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카타르의 제조업 육성 노력과 우리기업 진출기회
  • 트렌드
  • 카타르
  • 도하무역관 김민경
  • 2018-12-25
  • 출처 : KOTRA

- 카타르 단교사태 이후 자급률 개선을 위한 제조업 육성 가속화 -
- 해외 기술력에 대한 의존도 높아 우리기업의 진출 및 제품 수출기회 존재 -
 



취약한 제조업 기반 개선을 위한 제조업 육성 추진

 

  ㅇ 카타르 단교사태 발생 이후 일시적인 물품 수급 애로를 겪으면서 높은 수입의존도 체감

    - 2017년 기준,  카타르 GDP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8.7%이며, 제조업체 수는 3,387개사로 한국의 1% 수준에 불과함.

    - 그러나, 이마저도 대부분 석유화학 및 원유정제 분야에 편중돼 있으며, 나머지는 경공업으로 구성
    - 단교발생 직후 식품, 건설기자재, 자동차 부품 등 일부 품목에 대해 일시적인 수급 애로가 발생함에 따라, 그간의 높은  수입 의존도를 체감하고, 정부 주도의 제조업 육성 프로젝트를 통해 자급률 개선을 추진  


카타르 단교사태 개요 

2017년 6월, 카타르가 이란 및 무슬림 형제단을 옹호하며, 테러단체를 지원한다는 명목으로 사우디아라비아, UAE, 바레인, 이집트 등 인근국가에서 카타르와 국교단절을 선언한 사건. 국교단절 선언으로 단교주도국과 국경이 폐쇄(육해공 수출입 및 이동 차단)되고, 카타르 주재 자국 외교관 소환, 자국 내 카타르 외교관 추방 등의 조치가 시행

  
  ㅇ 정부 주도의 공장 설립 프로젝트 추진을 통한 제조업 기반 강화 가속화

    - 2017년 8월, 카타르 정부는 'Own Your Factory in 72 hours' 라는 공장 설립 프로젝트를 추진, 8개 주요 분야*에 카타르 현지 및 외국인 투자자를 모집

    - 해당 프로젝트의 공표 이후 총 9,349개의 신청서가 접수됐으며, 주무관청의 검토를 통해 총 63개 공장 설립 계획이 승인된 바 있음.  

   - 공장설립 신청자 국적으로는 카타르인이 전체의 85%, 외국인이 15%를 차지. 이 중 식품분야가 3,168개의 접수를 받아 가장 높은 관심을 끌었으며, 금속이 1,334개, 제지 1,068개, 고무 및 플라스틱 941개 등으로 구성

      * 8개 주요 분야 : 식품, 금속, 제지, 고무 및 플라스틱, 화학, 의료, 전기, 기계 및 자동차

  

  ㅇ 자체 기술력 부족으로 해외 제조기업과의 파트너링 및 투자 유치 수요 발생

    - 카타르 기업인들은  공장 설립 및 사업 확장에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대부분 기술력이 부족해 단순한 제조설비 수입만으로 공장 운영이 불가한 실정 

    - 이에 따라, 카타르 기업인들은 해외기업의 지분투자를 동반한 기술 노하우 전수와 함께 공장이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전문 관리 인력도 파견하는 형식의 투자 유치를 희망

    - 정부는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 저렴한 전기세 및 노동력, 관세 감면 등과 같은 인센티브를 강조하고 있으며, 100% 외국인 지분 투자가 가능한 특별경제구역(Special Economic Zone, SEZ) 조성을 통해 제조업 분야 해외 기업 유치를 추진

 

‘Packed in Qatar’ ‘Assembled in Qatar’ 상품 생산 수요 증가

 

  ㅇ  카타르 단교사태는 'Made in Qatar'라는 국산 브랜드 제품을 소비하도록 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

    - 자국 생산 제품의 소비 확산과 수출 확대를 위해 카타르개발은행(QDB)은 국내외에서 개최되는 'Made in Qatar' 전시회 지원 및 'Made at Home', 'Buy Local Products' 등의 전시회를 개최


   ㅇ 자국 생산품 소비시장이 확대됨과 동시에 카타르에서 포장된 제품(Packed in Qatar)’ 카타르에서 조립된 제품(Assembled in Qatar)’ 생산 수요도 증가 추세 


제조업 분야 바이어 인터뷰

1. I사 Operation Manager (산업기자재 제조 및 무역)


  Q. 최근 카타르의 제조업 분야 동향은 어떤가요? 


  A. 카타르 단교 이후 'Made in Qatar' 또는 'Assembled in Qatar'라는 자국 제품 생산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우리는 이미 제조시설을 설립할 수 있는 토지와 자재를 보관할 수 있는 창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실현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만 진행된다면 언제든 제조시설 설립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카타르에서는 제조공장 설립 수요는 있으나, 기술력이나 원자재 등이 부족함에 따라 해외에서 완제품이나 반제품을 수입해 현지에서 포장하거나 조립하는 형식의 사업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2. M사 Business Development (의약품, 의료기기 수입) 


  Q. 카타르 보건의료분야에서 어떤 제품군의 제조업이 유망한가요?

  A. 인구증가에 따라 의료서비스 수요도 증가하는 가운데 의약품, 의료기기, 의료용 소모품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 중 의료용 소모품 제조업이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것 같습니다. 우리가 최근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분야는 의료용 소모품 제조업으로 최근 에너지산업부(MEI)로부터 해당 분야에 대한 제조시설 설립 허가를 받았습니다. 허가를 받은 1년 동안 구체적인 계획이나 실행이 있어야하며, 1년 내 추진이 불가하더라도 구체적인 진행 상황을 보고한다면 갱신할 수 있습니다. 현재 사업 계획 중 1순위로는 해외의 의료용 소모품 제조기업을 투자유치 또는 파트너링을 통해 들여오는 것이며, 2순위로는 한국기업에서 반제품 및 생산기계를 수입해 현지에서 완제품을 생산을 추진하는 계획이 있습니다. 
 
3. Q사 Acting CEO (주사기 제조, 의료기기 수입)

  Q. 주사기 제조업을 영위 중인데, 한국의 어떤 제품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A. 우리는 카타르 주사기 제품 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제조시설에서 의료용 플라스틱 컴파운드를 이용해 주사기의 플라스틱 본체를 생산하고 있으나, 주사기의 니들(Needle) 및 고무 부품 등은 현지에서 직접 제조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일부 부분품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현지에서 조립해 완성품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바늘을 플라스틱 본체에 끼워넣는 공정은 한국에서 수입한 기계로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산 기계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니들 제품, 고무 부품, 포장재 등에 대해 가격 및 품질면에서 경쟁력 있는 한국산 제품을 발굴하고자 하며, 제조업 외에도 무역업을 영위하고 있음에 따라, 의료기기, 의료용 소모품 등을 수출하는 한국업체들을 소개받길 희망합니다.   

주 : 인터뷰는 2018년 10월부터  12월 사이 진행 
자료원 : KOTRA 도하무역관 자체 자료  


현지 포장 제품(플라스틱 접시) 판매 사례


자료원 : KOTRA 도하무역관 자체 촬영 
    

□ 대카타르 제조업 분야 수출 유망상품 


유망상품은 카타르 정부가 육성을 희망하는 8개 주요 분야(식품, 금속, 제지, 고무 및 플라스틱, 화학, 의료, 전기, 기계 및 자동차)와 관련된 품목 중 지난 3년간 수입규모를 유지하거나 증가세를 보인 주요 품목을 기준으로 선정

 

  ㅇ (식료품 제조 기계) 식료품 제조 기계 수입은 20189월 누계 기준 1,500만 달러를 기록, 전년동기 대비 88% 증가 
    - 무게 기준 수입 규모는 2018년 누계 기준 729톤을 기록, 전년동기 대비 76% 증가 
  

    - 식품 분야를 시작으로 자급률 증대를 추진 중인 가운데 주로 수입되는 식료품 제조 기계는 식품 및 음료 제조 기계, 육류 및 가금류 가공 기계, 베이커리 제조 기계 등으로 구성


식료품 제조 기계(HS코드 8438) 수입 동향

구분

2016

2017

2018(9월 누계)

증가율(전년동비)

금액(백만 달러)

11

12

15

88%

무게 (톤)

524

625

729

76%

자료원 : Ministry of Development Planning and Statistics

 

  ㅇ (포장기기) 포장기기 수입은 20189월 누계 기준 1,700만 달러를 기록, 전년동기 대비 89% 증가
    - 무게 기준 수입 규모는 2018년 누계 기준 527톤을 기록, 전년동기 대비 49% 증가
    - 식품, 의약품 등 각종 소비재의 현지 생산 증가와 함께 포장기기 수요 발생  

 

포장기기(HS코드 8422) 수입 동향


 구분

2016

2017

2018(9월 누계)

증가율(전년동비)

금액(백만 달러)

14

19

17

89%

무게 ()

491

709

  527

49%

자료원 : Ministry of Development Planning and Statistics

 

  ㅇ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 기계)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 기계의 수입은 20189월 누계 기준 2,600만 달러를 기록, 전년동기 대비 0.1% 증가  

    - 무게 기준 수입 규모는 2018년 9월 누계 기준 1,503톤을 기록, 전년동기 대비 13% 증가

    - 고무 및 플라스틱은 카타르 정부가 집중 육성을 희망하는 제조업 분야 주요 품목에 해당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 기계(HS코드 8477) 수입 동향


 구분

2016

2017

2018(9월 누계)

증가율(전년동비)

금액(백만 달러)

28

29

26

0.1%

무게 ()

1,644

1,871

1,503

13%

자료원 : Ministry of Development Planning and Statistics

 

□ 시사점


  ㅇ 제조업 관련 제품 및 기계 설비 수출 및 우리기업 진출 기회 존재

    -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공장 설립 추진에 따라 원자재, 반제품, 기계류 등의 수입 수요 발생 
    - 생산설비 및 자재 수입 뿐만 아니라 해외기업의 노하우를 전수받는 형식의 지분 투자도 선호
   
   ㅇ  카타르산 제품의 세계시장 인지도 부족 및 카타르 단교사태의 영향으로 교역노선이 제한적  
    - 연가스 및 석유화학 제품을 제외한 카타르산 제품들은 아직까지 세계 수출 시장에서 인지도가 형성되지 않았다는 약점 존재
    - 아울러, 중동 지역에서 가장 큰 소비시장을 가진 UAE와 사우디아라비아는 단교로 인해 수출입 교역 대상이 될 수 없는 점을 간과할 수 없음. 
    


자료원: Ministry of Development Planning and Statistics, Gulf Times, KOTRA 도하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타르의 제조업 육성 노력과 우리기업 진출기회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