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파키스탄 수입 식품 시장 트렌드
  • 트렌드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정주헌
  • 2020-06-03
  • 출처 : KOTRA


- 할랄 인증, 우르두어 성분 표기 등 최근 강화된 식품 수입 요건을 숙지할 필요 

- 고소득층 타깃 유통망에서의 테스트 마케팅, 맛과 향의 현지화 조율 등의 노력을 통해 틈새시장을 공략해야 -


 

 

꾸준히 증가하는 고소득층 및 중산층 소비수요로 2018/19 회계연도 수입식품 시장 규모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최근 파키스탄 상무부에서 규제 명령(SRO)를 통해 할랄 인증, 우르두어 성분 표기, 잔여 유통기한 제한 등 수입 요건을 강화하는 추세로, 파키스탄으로 식품을 수출하기 위해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한국 식품류의 파키스탄 시장 진출의 열쇠는 수입 식품에 익숙하지 않은 현지인의 특성을 고려해 제품의 향과 맛을 조율하는 것, 그리고 고소득층을 타깃으로 한 유통망에 네트워크를 보유한 바이어와 비즈니스를 진행하는 것이다.

 

중산층 및 고소득층 소비자를 중심으로 수입 식품 수요 증가

 

파키스탄 가구는 평균적으로 연 수입의 약 50%를 식품 관련 소비에 지출한다.” 파키스탄에서 50년간 식품 등 소비재 무역업을 해온 현지 업체 Premier Distributor가 인터뷰 처음에 꺼낸 말이다. 2018/19 회계연도 기준 파키스탄의 1인당 GDP는 아직 1,315달러에 불과한 수준이나, 꾸준히 증가하는 중산층 및 고소득층의 니즈에 맞추어 수입식품 시장은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일부 수입식품 종류별로 차이는 있으나 소매 시장에서 현지 생산 제품의 약 7~10배에 해당하는 가격을 형성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식품 수입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부재하여 할랄 인증을 획득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수입된 제품이 현지 시장에 유통되기도 했었다. 파키스탄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 이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고자 2019년 규제명령을 발표해 할랄 인증 등 식품 수입 요건을 강화하였다.

 

파키스탄으로 수출하는 제품은 포장지에 영어 및 우르두어 병행 표기 필수

 

파키스탄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는 규제 명령(Statutory Regulatory Order, SRO) 273을 통해 201971일 이후 파키스탄으로 식품 수출 시 갖추어야 할 요건을 발표하고, 통관 과정에서 해당 요건들을 체크하여 수입 업체들이 이를 준수하도록 하였다.

 

SRO 273 주요 내용

 ·  영양 성분 및 제품 섭취 방법은 제품 포장 용지에 영어와 우르두어(현지어)로 병행 표기해야 함.

·  영어 및 우르두어는 포장용지에 직접 인쇄되어야 하며, 스티커, 겹친 인쇄, 도장, 스크래치 형태를 적용하는 것은 금지 

·  수입 통관 시점을 기준으로 제품의 잔여 유통기한은 전체의 2/3 이상이어야 함. 

·  할랄 인증이 필요한 제품은 국제 할랄 인증 포럼(International Halal Accreditation Forum, IHAF) 또는 이슬람 국가 표준 규격 협회(Standards Metrology Institute for Islamic Countries, SMIIC)의 회원사가 발행한 할랄 인증서를 획득해야 함.

·  할랄 인증을 부여한 기관의 로고는 제품 포장지 겉면에 인쇄되어야 함.

자료원: Pakistan Ministry of Commerce

 

수출 전 공인된 기관으로부터 할랄 인증은 필수

 

SRO 273에서 안내된 바와 같이 수입 식음료의 경우 국제 할랄 인증 포럼(IHAF) 또는 이슬람 국가 표준 규격 협회(SMIIC) 회원사에서 할랄 인증을 획득해야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SMIIC와 협력 체계를 구축한 한국할랄인증원(Korea Halal Authority KHA) 등 기관에서 인증서를 발생하고 있다. 기본적인 할랄 인증 절차는 한국할랄인증원 홈페이지(www.koreahalal.kr)에 아래와 같이 안내되어 있다.


한국할랄인증원 할랄 인증 절차

 

자료원: 한국할랄인증원

 

한국할랄인증원의 안내에 따르면 할랄 인증 시 원료입고, 보관 및 이송, 작업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하고 있으며, 인증서의 유효기간은 발행일로부터 1년이므로 1년 단위로 갱신해야 한다. 인증서 발행 6개월 후 중간 모니터링을 실시해 할랄 생산 관리가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될 경우 인증이 취소될 수도 있으므로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할랄인증원 할랄 인증 기본 준비 서류

 1.     할랄 인증 신청서 

2.     사업자 등록증 

3.     공장 등록증

4.     생산 허가증 또는 영업 허가서(영업 신고증) 

5.     품목 제조 보고서 

6.     제품 제조 공정도

7.     시험 성적서 

8.     샘플(생산되는 최소단위 분석과 보관에 필요한 양)

9.     원재료 표기(실제 사용하는 원료 모두 누락 없이 표기) 

10.   납품회사 원료의 제조 공정도 및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확인서

11.   주정을 제조 공정에 사용한 경우(0.5% 이내) 원료 생산품의 잔류 에탄올 분석 확인서 

12.   제조 공정 중 효소를 사용한 경우 사용된 효소의 유래를 알 수 있는 서류, 효소의 배양액에 대한 원료 리스트, 각 원료의 제조 공정도 및 군주 기탁서

13.   HACCP, CMP, GHP, ISO 또는 기타 인증서가 있는 경우 인증서 사본 

14.   수입원료의 경우 수입신고필증, 국산 농축산물의 경우 원산지 확인 증명서, 수입 할랄 원료의 경우 외국 공인된 할랄 인증기관의 할랄 인증서

15.   할랄 실무자 교육 수료증

자료원: 한국할랄인증원

 

식품류 수입시장 규모는 약 14,089만 달러에 육박

 

파키스탄 국립은행(State Bank of Pakistan, SBP)에 따르면 2018/19 회계연도 기준 공식적으로 집계된 식품류 수입시장 규모는 HS Code 19 기준 약 14,089만 달러에 해당한다. HS Code 19는 세부 품목에 따라 5가지의 HS Code 1901~1905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이 중 수입규모가 12,858만 달러로 가장 큰 HS Code 1901 기준 수입 시장 점유율 1위는 네덜란드(42.1%), 2위는 일본(15.1%), 3위는 두바이(7.7%)이며, 한국은 1.2% 점유율로 10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 식품을 수입하고 있는 현지 바이어 Mecca Lagon사에 따르면 ‘19 5 IMF 구제금융 협상 전후 가속화된 파키스탄 루피화 가치 절하로 최근 식품을 포함한 모든 물품의 수입 여건이 좋지는 않은 상황이다. 수입 식품류 관세는 HS Code 19 기준 16~20% 수준이며, 별도로 부과되는 20%의 규제세(RD)를 감안하여 판매 가격을 책정해야 한다.

 

파키스탄 식품류 수입 시장 동향


Malt Extracts; Food Prep. of Flour etc.

(단위: 천달러, %)

순위

수입 대상국

2017/2018

2018/2019

수입규모

증감률

점유율

1

네덜란드

39,473

54,163

37.22

42.12

2

일본

41,662

19,407

-53.42

15.09

3

두바이

6,714

10,005

49.02

7.78

4

태국

7,034

5,842

-16.95

4.54

5

인도네시아

4,987

5,437

9.02

4.23

6

필리핀

1,961

3,903

99.03

3.04

7

말레이시아

4,459

3,487

-21.80

2.71

8

폴란드

4,604

3,418

-25.76

2.66

9

아일랜드

2,460

2,740

11.38

2.13

10

한국

-

1,640

-

1.28

-

기타

24,118

18,537

-23.14

14.42

137,472

128,579

-6.47

100.00

자료원: State Bank of Pakistan

: HS Code 1901 기준

 

Pasta and Couscous, Prepared or Not

(단위: 천달러, %)

순위

수입 대상국

2017/2018

2018/2019

수입규모

증감률

점유율

1

두바이

49

124

153.06

23.09

2

터키

184

121

-34.24

22.53

3

이탈리아

107

98

-8.41

18.25

4

사우디아라비아

33

61

84.85

11.36

5

중국

23

44

91.30

8.19

6

싱가포르

69

37

-46.38

6.89

7

영국

0

24

-

4.47

8

아랍에미리트

0

12

-

2.23

9

한국

0

4

-

0.74

10

스페인

-

2

-

0.37

-

기타

139

10

-92.81

1.86

604

537

-11.09

100.00

자료원: State Bank of Pakistan

: HS Code 1902 기준

 

Tapioca and Substitutes from Starch in

 (단위: 천달러, %)

순위

수입 대상국

2017/2018

2018/2019

수입규모

증감률

점유율

1

태국

565

714

26.37

94.82

2

중국

4

20

400.00

2.66

3

말레이시아

0

11

-

1.46

4

두바이

0

8

-

1.06

5

탄자니아

53

0

-100.00

-

6

인도네시아

5

0

-100.00

-

7

튀니지

-

-

-

-

8

러시아

-

-

-

-

627

753

20.10

100.00

자료원: State Bank of Pakistan

: HS Code 1903 기준

 

Foods Prep by Swelling Cereal; Cereal NES

 (단위: 천달러, %)

순위

수입 대상국

2017/2018

2018/2019

수입규모

증감률

점유율

1

말레이시아

1,964

2,126

8.25

39.58

2

인도

1,655

1,343

-18.85

25.00

3

영국

425

528

24.24

9.83

4

두바이

36

396

1,000.00

7.37

5

필리핀

165

296

79.39

5.51

6

태국

152

165

8.55

3.07

7

프랑스

45

127

182.22

2.36

8

미국

341

97

-71.55

1.81

9

중국

139

80

-42.45

1.49

10

터키

45

44

-2.22

0.82

-

기타

87

169

94.25

3.15

5,054

5,371

6.27

100.00

자료원: State Bank of Pakistan

: HS Code 1904 기준


Bread, Pastry, Cakes etc.

 (단위: 천달러, %) 

순위

수입 대상국

2017/2018

2018/2019

수입규모

증감률

점유율

1

두바이

1,060

1,071

1.04

18.93

2

이탈리아

693

880

26.98

15.55

3

싱가포르

503

654

30.02

11.56

4

말레이시아

649

596

-8.17

10.53

5

독일

605

523

-13.55

9.24

6

태국

344

364

5.81

6.43

7

중국

308

290

-5.84

5.13

8

영국

372

245

-34.14

4.33

9

인도네시아

212

226

6.60

3.99

10

한국

38

0

-100.00

-

-

기타

1,360

809

-40.51

14.30

6,144

5,658

-7.91

100.00

자료원: State Bank of Pakistan

: HS Code 1905 기준

 

수입식품 시장규모 증가세는 SRO 273에 의해 제동

 

파키스탄 현지 무역업체 Premier Distributors에 따르면 파키스탄 수입식품 시장규모는 2013/14 회계연도 이후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었으나, 2019년 발표된 SRO 273에 의해 수입 식품 포장지의 우르두어 병행 표기가 강제된 이후 수입 증가세가 다소 정체되고 있다.

  

카라치 무역관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현지 수입 식품 시장에서 대표적으로 활동해온 업체들은 Premier Distributors, IBL Ops, Sabiha Anees, Fair Marketing Pakistan 등이 있다. 해당 업체들의 의견에 따르면 올해 들어 식품류 통관 시 SRO 273이 본격적으로 적용되는 분위기라고 하니, 사전에 수입 업체 측과 준비 서류 등을 면밀히 검토해야 통관 지체로 인한 패널티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바이어가 말하는 현지 수입 식품 시장 특징 (1)

 

Premier Distributor1971년 설립된 현지 종합 무역 업체로 두바이, 독일 등 지역으로부터 식품 및 화장품 수입 등 다양한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Premier Distributor의 사업개발 담당자 Mr. Usman에 따르면 수입 식품은 20%의 규제세 등으로 인해 유통 시 가격이 크게 상승하므로, 대도시 등 고소득 지역 유통망 위주로 공급되고 있다. 최근 카라치 및 라호르에 유통되고 있는 한국 S사 라면 제품의 경우 소매 판매가격이 320~350루피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약 2달러에 해당한다. 파키스탄 노동자 최저 임금이 120달러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적지 않은 금액이다.

 

그러므로 파키스탄에 식품을 수출하고자 하는 업체는 우선 현지 중산층 및 고소득층을 타깃으로 하는 유통망에 네트워크를 보유한 바이어를 발굴하는 것이 급선무다. 카라치 지역을 예로 들면 Carrefour, Springs Store, EBCO 등의 유통망에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바이어가 말하는 현지 수입 식품 시장 특징 (2)

 

Sabiha Anees는 카라치에 소재한 무역 업체로, 2001년부터 주로 영국, 뉴질랜드 등에서 식음료 품목 위주로 수입을 해오고 있다. Sabiha Anees의 수입관리자 Mr. Muhammad Mateen 이 밝힌 바에 따르면 한국 식품 대부분의 특징인 매콤하거나 매운 맛은 파키스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매운맛과 다소 차이가 있다. 파키스탄의 매운맛은 Chaat Masala 라는 향신료에 기반하고 있으나, 한국 음식은 대부분 Red pepper를 활용한 소스를 사용하므로 한국 음식을 처음 접해본 파키스탄인은 생소한 맛으로 느낄 수 있다.

 

이 외에도 대부분의 파키스탄인은 한국 및 일본 등 동아시아권 식품의 맛과 향기에 익숙하지 않으므로 현지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라면류의 경우 최근 인도네시아에서 수입되고 있는 Indome 등의 제품이 인기가 있다. 파키스탄 현지인이 좋아할만한 맛이므로, 파키스탄 음식을 접하기 어려운 경우 해당 제품을 통해 간접적으로 현지인의 취향을 이해해볼 것을 추천한다.

 

고소득 층을 타깃으로 하는 유통망 공략으로 세일즈 기회 확대

 

카라치 무역관이 자료 수집을 위해 접촉한 Premier Distributor 등 바이어들이 공통적으로 언급한 바에 따르면, 수입 식품은 현지 생산되는 동일 품목에 비해 약 7~10배 가량 비싼 경우가 많아 고소득층을 타깃으로 마케팅을 해야 한다. 대도시에 위치한 대형 유통망 위주로 네트워크를 보유한 바이어와 업무를 진행한다면 파키스탄 진출이 보다 수월할 것이다.

 

앞서 소개한 Premier Distributor, Mecca Lagon, Sabiha Anees 외에도 현지 수출을 위한 주요 바이어들은 카라치 무역관의 해외시장조사 서비스 등을 통해 발굴이 가능하다.

 

현지인의 특성을 고려한 맛과 향 첨가로 폭넓은 소비층 확보

 

또한 수입 식품의 맛과 향기에 익숙하지 않는 파키스탄 잠재 소비자들을 위해 소스 등을 일부 개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인터뷰에 응했던 현지 바이어 Sabiha Anees는 매운맛 하나에도 한국과 파키스탄 음식 사이에 적지 않는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파키스탄 식품을 접하기 어려울 경우, 현지에서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인도네시아, 태국 등 국가의 식품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간접적으로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지 식품 업계 동향 파악을 위해 올해로 23회차를 맞이하는 Food Asia 등 주요 전시회에 참가해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세부 내용은 홈페이지(www.foodasia.net)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나 코로나19로 당분간 국가간 이동이 쉽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우선 KOTRA 바이코리아 플랫폼 내 개설된 산업별 온라인 특별관(https://www.buykorea.org/onlineshowcase) 등을 활용해 제품을 소개하고 화상상담을 가져보는 것을 추천한다.

 

 

자료원: Pakistan Ministry of Commerce, State Bank of Pakistan, Pakistan Federal Board of Revenue, International Halal Accreditation Forum, Standards Metrology Institute for Islamic Countries, Premier Distributor, Mecca Lagon, Sabiha Anees, 한국할랄인증원, Business Recorder, Tribune, KOTRA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파키스탄 수입 식품 시장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