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건설/플랜트 프로젝트가 진행중이어서 향후 15년간 현재보다 2배로 인구가 증가 예상

   * 전체인구의 4/3이 제3국인으로 프로젝트 관련 외국인 유입이 지속 증가 전망

  - 아울러, 쿠웨이트 투자청이 중심이 되어 추진되고 있는 공공의료보험컴퍼니 설립(2015년초 예상)과 걸프국가간 의약품가격 단일화 추진으로 향후 민간부문의 의약품 구매시장 성장을 가져올 것임

  - 한편, 쿠웨이트보건부와 공공사업부가 발주하는 총 9개 국립병원 확장 프로젝트와 아동병원,군인병원 등 특수병원이 건설 또는 입찰 예정

  - 현지 의약품 생산업체는 제네릭 제조 1개사만 있어 수입에 많이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구조

     

 ○ 무역관 전망(해외 현장에서 보는 향후 시장전망)

  - 쿠웨이트 정부는 의료, 주택, 교육 등 3가지를 가장 시급하게 개선해야 할 과제로 꼽고 있으며, 지난 20년간 국립병원 신설과 확장이 없어 공공의료서비스가 매우 낙후된 실정임

  - 2010-2014 5개년 개발계획을 통해 9개 국립병원 증축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현재 8개는 낙찰이 완료되어 건설중 또는 건설추진중이며 1개는 입찰은 되었으나 수주처가 미결정된 상태로 의료인프라 개선작업이 본격 이뤄지고 있음

  - 현재 1개사(Kuwait Saudi Pharmaceutical Industries Co.) 제네릭 생산업체가 있고, 생산 규모를 늘리기 위해 공장을 추가할 계획이지만 주요 구매처인 보건부의 구매수요를 모두 커버하지 못해 앞으로도 해외로부터의 의약품 수입은 지속 늘어날 전망임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구매처)

  - 쿠웨이트 보건부 : 전체 의약품의 70-80%를 구매중

     

 ○ 소비자 구매 동기

  - 글로벌제약사 의약품 선호하는 편임

     

□ 수입동향

 

 ○ 개관

  - 쿠웨이트의 의약품(HS Code 30 기준) 수입은 2013년 기준 5,76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0%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스위스, 독일, 네덜란드, 영국, 벨기에, 프랑스 등 유럽이 상위 6개 수출국으로 이어서 미국, 사우디, 덴마크,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이태리 등이 포진

  - 한국은 연간 200만 달러를 수출하여 20위권이지만 전년대비 84%, 최근 5년간 평균 71% 수출이 늘어나고 있는 등 쿠웨이트 수입국중 가장 수입 증가율이 높은 국가임

    * 주요 수출품목(2013년) : 백신/혈액류(US$622,000), 항생제류(US$1,266,000), 거즈/붕대 등(US$43,000)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국가명/품목명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30 기준)

                        (단위 : US$천,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

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0

총계

469,496

441,545

575,736

100

100

100

-

1

스위스

117,393

110,723

137,372

25.0

25.1

23.9

24.1

2

독일

80,996

74,401

88,814

17.3

16.9

15.4

19.4

3

네덜란드

46,145

46,148

72,981

9.8

10.5

12.7

58.1

4

영국

55,714

49,998

51,229

11.9

11.3

8.9

2.5

5

벨기에

29,657

25,217

47,668

6.3

5.7

8.3

89.0

6

프랑스

35,953

25,707

34,577

7.7

5.8

6.0

34.5

7

미국

22,685

31,687

32,198

4.8

7.2

5.6

1.6

8

사우디

0

0

22,471

0.0

0.0

3.9

-

9

덴마크

11,130

11,464

16,219

2.4

2.6

2.8

41.5

10

아일랜드

12,945

16,155

15,349

2.8

3.7

2.7

-5.0

20

한국

728

1,090

2,004

0.2

0.2

0.3

83.9

자료원 : Trademap

     

세부 의약품 분야별 상위 10대 수입국 현황 - 2013년 기준

                        (단위 : US$천)

순위

HS 3001류

(치료.예방용조제물질)

HS 3002류

(혈액, 백신 등)

HS 3003류

(항생제류-비복용)

HS 3004

(항생제류-복용)

HS 3005류

(거즈붕대 등 기타)

     

국가

금액

국가

금액

국가

금액

국가

금액

국가

금액

0

전체

3,172

전체

127,322

전체

11,831

전체

400,846

전체

13,304

1

미국

2,349

스위스

42,489

사우디

7,944

스위스

92,646

중국

4,225

2

영국

574

네덜란드

27,460

영국

2,053

독일

60,612

사우디

3,032

3

독일

94

독일

22,543

요르단

624

네덜란드

43,946

영국

2,053

4

덴마크

68

오스트리아

9,643

이태리

344

영국

43,122

독일

1,269

5

네덜란드

68

벨기에

5,647

미국

220

벨기에

36,287

벨기에

638

6

인도

13

미국

5,571

사이프러스

151

프랑스

28,807

프랑스

493

7

체코

1

프랑스

4,272

남아공

125

미국

22,621

네덜란드

301

8

-

-

아일랜드

2,871

중국

85

덴마크

14,193

미국

218

9

-

-

영국

2,668

스웨덴

47

아일랜드

10,862

덴마크

158

10

-

-

덴마크

1,798

호주

46

사우디

10,802

남아공

147

자료원 : Trademap

     

 

2. 수입제도.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 규제 제도

     

 ○ 규제내용 (관세 및 비관세 규제 등)

  - 특별한 수입규제는 없음

 

 ○ 필수 인증 : FDA

 

 ○ 의약품은 쿠웨이트보건부에 사전등록 및 사전허가를 받아야 하며, 등록기간은 통상 6-24개월 소요됨(일부 긴급히 생명을 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긴급의약품에 대해서는 패스트트랙 절차 적용)

  - 관련부서 : The Drug and Food Control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Registration (MOH내)

  - 등록비 : US$350, 갱신시 별도 비용 없음

   * 대부분 의약품을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실정상 의약품 등록비는 다른 나라에 비해 저렴한 편이나, 쿠웨이트 정부는 자국기업의 생산 촉진을 위해 US$2,000까지 등록비를 올릴 것도 검토하고 있음

     

□ 관세율

     

 ○ 관세율 : 0% (의약품은 환자, 국민에 대한 서비스로 간주)

 

 ○ 통관시 유의사항

  - 수입품 통관을 위해서는 원산지증명서, 상업송장 3부, B/L 또는 Airway Bill 3부가 필요하며 의약품의 경우에는 추가로 쿠웨이트보건부의 사전 수입허가가 필요함

  - 원산지 증명서에는 수입품의 원산지, 제조업체명(풀네임), 운송회사((풀네임), 운송목적이 명기되어야 함

  - 제출서류는 반드시 수출국(한국) 상공회의소와 주한 쿠웨이트대사관이 인증한 서류여야 함.

 

□ 주요 유통채널(온라인 시장, 현지 딜러망, 대형유통업체 등)

 

 ○ 쿠웨이트 유통 의약품 최대 구매처는 정부(쿠웨이트보건부, 입찰)이며 약 70-80%를 차지함

 

 ○ 기타 민간병원, 약국, 클리닉, 뷰티샵등을 통해 구매하거나 건강보조제의 경우 Sultan Center,

   Lulu 등 대형유통점을 통해서도 유통중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현지업체 및 해외업체, 시장점유율 등)

 

 ○ 쿠웨이트정부는 의약품에 대해 크게 두가지 수단을 통해 관리하고 있음. 하나는 6개월에 한번씩 약가를 재책정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도매/소매상이 각각 29%, 26% 이상 마진을 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는 것임. 이에 따라, 약가 인상율은 2000년 이후 현재까지 7.1% 정도만 인상되었으나, 대부분 의약품이 국내 경쟁사가 없이 수입되는 시장특성으로 인해 약가 자체가 매우 비싼 편임

 

 ○ 따라서, 경쟁사 제품의 가격이 얼마에 판매되고 있는지보다 의약품별 판매 가격에 비해 국내 제조사가 얼마나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생산, 수출할 수 있는지가 보다 중요함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한국산 의약품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는 않은 편이나, 최근 1~2년 사이 한국의 뛰어난 외과, 성형외과, 치과, 관절치료나 당뇨치료 등 기술이 알려지고 UAE, 사우디와 한국간의 활발한 의료인력 및 의료관광 확대로 인해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

 

 ○ 선호 브랜드

  - 국내 제약사 주요 메이커는 물론 중소.중견 메이커 구분없이 다각도로 바이어들이 접촉희망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Kuwait Medica Conference & Exhibition

전시회명(한국어)

쿠웨이트 의료 컨퍼런스 및 전시회

전시품목

병원프로젝트, 병원관리시스템, 의료기기 및 의료서비스

개최국가/도시/개최주기

쿠웨이트/쿠웨이트시/매년

규모(참가업체수)

약 60개사

개최기간(2014년)

2015.3.16.-2015.3.18.

웹사이트

www.kuwaitmedica.com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 제품 특성상 최대 구매처인 쿠웨이트보건부 구매결정부서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며, FDA 승인여부는 구매결정에 매우 중요한 전제요소임.

     

 ○ 현지 바이어 구매상담시 우선 고려사항 (가격, 품질, A/S, 공급자와의 신뢰관계, 친밀도 등)

  - 유럽/미국 등 글로벌 제약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확고하여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

  - 보건부 외에 쿠웨이트 제약사, 병원, 대형약국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노력 병행 주효

 

□ 마케팅 방안 및 타겟고객층

  - 우리나라는 항생제 등 수출이 매년 크게 증가세에 있음.

  - 최근 중동(사우디, UAE)지역에 항암제 생산공장 설립 등 추진이 본격적으로 이어지고 있고, 우리나라와는 항생제 공장 합작 설립 희망 등 협력의사가 증가하고 있어, 의약품 또는 의료 용품 관련 현지 합작 생산공장 진출도 유망한 편임.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쿠웨이트 의약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