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사우디아라비아 전력 시장 동향
  • 트렌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Qazzaz Rami
  • 2018-11-23
  • 출처 : KOTRA

- 인구 증가와 낮은 전력 효율로 전력 소비량 지속 증가 -

- 에너지 다각화 정책으로 원자력·신재생에너지 등 발전 기대 -



 

□ 사우디아라비아 전력 시장동향

 

2017~2023년 사우디아라비아 전력 동향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발전량(TWh)

377.011

384.524

392.971

396.447

397.596

397.738

400.707

소비량(TWh)

304.5

308.4

312.9

319.6

324.3

328.8

332.9

발전용량(MW)

76,343.0

77,695.3

79,352.3

81,902.6

82,844.4

83,527.7

84,260.2

자료원: BMI

 

  ㅇ 사우디 전력시장은 발전량, 소비량, 발전용량 등 모두 증가 추세

    - (발전량) 2018년 기준 사우디 전력 발전량은 385TWh로 전년대비 2.12% 증가할 전망

    - (소비량) 2018년 기준 사우디 전력 소비량은 308TWh로 전년대비 1.3% 증가할 전망

    - (발전용량) 2018년 기준 사우디 발전용량은 7만7695MW로 전년대비 1.7% 증가할 전망

 

  ㅇ 높은 인구 증가 추세, 낮은 전력 효율 및 전력 낭비로 전력 소비량 지속적 증가

 

  2032년까지 120GW로 발전용량 늘릴 계획

    - 원자력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해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절반으로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 개선을 통해 목표 달성 계획

   

□ 전력 부문별 발전 동향

 

  ㅇ 석유 발전 동향

    - 석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로 한 사우디 정부는 2018년부터 2027년까지 석유 발전을 연평균 0.5% 줄이기로 함.

    - 2018년 석유는 총 연소발전의 41.44%를 차지하고 있지만 2027년 무렵에는 35.99%로 감소 예상

    - 풍부한 석유 매장량을 통한 재정적 수입은 사우디 정부의 에너지 다각화 계획에 자금을 조달하는 주요 원천

    - 사우디 전력공사(Saudi Electricity Company, SEC)의 모든 발전용 석유는 사우디 아람코와의 장기 협정에 따라 공급되며, 가격 책정 과정에는 정부가 개입

    - 20154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은 전기 보조금을 줄이고 연료가격을 올림으로써 과도한 소비를 억제하면, 2030년까지 에너지 사용량의 5분의 1까지 절약할 수 있다고 예측

 

  ㅇ 가스 발전 동향

    - 가스 발전은 2018년 국가 총 전력발전량의 58.5%에서 202762.7%의 높은 수치를 차지하며 지속 성장 전망

    - 같은 기간 총 발전량 225TWh 에서 263TWh로 증가

    - 향후 10년간 연평균 증가율 1.9%로 예상

    - 석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정책에 힘입어 석유를 대체할 자원으로 대두

    - 2015년 중반 124000만 달러 규모의 Waad Al Shamal 프로젝트가 완공돼 1340MW의 가스 발전, 500MW의 태양광 발전 능력 확보

 

2017~2027년 사우디아라비아 가스 발전 및 소비량

(단위: bcm)

자료원: BMI

 

    - 사우디의 셰일가스 매장량은 세계적 수준이며 기술적으로 약 18.1tcm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

    - 이는 사우디가 세계 5대 셰일가스 보유국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매장량

    - 셰일가스가 매장된 장소는 기존 인프라가 전무한 지역에 위치하고 가스가 땅속 깊이 자리잡고 있고, 셰일가스 생산에 사용되는 유압균열기법은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해 개발에 난항이 예상

 

  ㅇ 원자력발전 및 용량 동향

    - 2030년까지 1.4GW급 상용원전 2기 도입 계획

    - 2018 6월 예비사업자 선정(한국, 미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5개국), 2019년 하반기 최종 사업자 선정을 목표로 입찰 진행 중, 한국전력 참여

    - 사우디 측에 의하면 원전은 2027년 완공을 목표로 2019년 말에 건설을 시작할 예정

    - 사우디 정부는 2040년까지 16개의 원자로를 건설해 17.6GW의 원자력 능력을 확보할 계획이었으나 저유가로 인해 계획 수정

 

  ㅇ 신재생에너지 생산 동향

    - National Transformation Program 2020 목표 하에 2020년까지 3.45GW 신재생에너지 개발 추진(1단계 태양광 300MW, 풍력 400MW, 2단계 태양광 620MW, 풍력 400MW, 3단계 1.73GW 세부계획 미정)

    - 사우디의 재생에너지 목표는 2020년까지 3.45GW, 2023까지 9.5GW, 2040년 까지 41GW를 확보하는 것으로 설정

    - 향후 10년간 사우디의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연평균 33%의 성장률을 보이며 빠른 속도로 확대될 전망

    - 지리,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태양광 발전 잠재력이 높아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시장

    - 중동지역 특히 사우디를 포함한 GCC국가들은 강한 햇빛으로 인해 태양광 발전에 적합한 지역

    - 태양광 발전은 인구밀도가 적은 곳이 적합해 넓은 영토를 보유한 사우디아라비아에 절대적으로 용이

    - 사우디는 신재생에너지 개발 프로젝트에 80%의 자체 기술과 자본을 투입하는 것 목표임. 이는 시기 적절한 개발을 방해할 우려가 있어 발전이 지연되거나 기존 목표를 조정해 해외의 기술과 자본을 더 개방할 가능성이 있음.

    - 사우디 정부가 2032년까지 17GW 이상의 원자력 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할 경우, 자금 부족으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는 위축될 가능성도 존재

 

□ 송배전 전력손실 동향

 

2016~2020년 사우디아라비아 송배전 전력손실 동향

(단위: TWh,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손실전력량

27.4

26.3

26.0

26.3

25.4

비중

7.5

7.0

6.8

6.7

6.4

자료원: BMI

 

  ㅇ 사우디 송배전 손실전력은 2018 26.3TWh에서 2027 28.8TWh로 증가 전망

    - 이는 전체 발전량 증가에 따른 것으로 전체 발전량 대비 평균 6.7% 수준을 유지할 전망

    - 사우디 전력공사 따르면 2015년 기준 SEC의 전력 그리드는 9% 증가해 전체 6만5186ckm에 달함. 신규 송전라인 5390ckm, 57개의 신규 송전소, 207개의 신규 변압기 설치

 

□ 전력 발전 및 소비 동향

 

2016~2022년 사우디아라비아 총 발전량

(단위: TWh)

발전 유형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총계

366.298

377.011

384.524

392.971

396.447

397.596

397.738

석탄

0.000

0.000

0.000

0.000

2.652

3.765

4.186

가스

208.911

218.124

224.930

231.642

234.119

239.621

242.305

석유

157.305

158.783

159.339

161.012

159.273

153.699

150.625

재생에너지

0.082

0.103

0.255

0.317

0.403

0.512

0.623

자료원: BMI

 

  ㅇ 석유와 가스 자원이 풍부한 사우디아라비아는 총 발전량에서 석유와 가스 발전의 비중이 대부분을 차지

 

  ㅇ 신재생에너지의 성장세는 가파르지만 여전히 낮은 비중을 차지

 

2016~2022년 사우디아라비아 자원별 발전 비중

(단위: %)

발전 유형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석탄

0.000

0.000

0.000

0.000

0.669

0.947

1.053

가스

57.033

57.856

58.496

58.946

59.054

60.267

60.921

석유

42.945

42.116

41.438

40.973

40.175

38.657

37.870

신재생에너지

0.022

0.027

0.066

0.081

0.102

0.129

0.157

자료원: BMI

 

  ㅇ 사우디 발전 에너지원은 99.9%가 화력(가스, 석유 등)이 차지

    - 2018년 기준 발전 에너지원 비중은 가스가 58.5%, 석유가 41.4% 차지

 

  ㅇ 사우디 정부의 주도 아래 석유 발전 비중이 줄어들고 가스 발전 비중과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아짐.

 

2016~2022년 사우디아라비아 자원별 연간성장률

(단위: %)

발전 유형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가스

10.65

4.41

3.12

2.98

1.07

2.35

1.12

석유

5.19

0.94

0.35

1.05

-1.08

-3.50

-2.00

신재생에너지

0.00

26.27

147.87

24.0

27.2

27.0

21.7

자료원: BMI

 

  ㅇ 전략적으로 석유 발전의 비중을 낮추고 그 대안으로 가스 발전이 일시적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세

 

  ㅇ 장기적인 에너지 확보를 위해 신재생에너지의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높은 추세를 보임.

 

2017~2022년 사우디아라비아 전력 소비 동향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전력 소비량(TWh)

304.5

308.4

312.9

319.6

324.3

328.8

연간 증가율(%)

2.6

1.3

1.5

2.1

1.5

1.4

1인당 전력 소비량(KWh)

9,243.3

9,189.7

9,166.4

9,207.3

9,197.9

9,185.0

자료원: BMI

 

  ㅇ 사우디의 전력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전력 효율성을 개선하는 투자와 전력 낭비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개선이 요구됨.

   

□ 주요 전력 기자재 대한 수입동향

 

2015~2017년 주요 전력 관련 한국 기자재 수입동향

(단위: USD 천)

HS Code

 품목명

2015

2016

2017

8535

전력개폐기

128,093

199,805

252,765

8536

전력개폐기

5,074

19,756

70,370

8504

전력변압기

158,082

280,381

356,312

8544

절연전선/케이블

101,471

185,148

315,989

자료원: 사우디 통계청

 

  ㅇ 전력개폐기, 전력변압기, 절연전선 및 케이블 모두 2015년부터 2년 동안 2배 이상 증가

 

  HS Code 8536의 경우 타전력 기자재보다 작은 규모이지만 2015년부터 2017년까지 2년간 약 14배 증가해 높은 상승세

   

관세율

 

  HS Code 8535 기준

 

HS Code

관세율

853510

5%

853520

853540

853590

12%

 

  HS Code 8536 기준


HS Code

관세율

853610

5%

853630

853640

853620

12%

853661

853650

무관세

853669

853670

853690

 

  HS Code 8504 기준

 

HS Code

관세율

850410

5%

850423

850431

850432

850490

850421

12%

850422

850433

850434

850440

무관세

850450

 

  HS Code 8544 기준


HS Code

관세율

854411

5%

854419

85442010

15%

85446010

85442020

12%

85442030

85442090

85446020

85446030

85446090

854442

무관세

85444921

85444931

85444941

85444991

85447000

   

전력 관련 기관

 

  SEC(Saudi Electricity Company)


회사

개요

- 사우디아라비아의 45개 발전소를 통해 발전, 송전, 배전을 독점하고 있는 전력기업

- 2000년 사우디, 중부, 동부, 서부 및 남부지역의 기존 지역 전기회사를 통합해 설립

설립일

2000

홈페이지

www.se.com.sa

   

□ 시사점

 

  ㅇ 늘어나는 사우디의 전력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협력적 파트너십 구축 필요

    - 사우디 전력 시장진출을 위해 한국의 우수한 전력 기술에 관심 있는 사우디 파트너를 발굴해 협력적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사우디의 현지화 전략에 대응

    -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또한 현지화 비율 30% 준수 필요

 

  ㅇ 사우디 전력공사 관계자 M에 따르면, 늘어나는 전력 수요와 에너지 다각화로 이에 대응하려는 정부정책에 의해 다양한 전력 프로젝트가 계획 중

    -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사우디 전력공사는 12년간 사우디 전력 전시회 등을 후원하며 사우디 전력 시장에 진출할 기업 및 투자자 유치 예정

    - 그는 사우디 전력 전시회에는 소수이지만 한국 기업들이 종종 참가해 우수한 기술을 알리고, 이에 관심을 가지는 사우디 기업들이 많다고 함.

 

  ㅇ 한국은 미국, 중국 등과 함께 사우디의 전력 관련 기자재 주요 수입국이며 현지에서 한국 제품에 대한 좋은 평가

    - 한국 기업들의 전력 관련 기자재 수입량이 최근 빠른 속도로 증가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한동안 지속될 전망

 


자료원: BMI, SEC 공식 홈페이지(www.se.com.sa), 사우디 통계청, 사우디 관세청,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아라비아 전력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