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구 2억 파키스탄의 식량 안보, 종자에서 해답을 찾다
  • 트렌드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정주헌
  • 2019-09-24
  • 출처 : KOTRA

- 종자 수입 의존도 80%육박,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종자 개발 시급해

- 현지 대기업 위주로 고부가가치 하이브리드 종자 수요 증가세 -

 

 

 

파키스탄 종자 시장 현황

 

  ㅇ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종자 개발 및 유통 

    - 1차 산업에 해당하는 농축수산업은 2017/18회계연도 기준 파키스탄 GDP의 약 19%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의 40% 이상이 종사하는 주요 산업임.

  - 이 중 농업은 GDP 7.1%를 차지하고 있으나 주요 농업 지대의 열악한 전기·수도 인프라, 낮은 교육 수준 등은 농업 생산성 향상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임.

    - 파키스탄 정부는 농업 생산성 제고를 위해 인프라 확충 등과 더불어 우량 종자 연구 및 유통에 자원을 투입하고 있음.

    - Rashid Seed 사 등 바이어 인터뷰에 따르면 2019년 현재 파키스탄 종자 시장 규모는 약 5억 달러로 추정되며, 주로 유통되는 종자는 면화, , , 사탕수수 등임.

 

  ㅇ 일부 종자의 경우 전량 수입에 의존

    - 세계종자협회(International Seeds Federation, ISF)에 따르면 파키스탄 종자 수입의 경우 채소 및 일부 곡물 등 농산물 품종에 국한되어 있으며 최근 3년간 연 평균 수입액은 약 7000만 달러에 해당함.

    - 20187~20193월 기간 오일시드, 채소, 사료용 식물, 감자 종자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등 외국산 종자 의존도가 높음.

    - 한국으로부터는 일부 채소 종자 등이 수입되고 있으나 현지에 진출한 미국, 스위스 등 다국적 기업들에 밀려 아직 인지도 및 시장 점유율이 크지 않은 상황임.

    - 다국적 기업의 경우 아래 표에서 사기업 그룹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석에 주의를 요함.


파키스탄 종자 공급 현황

(단위: ha, MT)

품종

경작지

종자 공급

공공부문

사기업

수입

전체

8,945

42,934

386,407

-

429,341

면화

3,200

1,197

55,783

-

56,980

2,805

4,312

52,601

2,756

59,669

옥수수

1,170

237

1,222

12,776

14,235

오일시드

830

-

-

72

72

채소

280

-

-

2,123

2,123

사료용 식물

2,038

-

-

11,659

11,659

감자

166

-

-

2,397

2,397

Total

20,619

48,690

497,404

31,783

577,877

자료: Pakistan Economics Survey 2018-19


정책 동향

 

  ㅇ 종자 산업 관련 정책 동향

    - 파키스탄 정부는 2014년 초 국가 발전전략 ‘비전 2025’를 선포하고 7가지 중점 분야 중 하나로 에너지, 수자원 및 식량안보를 포함한 농업 분야를 지정함.

    - 2025년까지 세계경제 25위권 진입 및 중상위권 소득국가로 발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정책 이행 과정에서 식량 안보 확보를 위한 종자 개발 및 유통 산업 성장이 탄력을 받음.

 

비전 2025 중점분야 중 농업관련 내용

① 에너지 : 전력 사용가능 인구비율을 67%에서 90%로 확대

② 수자원 : 농업부문 용수 저장능력을 90일 까지, 수자원 활용 효율성을 20% 까지 향상

③ 식량안보 : 영양결핍 인구 비율을 60%에서 30%로 축소

자료: Pakistan Ministry of Planning, Development & Reform

 

    - 또한 2017년 국가 식량안보 정책(National Food Security Policy)에서는 식량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농업 성장률 목표를 연 4%로 지정

    - 목표 달성을 위한 방안으로 생산 효율 증대를 위한 인프라 확충, 고품질 종자 개발 지원, 비료 구입을 위한 보조금 지급 등을 내세움.

    - 국가 식량안보 정책은 파키스탄 농업분야 성장을 위한 4가지 요소로 안정적인 비료 보급, 안전한 살충제 사용, 신용시장 활성화와 함께 종자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가종자기술연구원 설립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 현지 기업 현황

 

  ㅇ 주요 경쟁 업체

    - 설립 후 50년 이상 경과한 현지 대기업과 Monsanto, Syngenta 등 종자 개발 관련 다국적 기업, 그 외 기업들을 포함해 약 760개의 기업이 종자 개발 및 유통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파키스탄 주요 종자 개발 업체

기업명

내용

홈페이지

Monsanto Pakistan

ㅇ 미국에 본사를 둔 생화학품 제조 업체

ㅇ 유전자 변형 종자 시장의 90% 점유율 차지

www.monsanto.com

Syngentta Pakistan

ㅇ 스위스에 본사를 둔 종자 및 살충제 제조 업체

ㅇ 세계 종자 시장 점유율 3

www.syngenta.com.pk

Pioneer Pakistan Seed Limited

ㅇ 미국에 본사를 둔 종자 전문 생산 업체

ㅇ 곤충 및 제초제 저항성이 있는 종자 등 개발

www.pioneer.com

Jullundur Private Limited

1952년 설립된 현지 종자 생산 업체

ㅇ 라호르 지역을 중심으로 폭넓은 유통망 보유

www.jullundur.com.pk

ICI Pakistan

1944년 설립된 현지 생화학품 제조 업체

ㅇ 카라치 지역을 중심으로 폭넓은 유통망 보유

www.ici.com.pk

자료: Punjab Seed Company Corporation

 

바이어 인터뷰

 

  ㅇ 높은 수입 의존도 미개선 시 농업 비용 증가 우려

    - 종자 유통 업체 Rashid Seeds 사의 Mr. Muhammad Omer Rashid (Director)에 따르면, 공식 통계에 잡히지 않는 유통량까지 고려하면 파키스탄 종자 시장의 수입산 의존도는 80%에 육박한다고 함.

    - 정부 및 민간 차원에서 종자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뚜렷한 성과가 나오지 않아 농업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는 못하고 있음.

    - 현재 종자 유통 트렌드에 비추어 볼 때 향후 8~10년 안에 파키스탄 당국이 수입 품종을 대체할 종자 개발에 초점을 맞추지 않을 경우 국가 전체적으로 농업 비용이 약 2배 증가하며 농업 분야가 크게 위축될 것으로 전망함.

 

  ㅇ 하이브리드 종자 수요는 대기업 위주로 증가 추세

    - 종자 및 농업 관련 제품을 수입하는 Haji Sons 사의 Mr. Ilyas Muneer에 따르면 대규모 경작이 가능한 기업형태 농가를 중심으로 하이브리드 종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하이브리드 종자는 병충해, 제초제 등에 내성을 지니고 있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생산량 확보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며, 이 같은 수요 증가세는 최소 향후 3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그러나 이와 같은 고부가가치 종자들의 경우 대부분 수입산 또는 민간 기업에서 개발된 것으로, 일반 품종 대비 가격이 2~3배 높아 현지 농민들이 사용하기 쉽지 않은 상황임.

 

주요 규제 현황 및 담당기관

 

  ㅇ 규제 기관

    - 파키스탄 국가종자위원회(National Seed Council, NSC)는 종자 규제 기준을 수립하며 종자 생산 연구 및 품질 관리, 각 지방 주 사이의 종자 이동 등을 규제하고 있음.

    - 파키스탄 연방종자 인증 및 등록부(Federal Seed Certification & Registration Department, FSC&RD)는 파키스탄으로 반입되는 모든 종자를 검증하고 있으며, 수입 허가를 발행하는 기관임.

 

  ㅇ 주요 규제 현황

    - 파키스탄 정부는 1991년 제정한 종자라벨링규정(Truth-in-Labeling (Seeds) Rules) 통해 품종, 순도, 발아율, 만료일 등의 정보가 정확히 표기되어야 수입을 허가해주고 있음.

    - 기본적으로 파키스탄 연방 종자 인증 및 등록부(FSC&RD)에 등록된 종자에 한해 수입이 가능하며, 새로운 품종의 경우 2년간 적응성 시험을 포함한 추가 조건을 통과한 이후에 등록 및 수입이 허가됨.

    - 기 승인된 품종이라 할지라도 수입 시 FSC&RD를 통한 종자 순도 및 발아율 검사는 필수임.

    - 파키스탄 식물검역법(Plant Quarantine Act)에 따라 일반 종자 외에도 감자, 사탕수수, , 바나나, 코코넛, 면화 등은 수입에 제한이 있으므로 바이어와 사전 확인이 필요함.

    - 종자 수입 쿼터 제도 또는 사전 수입 허가 제도는 시행하고 있지 않음.

 

시사점


  ㅇ 우량 종자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현지 종자 시장 진출 기회 확대

    - 파키스탄의 농업은 제대로 다듬어지지 않은 저효율 산업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인프라를 갖추어 나간다면 인구 2억의 거대 내수시장에 기반해 매우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함.

    - 종자 연구 및 개발은 파키스탄이 중요시하는 식량안보 정책의 한 축으로, 향후 농업의 성장과 그 궤를 함께 할 것으로 전망

    - 카라치 무역관을 통한 현지 시장조사 등으로 주요 작물 현황 및 업체 분포 등을 파악하고, 파키스탄 수출전용 품종 개발 및 현지 에이전트 지정을 통해 종자 수출 확대 방안 모색 필요


 ㅇ 현지 농업인 대상 종자 기술 교육을 겸한 품종 홍보 마케팅

    - 현재 파키스탄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의 대부분은 교육수준이 높지 못해 값이 나가는 종자의 주요 특성 및 중요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현지 농민들을 대상으로 주요 종자 개발 기술 및 다양한 품종 개량 사례 등을 교육하여 우량 종자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나아가 수요를 확보한다면 현지 주요 에이전트들과 비지니스가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

    - 실수요자인 농업인을 대상으로 에이전트를 통해 현지어로 제작된 품종 및 기술 소개 카탈로그 등을 제공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임.


  

자료원: Pakistan Plant Quarantine Act(1976), Pakistan National Seed Policy(2002), Pakistan Seed Act(2015), Pakistan National Food Security Policy(2017), International Seeds Federation, Federal Seed Certification & Registration Department, FSC&RD, National Seed Council, Punjab Seed Company Corporation,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해외농업자원개발협회, KOTRA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구 2억 파키스탄의 식량 안보, 종자에서 해답을 찾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