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신재생에너지산업 현황
- 폴란드 정부, 석탄 발전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 위해 노력 중 -
- 신재생에너지 전력공급 안정화 위해 기술개발 및 관리 시스템 개선 계획 -
□ 폴란드 에너지산업 현황
ㅇ 폴란드의 에너지 산업은 전체 GDP의 8%를 차지하며, 관련 분야 종사자수는 약 60만 명에 이름.
ㅇ 온실가스 감소를 위해 탈석탄 발전이 세계적인 추세이지만 에너지원별 발전량을 볼 때 폴란드는 현재에도 에너지원의 대부분을 화석연료(석탄)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임.
- 석탄 77%(갈탄 31%, 무연탄 46%), 재생에너지 14%, 가스 6%, 기타 3%
ㅇ 폴란드 정부는 2030년까지 석탄을 이용한 화력발전 비중을 60%까지 감소할 계획이며, 대체 에너지원으로 풍력과 태양광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대폭 늘여나갈 계획임.
□ 폴란드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 현황
ㅇ 폴란드 에너지관리공단(URE)의 최근 보고에 따르면 2018년 12월 기준 신재생에너지 관련 발전소는 폴란드 전역 총 3,043곳에 위치하며 2018년 총 발전량은 8,593.43MW에 이름.
ㅇ 신재생에너지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풍력은 2018년 기준 총 발전량의 68%에 해당하는 5,864.443MW를 생산했으며(발전소가 설치된 곳은 약 1,190곳) 그 다음으로 바이오매스가 16%(발전소 41곳), 수력 11%(발전소 741곳), 바이오가스 3%(발전소 297곳), 태양광 2% (발전소 671곳)를 기록함.
신재생에너지원별 발전량 비교
(단위: MW)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풍력
|
5,807.416
|
5,848.671
|
5,864.443
|
바이오매스
|
1,281.065
|
1,362.030
|
1,362.870
|
수력
|
993.995
|
988.377
|
981.504
|
바이오가스
|
233.967
|
235.373
|
237.618
|
태양광에너지
|
99.098
|
103.896
|
146.995
|
총계
(전년대비 증가량)
|
8,415.541
(1,445.508)
|
8,538.347
(122.806)
|
8,593.430
(55.083)
|
자료: 폴란드 에너지관리공단(URE)
주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분포도
|
|
바이오매스 발전소
|
풍력 발전소
|
자료: GRAMWZIELONE.PL
□ 폴란드 에너지 정책 방향
ㅇ 2019년 1월 폴란드 에너지부(Ministerstwo Energii)에서 발표한 ‘2021~2030 에너지 및 기후변화에 관한 계획’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폴란드의 에너지 정책은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과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을 증대하고 폴란드 내 보유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에너지 대외 의존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임.
ㅇ 본 계획안은 (1) 국가 자원을 최대 활용, (2) 전력 생산 및 수송 관련 인프라 건설, (3) 가스 및 원유 공급원의 다양화 및 관련 인프라 건설, (4) 전력산업의 성장, (5) 원자력 발전소 건설 추진, (6) 재생 에너지산업 성장, (7) 열병합발전 분야 성장, (8) 에너지 효율성 개선 등 8가지 주요 국가 정책 목표를 담고 있음.
2021-2030 에너지 및 기후변화 정책 목표
번호
|
정책 목표
|
세부내용
|
1
|
국가자원 최대활용
|
- 화석연료, 바이오매스, 폐자원의 합리적 사용
- 원유 공급원의 다각화
|
2
|
전력생산 및 송배전 인프라 건설
|
- 전력 전송 네트워크의 확장 및 비상시 운영효율 증대
|
3
|
가스 및 원유 공급원의 다양화 및 관련 인프라 건설
|
- 발틱파이프와 LNG터미널을 통한 천연가스 수급
- 전력수송 네트워크 확장
|
4
|
전력산업 시장의 성장
|
- 스마트 미터 도입
- LNG 시장 자유화
- 전기차 및 대체연료를 이용해 석유소비 제품을 대체
|
5
|
원자력 발전소 건설 추진
|
- 에너지 생산부문의 온실가스 감소를 위해 2033년 1~1.5GW 핵발전소 가동을 시작으로 2043년까지 총 5대의 원자력 발전소 설치 추진(총 발전량 6~9GW 수준)
|
6
|
신재생 에너지산업의 성장
|
- 2030년까지 최종 에너지소비의 21%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
- 에너지 저장기술 및 에너지 클러스터 조성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기술 발전 지원
|
7
|
열병합발전 분야의 성장
|
- 온실가스 저배출 난방 시스템 확보
- 가정 난방시 환경오염물 배출의 효율적인 모니터링과 고체연료 사용의 제한 (가스, 전기를 이용한 난방 권장)
|
8
|
에너지 효율성 개선
|
- 2030년까지 에너지 효율성 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 23% 목표
- 법적, 재정적 인센티브 적용
|
자료: 폴란드 에너지부(ME)
ㅇ 폴란드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전체 에너지소비 중 최소 32%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유럽의회의 정책에 따라 폴란드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구성비를 2022년 15%, 2025년 17%, 2027년 19% 로 점진 증대하며 2030년 최대 21%까지를 목표로 하고 있음.
ㅇ 교통 부문의 재생에너지 이용 비중을 2020년 10%에서 2030년 14% 수준까지 확대하며, 난방 및 냉각열에 사용되는 재생에너지 소비 비율을 2030년까지 연간 1~1.3%씩 증가,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한 전력 생산의 지속적 증가 및 발트해 풍력발전소 건설 등의 정책 목표를 제시함.
- 2018년 폴란드 에너지부에서 발표한 '2040 폴란드 에너지 정책' 초안에 따르면 폴란드 정부는 2035년까지 폴란드 영토 발트해 연안에 약 2,000㎢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할 예정임.
- 발트해의 연간 풍속은 고도 90m 기준 평균 8,5-9,0m/s로 연간 에너지 생산량은 대략 32~40TWh가 될 것으로 추정하며 20-25%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기대함.
ㅇ 현재 폴란드가 사용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자연기후에 따라 전력 생산량이 크게 좌우되는 등 에너지공급이 매우 불안정한 실정임. 에너지 저장 기술 및 지능형 에너지 관리시스템의 개발 및 지원이 적극 필요하며, 2030년까지 폴란드 전역에 걸쳐 약 300곳의 지역 에너지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임.
□ 전문가 인터뷰
ㅇ Mr. Marcin Popkiewicz, 에너지 및 환경분야 애널리스트
- 폴란드의 에너지산업은 석탄과 원유에 대한 의존도가 아주 높으나 최근 신재생에너지 관련 분야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전력 이용률이 향상되고 그로 인해 에너지 생산 비용을 많이 절감할 수 있게 됐음.
- 온실가스와 스모그 문제에 대한 대책방안으로 탈화석연료가 대세로 이어지며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신재생에너지로의 빠른 에너지 전환이 시급함.
-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분야의 성장과 함께 앞으로 낙후된 인프라 재건 및 신축, 관련 분야의 기술 발전은 신재생에너지 기업의 새로운 경쟁력이 될 것이며 또한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
- 신재생에너지 사용이 점차로 광범위해지면서 에너지 접근성의 향상 및 가격인하로 사회적 불평등이 상당히 완화될 것이며, 2050년 즈음에는 폴란드의 온실가스 배출 제로 상태가 될 것으로 기대함.
□ 시사점
ㅇ 지속가능한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발전은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에너지원의 다양화를 통해 에너지 대외 의존도를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관련 인프라 건설 및 개발 투자로 폴란드 경제낙후 지역의 발전 가능성도 기대하고 있음.
ㅇ 장기적인 신재생에너지 지원 정책과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점차 에너지 이용률을 높여가며 최종적으로 에너지 가격의 인하에도 기여할 것임.
ㅇ 현재 폴란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발트해 해상풍력단지 사업은 풍력발전의 핵심인 풍력터빈을 제조하는 폴란드 기업이 없는 상황으로 해외의 기술이전 및 선진 기술에 대한 의존 필요
ㅇ 한국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폴란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투자 및 생산설비를 희망하는 한국 기업들은 폴란드 에너지부(ME) 또는 에너지관리공단(URE)에서 제공하는 최신 자료 및 입찰정보들을 계속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으며, 폴란드 현지 시장에 익숙한 지역 파트너들과의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자료: 폴란드 에너지부(ME), 폴란드 에너지관리공단(URE), GRAMWZIELONE.PL, KOTRA 바르샤바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스위스 식용곤충 시장과 즉석식품 시장동향 | 스위스 | 2019-05-09 |
2 | 성장하는 콜롬비아 자동판매기 시장 | 콜롬비아 | 2019-05-09 |
3 | 독일, 인공지능, 인간 중심의 디자인 및 기능 콘셉트로 자리잡다 | 독일 | 2019-05-08 |
4 | 이탈리아, 웰빙과 함께 커가는 차(茶)시장 | 이탈리아 | 2019-05-08 |
5 | 우즈베키스탄 에너지 및 신재생 에너지산업 동향 | 우즈베키스탄 | 2019-05-07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