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의 덴탈클리닉 시장을 주목하라
  • 트렌드
  • 중국
  • 시안무역관
  • 2020-05-28
  • 출처 : KOTRA

- 중국 덴탈 시장, 매년 20% 가까이 성장 지속 중 -
-
노인인구 증가와 치아미용에 대한 관심 증대로 선진 서비스 수요 늘 것으로 전망 -

 

ㅇ 코로나19와 함께 개인위생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대 되면서, 그 간 조명을 받지 못하던 중국의 덴탈 시장 또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령화 인구의 증가, 젊은 층의 치아미백에 대한 관심 증가, 국민 소득 증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그 시장가능성은 주목할 만 하다.


□ 빠르게 성장하는 중국 의료 지출


 ㅇ 중국 소비자들의 수입증대와 보건의식 제고에 따라, 연 보건의료지출 비용은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2009년 연 17,000억 위안 수준이었던 보건의료지출은 201859,000억 위안으로 성장, 연 평균 14.5% 의 속도로 상승하며, OECD 1위 수준인 한국의 성장률 6.8% (출처 : 보건사회연구원, <2017 한국 의료 질 보고서>) 를 크게 앞서고 있다.

뿐만 아니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의료기관 숫자 및 그 증가세 역시 중국 보건의료 산업규모의 확대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출처 : 2019 중국국가통계연감, 시안무역관 자체 정리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종합병원(성장률)

24,709

25,860(4.7)

27,587(6.7)

29,140(5.6)

31,056(6.6)

33,009(6.3)

전문병원(성장률)

5,127

5,478(6.8)

6,023(9.9)

6,642(10.3)

7,220(8.7)

7,900(9.4)

출처 : 2019 중국국가통계연감, 시안무역관 자체 정리

 

□ 중국 덴탈 시장 발전 여전히 초보 단계, 성장 여지

 ㅇ 다만, 빠르게 성장하는 의료시장에서 덴탈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작다의료산업 발전에 따라 구강의료산업 또한 비교적 완만한 산업체인을 구축하며 환자수와 의료기관 수의 빠른 상승을 이뤄냈지만, 산업의 복합성장률은 여전히 선진국 평균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ㅇ 중국 국가위생위원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내 가벼운 질환을 포함, 치아 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 수는 69천만명으로 35-44세 사이의 도시 주민의 96.7%가 치석에 시달리고 있고, 87.4%가 상습적인 잇몸 출혈을 겪고 있으며, 65-74세의 노년층의 4.5%가 완벽한 치아 탈락 상태를 경험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반해 치과 진료 횟수는 2018년 기준 약 4천만회로,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전체 환자 중 5.8% 정도만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이다.

 ㅇ 특히, 높은 충치 발생률 대비 환자의 의료기관 방문 비율은 매우 낮아 여전히 구강질환은 병이 아니다라는 인식을 지닌 환자수가 다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산업정보망 (2018년 기준), 시안무역관 자체 정리


 ㅇ 뿐만 아니라, 미국치과협회(American Dental Association)에서 2017년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2016년 덴탈서비스 산업규모는 약 1,244억 달러에 달하며, 1인당 덴탈 관련 소비지출은 약 384달러에 달하는데 이는 동기 기준 중국의 서비스 산업규모(782억 위안)11, 1인당 소비지출 규모(9달러)33배에 달하는 수치로 치과치료의 단가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중국의 덴탈 산업은 아직 초기 상태임을 알 수 있다.


□ 확대되는 덴탈 산업 투자규모, 관리/통제 능력은 낙후


  ㅇ 중국 산업정보망에 따르면, 중국의 덴탈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960억 위안으로  2008(200억 위안) 대비 약 5배 성장, 연 평균 18% 속도의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추산할 경우, 2020년의 시장규모는 1천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 산업정보망

 

 ㅇ 이처럼 빠른 산업성장세에 주목한 투자기관들의 투자 규모 또한 확대되고 있다. 2015년 시작된 덴탈 업계를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융자는 2018년 그 정점을 찍었으며, 2,000~3,000개 정도로 추산되는 민영 덴탈클리닉 프랜차이즈와 온라인 진료 플랫폼 등 신성장 산업에 대한 대한 투자가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아동전문 덴탈클리닉 프랜차이즈에 대한 투자기관들의 투자 규모는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ㅇ 다만, 투자 확보 이후 기업 관리면에서는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커지는 투자규모 대비 양성되는 의료진의 수와 관리 경험의 결여는 경영 리스크와 불필요한 코스트 상승을 유발시켜 기업의 장기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일례로, 중국의 대표적 덴탈케어 업체인 베이징 바이보바이얼 구강병원(北京拜博拜尔口腔院, 이하 바이보)과 베이징 자메이 덴탈그룹(北京佳美口腔集, 이하 자메이)의 예를 들 수 있는데, 2014년 레노버로부터 10억 위안의 투자를 확보한 바이보는 공격적인 경영모델을 차용, 20185월 중국 최초로 200개 이상의 체인을 보유한 덴탈기업으로 성장하며 타이캉(泰康)보험으로부터 20억 위안의 추가 투자를 받는데 성공하였으나, 체인수를 늘리기 시작한 2015년 이래 경영 손실은 6.91억 위안(2015), 7.95억 위안(2016), 7.93억 위안(2017)으로 확대되고 있다.


 ㅇ 한편, 20071,000만 달러의 융자를 확보하며 200710개소에 지나지 않던 체인을 2009 100여개소까지 확대시키며 빠른 규모 확대를 추진하던 자메이 그룹은 대규모 손실과 자금고갈로 인해 체인수를 줄이기 시작, 현재까지도 2009년의 지점규모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ㅇ 아울러, 치의대 수를 통제(11)하며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는 한국 대비, 대학에 따라 교육과정이 짧으면 수개월 정도 만에 면허 확보가 가능한 중국의 경우 의사 또는 기공사의 실력 확인이 매우 어려우며, 그럼에도 인구 대비 치과의사 수가 1:500~600 수준인 구미 선진국이나 1:434인 한국 (2016년 기준) 에 비해 중국의 치과의사 비율은 1:8000에 달하는 등 심각한 의료진 결여 현상을 겪고 있다.

 

□ 1선 도시에 집중된 고급 덴탈 서비스


 ㅇ 중국의 덴탈 전문 병원은 크게 종합병원, 전문병원(프렌차이즈 포함), 개인진료소(诊所) 3개 분류로 나뉘어져 있으며, 이 중 종합병원 치과의 경우 치료 목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비해브랜드 병원은 미백, 교정 등 미용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으며병원 시설과 서비스 수준이 가장 높아 환자(고객)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편이다

 ㅇ 그럼에도 전체 진료비중으로 볼 때 각각 40~45% 수준에 달하는 종합병원과 개인진료소의 진료비중 대비 전문병원 진료비중은 약 10~15% 수준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낮은 병원 보급률과 높은 진료비용이 그 원인으로 2018년 기준 전국 종합병원이 약 19,603개소에 달하는 것에 대비 구강전문병원은 786개소 수준이며, 그 또한 1선도시에 집중 포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 덴탈 클리닉 유형>

구분

종합병원 치과

전문병원

개인 치아진료소

분포

중국 전역의 주요 도시

대도시 위주

아파트 등 생활 거주지

수준

설비 시설 중급 수준, 전문병원 대비 설비와 기술 수준 낙후

고급스런 설비의료서비스 수준 가장 높음

소형 개인치과 수준

서비스

치아 질환 치료임플란트 등

치아 질환 치료치아 미용 관련 시술, 임플란트 시술 등 대부분의 덴탈클리닉 서비스 제공

치아질환 치료 위주

비용

중저가

고가

저가

출처 : 시안무역관 자체 정리

 

<주요 전문병원 별 특징 및 분포 현황>

순위

브랜드로고

브랜드명

지점수

주요 분포 지역

주요고객

1


拜博口腔

212

베이징, 상하이, 충칭,텐진 4개직할시와 25개성 성도도시를 포함하여 총 50여개 도시에 분포

주로 도시 비즈니스(务区) 발전지역 집중되어 있으며 주요 고객대상은 직장인과 중산층

2


瑞尔齿

55

1선도시, 성도도시 및 연해 경제발달지역 내 분포

중산층과 외국인

3


145

1선도시, 성도도시 등 35개 도시에 분포되어 있으며 유명브랜드와의 협력 또는 인수합병을 주요 비즈니스 모델로 삼고 있음

주로 도시 비즈니스(务区) 발전지역 집중되어 있으며 주요 고객대상은 직장인과 중산층

4


牙博士口腔

30

주로 상하이 쟝수성, 저쟝, 안후이성 등 주강삼각주 12개 도시에 분포

도시 일반 주민

5


马泷齿

26

포르투갈 브랜드로 2012년 중국시장 지출하여 현재 베이징상하이광저우선전마카오칭다우청두정저우타이위안선양하이코우 등 도시에 분포

첨단 구강 클리닉 서비스 제공 업체로 외국인 또는 고수입층을 주요 목표 고객으로 삼고 있음

출처 : 시안무역관 자체 정리

 

시사점 : 기술협력, 설비판매, 대중적 서비스 중심의 사업 모델 추진 필요

ㅇ 기술협력
  - 
외자기업의 중국 내 치과 설립은 금지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정 부분 통제되어 있는데 2019년 중국 상무부에서 발표한 <외상투자진입특별관리조치(네거티브리스트) 2019년판>에 제 33항에 의거 외자기업의 의료기관 설립은 합자 또는 합작 형태만 허용되고 있다.

  - 다만, 앞서 언급하였듯 현재 중국 덴탈 시장에 대한 현지 자금 투자 규모는 상당한 수준이다. 이에 합자 또는 합작 과정에서 무리한 자금 투자를 통한 지분확보 보다는 중국 기업에 부족한 기술 투자 지분 또는 경영 및 관리 지식 (의료진 인력교육, 병원관리 및 경영자문) 담당을 기반으로 한 협력 모델이 추천된다.

  - 한편, 외자 의료기관의 경영 상 어려움 중 하나로 뛰어난 의료인력 확보가 꼽히는데, 일부 의료기관의 경우 타국에서 의료진을 초빙해오는 등 다양한 노력을 취하고 있다. 다만,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한국 치과의사의 평균 월수입은 1,002만원에 달하는 반면, 중국 전문병원 전문의의 평균 급여수준은 약 15,000~25,000위안 (한화 약 259만원~433만원)수준으로 큰 차이가 있어 현지 의료인력 채용을 배재할 경우 치과경영 및 서비스비용 책정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상술하였듯 현지 의료 및 기공사 면허 취득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바, 의료인력 채용 시에는 해당 인력이 수료한 교육과정 및 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병행되어야 한다.

<참고> 전국 제4차 의과대학 평가결과 (28개 학교)

                                                          출처 : 중국 교육부 학위 및 대학원 교육발전중심, 시안무역관 정리

 

ㅇ 설비판매

  - 덴탈 클리닉은 기본적으로 고비용 설비가 투입되는 대표적 의료 분야 중 하나이다. <중국위생및계획생육통계연감2018>에 따르면 2017년 구강병원에서 구입한 1만 위안 이상의 덴탈설비는 총 63억 위안 수준으로 전년동기 대비 19.78% 상승했다. 뿐만 아니라 2012~2017년 간 덴탈설비 구매규모 성장속도는 100만위안 이상 설비는 연 평균 27.57%, 50~99 위안의 설비는 연 평균 25.83%, 50만 위안 이하 설비는 연 평균 17.27%로 성장하는 등 고가설비의 수요확대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17 1만위안 이상 덴탈 설비 규모

63 위안

100 위안 이상 설비 구매 연평균 성장

27.57%

50~99만위안 설비 구매 연평균 성장

25.83%

50 위안 이하 설비 구매 연평균 성장

17.27%

 출처 : < 중국위생및계획생육통계연감2018>, 시안무역관 자체 정리

  - 특히, 한국의 대중국 덴탈설비 수출규모는 상당히 높은 편으로 6개 주요 설비에서 모두 중국의 10대 주요 수입국 중 하나로 꼽히고 있으며, 의치를 제외한 모든 제품군에서 빠른 수출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기타 치과 및 정형외과용 기기 (HS CODE 902129)의 경우 중국 전체 수입액의 24% 이상을 한국 수출품이 차지하는 등 높은 對한국 의존도를 보이고 있다.

              

HS코드 분류에 따른 주요 제품 국가별 수입 동향 (출처 : KITA)

  

치과용 시멘트와 기타 치과용 충전제 및 뼈형성용 시멘트(H.S. Code 3006.40)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

2016

2017

2018

0

세계

79,313

103,437

153,793

1

독일

29,798

37,618

48,303

2

스위스

8,375

12,962

29,164

3

미국

13,653

20,018

29,093

4

영국

1,446

2,018

2,697

5

한국

2,529

2,364

2,159

6

캐나다

135

593

1,329

7

네덜란드

332

344

329

8

대만

0

0

39

9

인도(인디아)

0

0

25

10

홍콩

0

0

20



치과용 드릴 엔진 및 부품(H.S. Code 9018.41)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

2016

2017

2018

0

세계

17,144

68,278

25,016

1

일본

4,084

55,593

13,525

2

독일

3,634

5,405

5,119

3

한국

219

787

1,675

4

미국

1,363

195

268

5

프랑스

6

56

59

6

영국

0

7

23

7

브라질

132

23

1

8

홍콩

689

0

0

9

러시아

0

0

0

10

인도(인디아)

0

0

0

 

기타 치과용 바, 유닛, 치석 제거기 및 부품(H.S. Code 9018.49)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

2016

2017

2018

0

세계

143,640

157,846

216,160

1

독일

38,691

33,644

42,372

2

미국

19,091

23,467

32,368

3

한국

10,959

14,002

17,774

4

일본

11,709

13,221

12,615

5

베트남

9,111

9,672

10,772

6

이탈리아

5,214

6,580

6,855

7

핀란드

3,634

4,414

5,468

8

영국

220

608

2,434

9

멕시코

1,872

1,855

1,732

10

홍콩

101

0

174


의치(H.S. Code 9021.21)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

2016

2017

2018

0

세계

7,049

7,599

10,222

1

일본

4,049

4,492

6,100

2

독일

1,159

1,165

1,374

3

필리핀

367

466

581

4

스웨덴

205

119

73

5

미국

8

8

56

6

한국

31

112

0

7

마카오

0

0

0

8

러시아

0

0

0

9

홍콩

0

0

0

10

영국

0

0

0


기타 치과, 정형외과용 기기(H.S. Code 9021.29)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

2016

2017

2018

0

세계

206,372

264,856

330,908

1

한국

51,172

63,582

81,290

2

스웨덴

45,460

54,038

52,551

3

독일

38,911

43,455

50,306

4

미국

13,384

29,116

42,646

5

프랑스

7,864

8,827

11,334

6

이탈리아

1,323

1,318

2,194

7

스페인

598

1,014

1,672

8

일본

439

494

549

9

영국

0

294

107

10

덴마크

2

18

13

 

치과용 의자 및 이와 유사한 의자 및 그 부분품(H.S. Code 9402.10)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

2016

2017

2018

0

세계

6,184

5,839

7,936

1

핀란드

1,676

1,885

2,157

2

미국

2,051

1,695

2,045

3

대만

372

276

978

4

독일

502

396

654

5

일본

522

458

575

6

한국

407

457

546

7

덴마크

247

210

446

8

이탈리아

229

273

184

9

멕시코

0

24

136

10

싱가포르

0

1

20

  

품목별 중국의 對한국 수입의존도

 출처 :시안무역관 자체 정리


 ㅇ 대중적 서비스 중심의 사업 전개


  - 상술하였듯, 중국의 덴탈산업은 태동단계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불필요하게 많은 설비와 고가의 서비스를 투입하기 보단 대중적인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주요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중국 내 덴탈케어 상품의 마진율은 안과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으로 이 중 임플란트는 그 마진율이 가장 높은 서비스 상품 중 하나이다.


 

출처 : 중국 산업정보망, 시안무역관 자체 정리


  - 중국의 임플란트 소비량은 201113만개에서 2018240만개로 18배까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를 근거로 추산할 때 2020년에는 350만개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노년인구의 증가, 개인 의료와 미용에 대한 수요 증가, 주민 소득 증가 등을 고려할 때 이 성장세는 앞으로도 상당한 기간 동안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 중국 산업정보망, 시안무역관 자체 정리

 

  - 중국에서 유통되는 임플란트는 크게 미국과 유럽지역의 브랜드와 한국계 브랜드로 나눌 수 있다한국 제품은 다른 수입 브랜드 보다 가격이 10~20% 정도 저렴하면서도 품질 수준이 높아 인기가 좋은 편이다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는 오스템, 덴티스, 덴티움, 메가젠 등이 있다


 <중국내 유통 주요 임플란트 브랜드>

   


 전문가 인터뷰

[시안 시징병원 X 치과 전문의]

Q1. 중국 덴탈병원에서 사용되는 설비품질은 어떤 수준인가?

A1. 현재 중국 내에서 통용되는 치과 설비 중 국산 설비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대부분 일본과 한국에서 수입되는 제품들이며, 독일 또는 미국 제품 또한 사용되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많이 사용되는 편은 아니다. 이에 정규 병원 시설이라면 설비 자체는 다른 나라들과 크게 차이가 난다고 보이지는 않는다.

 

Q2. 중국 덴탈업계의 품질 제고 등을 위해 외자기업의 진입이 필요하다고 보는가?

A2. 필요하다고 본다. 다만, 의사의 수준 측면보다는 간호요원의 서비스 수준과 해외 제품에 대한 의료진 또는 기공사들의 이해도 측면에서 이야기하는 것이다. 실제로 중국 내 다수의 병원들이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한국 간호요원을 초청하거나 한국에서 연수를 진행하기도 한다.

 

Q3. 한국의 제품에 대한 현지의 인식은 어떻다고 보는가?

A3. 의료진들 사이에서 한국산 제품은 매우 유명하며 채용도도 높다. 다만, 소비자들의 이미지나 선호도는 독일 제품에 치중되어 있는 편이다. 이에 유명 덴탈 병원의 제품 소개에 독일산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는 선전문구를 자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원: 2019 중국국가통계연감,산업정보망 (2018년 기준), 중국 교육부 학위 및 대학원 교육발전중심,< 중국위생및계획생육통계연감2018>, KITA,시안무역관 자체 정리 등 취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의 덴탈클리닉 시장을 주목하라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