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자동차 사회로의 진입 빨라지나
- 소득 증가와 구매 패턴 변화로 오토바이시장 점진적 대체 예상 -
- 애프터마켓 공략과 독자모델 개발 등 현지 시장 움직임을 면밀히 분석 필요 -
□ 베트남 자동차산업, CKD 기반의 고성장 구가
ㅇ 베트남 자동차산업협회(Vietnam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VAMA)에 따르면, 2018년 회원사들의 자동차 판매대수는 총 28만8683대를 기록, 지난 2014년의 15만7810대 대비 약 183% 증가
베트남의 연도별 자동차 판매 추이
연도 |
자동차 판매량(대) |
증가율(%) |
2014 |
157,810 |
43 |
2015 |
244,914 |
55 |
2016 |
304,427 |
24 |
2017 |
272,750 |
-10 |
2018 |
288,683 |
5.8 |
주: 베트남 자동차산업협회 회원사 통계만 집계
자료: 베트남 자동차산업협회(VAMA)
ㅇ VAMA에 가입되지 않은 Hyundai-Thanh Cong의 판매대수와 수입차량을 포함하면 2018년 베트남 자동차 시장규모는 약 43만 대 정도로 추정
ㅇ 베트남은 외국 브랜드 CKD(Complete Knock Down) 생산 차량이 전체 시장의 80%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현대, 기아, 도요타 등 한국과 일본계 브랜드의 판매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함.
2018년도 베트남 최다 판매 톱 5 브랜드
(단위: 대)
자료: 베트남 자동차산업협회(VAMA), Hyundai-Thanh Cong
ㅇ 한편, 2018년 베트남의 자동차 수입은 총 8만3997대, 18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부품 수입액은 35억 달러를 기록
□ 자동차 시장 성장의 긍정 요인 ① - 소득 증가
ㅇ 2018년 기준, 베트남의 1인당 소득 수준(GDP)은 2587달러에 머물러 있지만 최근 연평균 7%대의 높은 성장을 지속하면서 오는 2025년에는 4500달러 수준까지 향상될 것으로 예상됨.
ㅇ 베트남 자동차산업협회 Toru Kinoshita 회장은 “베트남의 자동차 보유율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지만 베트남 경제의 고성장에 따라 자동차 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될 것이다”라고 진단하며, “실제 베트남 관광산업이 연 평균 10% 이상씩 성장하는 등 소득 향상에 따른 유의미한 사회변화가 감지되고 있다“고 강조
ㅇ 베트남의 소득수준과 자동차 보유 비율을 아시아권 주요 국가와 비교해보면 소득보다 자동차 보유 비율의 차이가 훨씬 크게 나타나며, 이는 향후 베트남의 소득 증가 속도보다 자동차의 수요 증가가 더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냄.
주요국 소득 수준 및 자동차 보유 비율 비교
(단위: US$, 대)
국명 |
1인당 GDP |
1,000명당 자동차 보유 |
||
금액 |
비교(對베트남) |
대수 |
비교(對베트남) |
|
호주 |
56,352 |
21.8배 |
775 |
33.7배 |
일본 |
39,228 |
15.6배 |
641 |
27.9배 |
한국 |
31,350 |
12.2배 |
453 |
19.6배 |
중국 |
9,000 |
3.5배 |
169 |
7.4배 |
베트남 |
2,587 |
- |
23 |
- |
자료: 각국 통계당국, 무역관 자체 분석
ㅇ 베트남 산업무역부(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 MOIT) 역시, 일인당 소득 3000달러 돌파 시점에 1000명 당 자동차 보유비율이 현재의 2배 수준인 50대까지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
□ 자동차시장 성장의 긍정 요인 ② - 인구 증가 및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ㅇ 2017년 기준 베트남의 인구는 약 9700만 명으로 1억 명 돌파를 앞두고 있으며 생산 가능 인구가 부양 대상 인구의 2배가 넘는 황금 인구구조(Golden Population)를 보유하고 있음.
ㅇ 이러한 안정적 인구 구조는 향후 15년 이상 지속될 것이며, 이에 따라 안정적 구매력을 보유한 중산층 역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임.
ㅇ 중산층을 중심으로 안정성과 편의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자기 만족 수단으로서의 자동차 보유 욕구가 늘면서 오토바이 대국인 베트남(’18년 기준 총 4600만 대, 세계 4위)의 자동차 사회화(Automobile Socialization)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
ㅇ 국책 연구기관인 베트남 산업·무역 정책·전략 연구소(Vietnam Institute of Industrial and Trade Policy and Strategy; IPSI)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5년까지 베트남 자동차 시장은 연 평균 22.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2035년에는 연 170만 대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
베트남 자동차 시장 성장 전망
(단위: 년, 대)
자료: 베트남 산업·무역 정책·전략 연구소(IPSI)
□ 자동차시장 성장의 제약 요인 – 열악한 배후산업과 ASEAN 차량 무관세 수입
ㅇ 자동차 시장의 고성장으로 다수의 완성차 기업이 생산설비를 지속 확충함에 따라 현재 베트남의 연간 자동차 생산 능력은 60만 대 수준까지 증가
주요 자동차 메이커 연간 생산 능력
(단위: 대)
자료: 베트남 자동차산업협회(VAMA)
ㅇ 그러나 자동차 산업 자체가 CDK 위주로 형성돼 있고 주조, 금형 등 뿌리산업과 부품·소재 산업 기반이 아직 부족한 상황으로 자국 내 부품 수급 비율이 비교적 높은 트럭 및 24인승 이상 차량 부문에서도 50%를 넘지 못하고 있음.
ㅇ 아울러, 2020년부터 아세안 역내로부터 수입되는 차량에 대해 수입 관세가 면제될 예정으로 베트남 정부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반기 기준으로 총 8000대 이상을 생산하고, 이 중 한 개 모델이 3000대를 넘는 자동차 회사에 대해 부품 영세율 적용 등 세제 혜택을 부여하고 있으나 일정 부분의 시장 잠식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임.
□ 전망 및 시사점
ㅇ 베트남은 열악한 교통 시스템으로 인한 사회비용 방지와 소득 수준에 기초해 자동차를 사치품으로 규정, 고율의 세금을 부과하고 있어 우리나라 대비 차종에 따라 최대 3배의 가격 차이를 보임.
ㅇ 이에 따라 1,500cc급 이하의 저가 소형 차종(2만~4만 달러)이 시장의 주를 이루고 있으며, 옵션 품목에 대한 선택의 폭 역시 적은 편으로 관련 애프터마켓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임.
ㅇ 또한 베트남에서는 자동차가 단순한 이동수단의 개념을 넘어 주요 자산으로 인식되는 만큼, 중고차 가격이 높은 일부 인기모델에 수요가 집중되는 모습을 보이고 대도시를 중심으로 해당 모델의 애프터마켓도 점차 확대되는 양상
ㅇ OEM 시장의 특성상 현지 완성차 기업에 대한 직접 납품 가능성은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나, 최근 베트남 최대 민간기업인 빈그룹(Vin Group)이 35억 달러를 투자, 독자 모델 생산을 추진하는 등 자체 모델 개발 움직임도 본격화
ㅇ 그러나 자국 내 부품 생산기반이 약해 외국기업과의 부품 협력 확대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임. 실제 베트남 최대 자동차 기업의 THACO의 Tran Ba Duong 회장은 시트커버, 섬유제품 등 단순 부품은 자국 내 구매비율을 높여갈 예정이지만 첨단부품은 한국, 일본 등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음을 언급
ㅇ 이에 따라 우리 부품·소재 기업은 단기적으로 애프터마켓 진출을 타진해 볼 수 있으며, 중장기적으로는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해 시장을 지속 모니터링하며 현지 주요 완성차 기업과 부품협력 관계를 형성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
베트남 내 주요 자동차 관련 전시회
연번 |
전시회명 |
개최시기 |
장소 |
1 |
Vietnam AutoExpo 2019 |
2019.6.12~16. |
Hanoi Convention Centre |
2 |
Vietnam International Motor Show 2019 |
2019.10.23~27. |
Saigon Exhibition & Convention Centre |
3 |
Vietnam International Motor Show 2020 |
2020.10.21~25. |
Saigon Exhibition & Convention Centre |
4 |
Saigon Autotech & Accessories 2020 |
미정 |
Saigon Exhibition & Convention Centre |
5 |
Automechanika Ho Chi Minh 2020 |
미정 |
Saigon Exhibition & Convention Centre |
6 |
Oto.com.vn 2020 |
미정 |
7th Military Region Stadium |
자료: 전시회별 주관사
자료원 : 베트남 자동차산업협회(VAMA), Hyundai-Thanh Cong, 베트남 산업·무역 정책·전략 연구소(IPSI), 무역관 의견 종합. 끝.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베트남, 현금없는 미래를 꿈꾸다. | 베트남 | 2019-06-04 |
2 | 케냐, 컨테이너를 개조해 이동식 보건소로 활용하다 | 케냐 | 2019-06-06 |
3 | 베트남 전기 오토바이 시장, 커질까? | 베트남 | 2019-05-17 |
4 | 혼다 출신 OB에게 듣는 日 자동차 업계 최신동향 | 일본 | 2019-06-04 |
5 | 베트남 자동차산업 | 베트남 | 2019-08-05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