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공업용 로봇시장, 미래가 밝다
  • 트렌드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18-05-08
  • 출처 : KOTRA

- 중국 공업용 로봇시장, 지속적인 성장세 보여 -
- 중국 자동차산업에서 공업용 로봇을 가장 많이 사용해 -

  


 

2017년 중국 공업용 로봇 시장규모


  ㅇ 중국 공업용 로봇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 중국 공업정보부에 따르면 2015년 중국 공업용 로봇 생산량은 약 3만3000대이며, 2016년에 7만2426대로 전년 대비 119.5% 증가함.

    - 2017 중국 공업용 로봇 생산량은 13만1079대이며, 2018년 예측 생산량은 15만1286대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전망임.


중국 공업용 로봇 생산동향

(단위: 대, %)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산업연구원


  ㅇ 2016년 전 세계 공업용 로봇의 판매량은 29만 대이며, 중국은 전 세계에서 30%의 비중을 차지함.

    - 공업용 로봇은 주로 자동차, 전자, 금속, 화학 및 플라스틱 등 분야의 운송, 용접, 조립 등 공정에 사용함.

    - 중국의 2017년 공업용 로봇 판매량은 약 11만5000대이며, 전년 대비 25% 성장함. 그 중 다관절 공업용 로봇(3관절 이상)이 7만 대 이상을 차지함.

 

중국 공업용 로봇 판매동향

(단: , %)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산업연구원

 

  ㅇ 중국은 2013년 세계에서 가장 큰 공업용 로봇시장이 됐으며, 앞으로도 빠르게 성장할 전망임.

    - 2017년까지, 중국 공업용 로봇 누적설치량은 45만 대를 초과했음.

 

중국 공업용 로봇 누적 설치동향

(단위: 대)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산업연구원  


□ 중국 지역별 공업용 로봇 생산 현황

 

  ㅇ 중국 로봇산업 4대 클러스터

    - 장강 삼각주(长江角)클러스터: 주요 기업이 집중된 로봇연구개발생산기지임. 자동차 응용산업의 우세가 뚜렷하며, 로봇 응용산업 또한 발전하는 추세임.

    - 환보하이(环渤海)클러스터: 주요 기업이 집중된 자동화 제조기지임. 베이징, 텐진 등의 고등교육기관 및 연구소가 제공하는 기술적 우위를 통해 '()', '()', '()'이 결합된 로봇산업체인을 형성하고 있음.

    - 중부 클러스터: 자본의 우세가 비교적 뚜렷한 로봇 생산 기지임.   

    - 주강 삼각주(珠江角) 클러스터: 제조업이 발달했으나, 조립 및 포장 등 노동집약형 산업 위주였으며, 최근 산업구조 변형을 통해 로봇산업을 개발하고 있음.

 

  ㅇ 장강 삼각주와 환보하이 지역은 로봇 산업이 가장 발달한 지역임.

    - 2018년 중국에서 로봇산업원이 가장 많이 설립된 지역은 장강 삼각주 지역으로 27.6%의 비중을 차지함.

    - 환보하이 지역, 중부 지역, 주강 삼각주 지역이 그 뒤를 이었고, 각각 24.6%, 20.0%, 13.8%를 차지함.


중국 로봇산업원 클러스터별 점유율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산업연구원

 

  ㅇ 2016년 광둥성의 공업용 로봇 생산량은 6만 세트 이상으로 중국 성()들 중 1위를 차지함. 

    - 상하이, 랴오닝, 저장, 산둥, 허베이가 그 뒤를 이었으며 각각 2만9100세트, 4419세트, 3169세트, 3000세트, 646세트를 생산함.

 

2016년 주요 성별 공업용 로봇 생산량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산업연구원



중국 공업용 로봇산업 현황

 

  ㅇ 2016년 중국 공업용 로봇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분야는 자동차 산업으로 38%의 비중을 차지함.

    - 자동차 산업의 뒤를 이어 3C(컴퓨터, 통신장비, 소비형 전자제품), 금속제조업, 플라스틱 및 화학제품, 식품담배음료의 비율이 각각 21%, 15%, 8%, 1%를 차지함.

    - 자동차산업과 3C의 우세가 지속될 것이며, 특히 3C의 점유율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함.

 

2010/2016 중국 공업용 로봇 응용 분야별 점유율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산업연구원

 

  ㅇ 기능별로 볼 때, 현재 중국 공업용 로봇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품은 시장점유율 22%의 조립용 로봇임.

    - 아크 용접용 로봇은 16%, 스팟 용접용, 자재 운송용은 15%, 상하차용 로봇은 13%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함.

    - 스탬핑용, 주조용, 분무용 로봇은 각각 3%로 비교적 낮은 점유율을 차지함.

 

중국 공업용 로봇 기능별 점유율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산업연구원

중국 공업용 로봇 기업 현황

 

  ㅇ 중국 공업용 로봇시장은 여전히 중국 생산기업보다 외국 브랜드가 강세를 보이며, 거대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 

    - 현재 중국 공업용 로봇 제조산업은 일본 FANUC, YASKAWA와 독일 KUKA, 스웨덴 ABB가 점유하고 있으며, 각각의 점유율은 18%, 12%, 14%, 13.5%.

    - 중국 생산기업은 나머지 30%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으나, 주로 비교적 낮은 기술 등급의 시장이며, 고급 기술 분야의 로봇 생산 시장 점유율은 5%도 미치지 못함. 


2016년 중국 공업용 로봇 시장점유율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산업연구원

 

  ㅇ 중국 공업용 로봇 기업 중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9.7%의 점유율을 차지한 광저우치판(广州帆).

    - 아이푸터(埃夫特), 신송(新松), 아이스둔(埃斯), 광슈콩(广控), 신시따(时达)가 그 뒤를 이었음. 다른 기업들에 비해 일정한 규모와 기술력을 갖추고 있음. 


중국 공업용 로봇기업 시장점유율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산업연구원

 

□ 산둥성의 공업용 로봇산업


  ㅇ 2020년 중국 공업용 로봇 생산량 10만 대 달성을 목표로 하는 '로봇생산발전계획(2016~2020)'에 따라, 중국의 공업용 로봇산업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 2015년 이래 평균 성장률이 140%에 달했고, 2020년까지의 예상 판매량은 15만 대이며, 보유량은 8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ㅇ 산둥성은 중국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로봇 산업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성임.

    - 2022년 공업용 로봇 생산량 10만 대 달성을 목표로 하는 '산둥성 스마트 제조 발전계획(2017~2022)'에 따르면, 산둥성은 2022년까지 전체 로봇 보유량 200만 대와 공업용 로봇 보유량 36만 대를 달성하고, 많은 로봇 기업들을 유치할 전망임.

 

  ㅇ 산둥성의 가장 큰 공업용 로봇 생산기지인 뤄쓰(산둥)스마트과학기술유한공사(珞石()智能科技有限公司)가 생산을 시작함. 

    - 2017년 7월 뤄쓰(베이징)과학기술유한공사(珞石(北京)科技有限公司)가 투자 건설한 뤄쓰(산둥)과학기술유한공사가 산둥성 지닝시에서 정식 가동했음,

    - 뤄쓰(산둥)과학기술유한공사는 공업용 로봇의 생산, 조립, 테스트, A/S를 종합적으로 진행하고 있음.

    - 현재 산둥성에서 가장 큰 공업용 로봇 생산기지이며, 가동 후 연평균 생산량은 2000대 이상임.

 

  ㅇ 2014년 정부 계획에 따라, 칭다오 첨단산업구역에 칭다오 국제로봇산업원을 설립했으며, 칭다오시는 공업 자동화장비 산업의 핵심지역이 됐음.

    - 2017년까지 산둥성 칭다오 첨단산업구역은 100여 개의 로봇 산업체인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생산액이 15억 위안에 달함.

    - 생산액 1000만 이상의 기업은 13개이며, 관련 제품 디자인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 통합, 해결방안, 중요부품 등의 산업체인을 이루고 있음.


□ 시사점


  ㅇ 공업용 로봇은 제조업의 자동화와 더불어 시각감지,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많은 선진기술의 종합적인 발전을 견인함  

    - 현재 중국 인공지능산업은 선진국과 격차가 있으며, 정부차원에서 로봇산업 발전 계획을 제시하고 육성전략을 펼치고 있음.

 

  ㅇ 중국의 공업용 로봇보유량은 이미 전세계 상위권이나, 밀도 면에서는 높지 않은 수치를 보임.

    - 선진국의 공업용 로봇 밀도는 직원 1만 명당 200대이나 중국은 49대로 나타났으며, 그 중 중국 제품의 비율은 낮은 편임.

    - 관련 한국 기업은 중국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중국 기업과의 교류를 확대하고반도체나 부품  로봇 산업 관련 분야의 협력을 통한 시장진출 기회를 모색해야 .

 

  ㅇ 칭다오 첨단산업구역 스마트제조 및 신재료사업부 부장 리더치앙(李德强)에 따르면, 현재 칭다오 첨단산업구역은 이미 일본 YASKAWA, FANUC과 독일 KUKA, 스웨덴 ABB많은 중국 우수 로봇 연구개발 제조기업이 자리잡고 있음.

    - 로봇 본체 제조와 같은 기술 함량이 크고 산업 관련도가 높은 선두기업들의 프로젝트를 유치했으며, 칭다오 첨단산업구역만의 완전한 산업체인을 형성하고 있음.

    - 칭다오 첨단산업구역은 지속적으로 외부기업을 유치하고 국내 산업을 육성해, 산업 환경을 개선할 계획임.

    - 현재 국가급 로봇창조산업 시범지역 선정을 신청했으며 중국 과학원 자동화 연구소, 소프트웨어 연구소 등 관련 연구개발기구를 유치해 지속적으로 창조 동력을 제공할 계획임.



자료원: 中国高新网, 中国机器人网, 중국 산업연구원, KOTRA 칭다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공업용 로봇시장, 미래가 밝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