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8년 한-이스라엘 교역 동향 및 2019년 주요 수출품목 전망
  • 트렌드
  • 이스라엘
  • 텔아비브무역관 윤주혜
  • 2019-03-11
  • 출처 : KOTRA

- 한국의 대 이스라엘 수출 전년 대비 14% 증가

- -이스라엘 FTA 협상 체결 추진 동향




□ 양국 무역동향

 

  ㅇ 2018년 한-이스라엘 수출입

    - 2018년 기준 한국의 대 이스라엘 수출은 전년 대비 14.2% 증가한 14.5억 달러로 역대 3위를 기록한 한편 한국의 대 이스라엘 수입은 전년도 보다 9% 증가한 12.7억 달러로 전년도에 이어 역대 최대치 갱신

    - 한국과 이스라엘의 교역 규모는 2015년 이래 지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8년 수출액의 경우 선박 및 해양구조물이 포함되지 않은 금액으로는 역대 최대치 기록 (선박 및 해양구조물 포함 시, 연 수출액은 201118.2억 달러가 최대)

    - 한국 대 이스라엘 수출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이어져 온 조선 분야 수출이 종료되면서 2015년까지 하락세를 보이다 2016년부터 증가세로 돌아섰고, 수입은 2017년부터 1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며 증가

 

<한국 대 이스라엘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년도

한국의 수출

한국의 수입

수지

금액

전년대비

금액

전년대비

5년 평균

1,279

 

1,027

 

252

5년 총계

6,396

 

5,133

 

1,262

2018

1,448

14.2

1,272

9.0

177

2017

1.268

-0.5

1,167

34.9

101

2016

1,275

8.1

895

-0.6

410

2015

1,180

-3.7

870

-9.3

309

2014

1,225

-16.3

960

12.1

265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2018년 한국 대 이스라엘 주요 수출 품목

 
  ㅇ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18년 기준 한국 대 이스라엘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 합성수지, 영상기기, 자동차 부품, 건설 광산 기계 등이며, 이들 주요 품목은 한국의 대 이스라엘 전체 수출에 76%의 비중을 차지

    - 전년도 대비 수출 규모가 크게 증가한 품목은 자동차(34%), 영상기기(48%), 원동기 및 펌프(96.8%)

    - 건설 광산기계, 자동차 부품의 수출은 전년 대비 다소 둔화, 무선통신기기의 수출은 전년 대비 크게 하락 (전년대비 64.5% 감소)


<한국 대 이스라엘 품목별 수출 동향>

(단위: 백만달러, %)

순위

품목명

2017

2018

증감률

1

자동차

541

726

34.3

2

합성수지

98

104

6.7

3

영상기기

46

68

48.0

4

자동차부품

38

35

-7.9

5

건설광산기계

34

32

-5.4

6

원동기 및 펌프

14

28

96.8

7

기타석유화학제품

24

28

16.7

8

반도체

21

27

29.0

9

무선통신기기

63

22

-64.5

10

플라스틱제품

19

21

12.6

기타

898

1,091

21.49

합계

1,268

1,272

14.2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이스라엘 주요 수출 품목의 증감 요인 및 2019년 수출 전망

 

  ㅇ (자동차) 2018년 수출 규모 약 73천만 달러, 전년대비 34.3% 증가

    - 정부가 2019년 신규 수입차량에 대해 보다 엄격한 기준의 친환경등급제(구매세 연동)를 시행하겠다고 예고한 상황에서 완성차 수입상들이 기존 환경등급의 적용을 받는 물량을 대거 확보하고자 제도 시행 이전에 자동차 수입을 늘린 것으로 추정 (제도 시행 후 자동차 가격 상승 불가피)

     * 이스라엘은 자국 내 판매되는 모든 차종에 대해 15단계의 환경 등급(낮을수록 친환경)을 부여하고 등급에 따라 그린세(Green Tax)로 통칭되는 자동차 구매세를 차등 부과하고 있으며(친환경일수록 저세율), 2년마다 구매세를 책정하는 산식을 변경하여 친환경 차량의 보급을 지속 확대함과 동시에 적절한 세수를 유지

    - 이스라엘 자동차 수입협회에 따르면 2018년 이스라엘의 자동차 신차 판매 규모는 267,490대로 전년 대비 5% 하락했으나, 한국 자동차 판매는 증가. 이스라엘 신차 시장에서 판매율 1,2(전체의 27.6% 비중)를 차지하는 한국 자동차 환경등급 조정이 전망되어 판매 확대 등의 반사이익을 얻은 것으로 추정

    - 2019년에는 그린세 개정으로 자동차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 수요 전반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나, 한국 자동차의 수요는 친환경차량(3등급 이내)에서 제외될 것으로 알려진 일부 중형 하이브리드 모델(현대 소나타, 기아 옵티마)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유지될 것으로 기대

 

<이스라엘 내 한국 자동차 판매 동향>

(단위: 대수, %)

순위

 

2014

2015

2016

2017

2018

1

현대

31,376

31,250

39,086

36,781

38,423

2

기아

27,384

33,703

38,069

35,663

35,524

비중

24.50%

25.49%

26.90%

25.72%

27.64%

전체

239,771

254,748

286,728

281,563

267,490

자료원: 이스라엘 자동차 수입협회

 

  (합성수지) 2018년 수출 규모 1억 달러, 전년대비 6.7% 증가

    - 이스라엘 건설경기 호황에 따른 산업 확대로 건설용 플라스틱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합성수지인 폴리에틸렌은 이스라엘 플라스틱 산업의 주요 수입 품목 중 하나로 최근 대 한국 수입 증가세

    - 합성수지 수입업체(Sorpol)에 따르면 이스라엘의 주요 수입 대상국은 유럽이었으나 유럽 제품의 가격 인상 및 생산공장 폐쇄 등의 문제로 인해 몇 년 전부터 거래선을 한국 및 대만으로 변경하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고 밝힘. 이는 최근 한국산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로 추정되며, 2019년에도 대 한국 수입은 꾸준할 것으로 전망

     * 이스라엘의 주요 제조업인 플라스틱 산업은 약 500여개의 생산 기업이 농업, 건설, 포장, 의료, 자동차부품, 산업용 플라스틱을 생산하며(연간 26억 달러 수출), 원자재의 70%를 해외에서 수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ㅇ (무선통신기기) 2018년 수출 규모 2,200만 달러, 전년대비 64.5% 하락

    - 단말기 교체 주기의 증가로 전 세계적으로 휴대폰 시장의 수요가 하락하는 추세

    - 이스라엘 시장 역시 휴대폰 수요가 하락세를 보이며, 최근 들어 중국 휴대폰 소비가 확대되는 추세.

     * 2018년 하반기 기준 최초로 중국 업체 샤오미가 애플을 제치고 2위를 차지하는 등 이스라엘 휴대폰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크게 증가

    - 한국의 삼성 휴대폰이 아직까지는 이스라엘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나, 판매 규모의 감소로 2019년에도 하락세가 지속될 전망

 

  ㅇ (영상기기) 2018년 수출 규모 6,800만 달러, 전년 대비 48% 증가

    - 2018 1월 텔레비전의 구매세(15%~30%) 폐지로 수요 급증

     * 정부가 저소득층의 생계지원을 위해 영상 가전을 포함한 일부 가전제품의 구매세 및 관세를 폐지

    - 이미 이스라엘 텔레비전 시장 점유율 1, 2위를 차지하고 있는 LG, 삼성의 제품은 관세 및 구매세 폐지로 가격이 낮아짐에 따라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며 2019년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

 

  ㅇ (건설장비 및 펌프) 2018년 건설광산기계 수출 규모 3,200만 달러, 원동기 및 펌프 2,800만 달러

    - 이스라엘은 주택 건설 및 교통 인프라 확대를 위한 정부 주도의 건설 프로젝트가 다수 진행되고 있어 내수 건설시장 호황 상태

    - 이에 따라 관련 품목인 건설기계의 수입 규모 증가가 동반되었으며, 2019년에도 꾸준히 확대될 전망

  

-이스라엘 FTA 체결 시 양국간 교역 확대 기대

   

  ㅇ 한-이스라엘 FTA 체결 시,-이스라엘 교역 확대 전망

    - 2016524일 한-이스라엘 FTA 협상 개시를 합의하고, 20166271차 협상을 개시한 이래 현재까지 총 6차례의 실무 협상을 마친 상태

    -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018313일 개최된 제 6차 협상을 통해 상품(양허 포함), 서비스, 투자, SPS, 협력, 총칙 등 쟁점이 남아 있는 분야에 대한 협상을 진행했다고 밝힘.

    - 이스라엘의 시장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지만 구매력이 높고 실용적이며 합리적인 소비 성향이 강해 우리나라 제품에 대한 선호가 뚜렷한 편임. 양국 간 FTA 체결로 기존 한국산 제품의 인지도에 관세 인하가 더해질 경우 우리나라의 대 이스라엘 주력 수출 품목군의 경쟁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됨.

 

<한-이스라엘 FTA 추진 경과>

2016년 5월 24일

한-이스라엘 FTA 협상 개시 합의(예루살렘)

2016년 6월 27-30일

한 이스라엘 FTA 제1차 협상 개최(서울)

*상품, 서비스, 투자, 통관 및 무역활성화, 원산지, 무역구제협력 등 분야 협상

2016년 12월 11-15일

한-이슬라엘 FTA 제2차 협상 개최 (예루살렘)

* 무역기술협정(TBT), 위생검역(SPS), 지재권, 정부조달, 총칙, 분쟁해결, 상품양허

2017년 3월 20-24일

한-이슬라엘 FTA 제3차 협상 개최(서울)

* 상품(양허포함), 서비스, 원산지, 기술무역장벽(TBT), 위생검역조치(SPS), 지재권, 경쟁, 환경, 총칙 분쟁해결 등 분야 협상

2017년 4월 19-30일

한-이스라엘 FTA 제4차 협상 개최 (예루살렘)

*3차와 동일

2017년 5월 22-26일

한-이스라엘 FTA 제5차 협상 개최 (서울)

* 상품, 서비스, 투자, 원산지, 기술무역장벽(TBT), 위생검역(SPS), 지식재산권, 총칙

2018년 3월 13-15일

한-이스라엘 FTA 제6차 협상 개최 (예루살렘)

* 상품, 서비스, 투자, 원산지, SPS, 협력, 총칙 등 미합의 쟁점 분야 협상

  자료원: 텔아비브 무역관 종합


  ㅇ 양국의 FTA 발효 현황

    - 이스라엘은 1985년 미국과의 FTA를 시작으로 7, 40개국과 FTA 협상을 체결

     * 이스라엘 정부는 요르단, 이집트와의 QIZ(Qualifying Industrial Zone) agreement FTA 체결로 공시하고 있으나 QIZ는 제한적인 영역에서의 협정으로 일반 FTA와는 성격이 다름.

    - 콜롬비아와 2013, 파나마와 2015년 체결되었으나 미 발효 상태이며 한국, 중국, 인도, 베트남, EAEU 등과 현재 FTA 체결 추진 중

    - 북미 3, 유럽, 남미 일부 국가와만 FTA를 체결하고 있으며, 아직 아시아 국가와는 FTA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

    * 일본과는 FTA에 관한 논의가 없어 한국과 먼저 FTA가 체결될 경우, 자동차 등 주요 품목 선점 기대

 

< 이스라엘과 FTA 발효국 >

 

< 우리나라와 FTA 발효국 >

대상국가

발효일자

대상국가

발효일자

미국

85 8 19

칠레

04 4 1

싱가포르

06 3 2

EFTA

93 1 1

EFTA

06 9 1

ASEAN

07 6 1

캐나다

97 1 1

인도

10 1 1

EU

11 7 1

터키

97 5 1

페루

11 8 1

미국

12 3 15

EU

00 6 1

터키

13 5 1

호주

14 12 12

멕시코

00 7 1

캐나다

15 1 1

중국

15 12 20

MERCOSUR

10 4 1

뉴질랜드

15 12 20

베트남

15 12 20

콜롬비아

16 7 15

자료원: 텔아비브 무역관 종합


□ 시사점

 

  ㅇ 이스라엘 시장 변화에 따라 2018년 한국의 대 이스라엘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 합성수지, 건설기계, 영상기기 등의 수요가 증가하는 양상

    - 2019년에도 시장 수요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어 주요 수출 품목과 관련된 국내 기업의 관심과 적극적인 진출 검토 필요

 

  ㅇ 한-이스라엘의 FTA 체결 협상은 현재까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가까운 장래에 타결될 것으로 기대

    - FTA 체결시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들은 높아진 가격경쟁력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시장수요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이스라엘은 아직 아시아권 국가와 FTA를 체결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한국과의 FTA가 가장 먼저 체결될 경우 우리나라가 아시아 경쟁국에 비해 이스라엘 시장 선점에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자료원: 한국 무역협회, 이스라엘 자동차 수입 협회, 이스라엘 WTO RTA DB, 대한민국 FTA, 텔아비브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8년 한-이스라엘 교역 동향 및 2019년 주요 수출품목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