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필리핀 건설 시장동향
  • 트렌드
  • 필리핀
  • 마닐라무역관 추설희
  • 2018-04-14
  • 출처 : KOTRA

- 인프라 건설 대규모 투자로 인한 건설붐 -

- PPP방식 수주로 인한 외국기업에 기회제공 -



□ 주요 동향


2013년~현재 필리핀 건설시장 총부가가치(GV) 성장 추이

단위: 100만페소(PHP)

external_image

자료원: 필리핀 통계청 (PSA)


  ㅇ 정부주도 공공인프라 집중투자 

    - 2016년 두테르테 집권후 열악한 인프라를 (특히 교통관련) 경제성장의 장애요인으로 지목하고 정부 주도하 인프라 구축에 대대적인 투자를 집중하고 있음.
    - 향후 6년간을 ‘Golden Age of Infrastructure’ 로 지정 후 통칭 BBB (BUILD BUILD BUILD) 라고 불리는 인프라 개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15년 19%, ‘16년 29% 민간 대비 2배이상 증가하는 등 공공인프라 분야가 크게 성장함.


2015년~ 2018년 1월 필리핀 건축허가증 발급 수 추이

단위: 1개


자료원: TRADINGECONOMICS.COM/ 필리핀 통계청


  ㅇ HYBRID PPP 도입
    - Hybrid PPP는 건설(EPC)과 운영(O&M)을 분리하여 입찰 및 사업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건설은 ODA 등을 통해 조달된 재원으로 발주되고 운영 및 관리도 별도의 입찰을 거쳐 선정된 민간사업자가 주관하도록 하고 있음.
    - Hybrid PPP 사업의 첫 시도로 필리핀 정부는 ‘17년 8월 2.5억 불 규모의 클락 국제공항의 신규터미널 사업을 발주하여 ’18년 1월 GRM - Megawide 컨소시엄이 이를 수주한바 있음.
    - 그동안 BOT방식을 고수하여 계획단계부터 착공까지 장기간 소요되었던 프로젝트 진행방식이 이 사업을 계기로 SOC사업에 있어 변화를 가져올것으로 예상됨.

    - 신규 인프라 건축을 위하여 노후화된 시설 및 저층 건물을 허물고 최신식 고층 건물을 건설하는 대형 프로젝트가 연이어 발주되면서 관련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음.


필리핀 주요 민관협력 프로젝트 현황

프로젝트명

사업 규모 (PHP)

구분

Metro Cebu Expressway

18,016M

교통

Davao City By-pass

19,810M

교통

Modernization of RORO Transport System in the Philippines

5,700.55M

항만

BGC to NAIA Bus Rapid Transit (BRT) System

44,025M

교통

New Clark City - Philippine Sports City

97,000M

도시 계획

Leyte Tide Embankment Project

7,900M

재난방지

자료원: http://www.build.gov.ph


  ㅇ PPP 사업 비딩 참여요건
    - According to Section 5.1 of the BOT (BUILD OPERATE AND TRANSFER) Law IRR, any individual, partnership, corporation, firm, whether local or foreign, including consortia of foreign or local and foreign firms can participate or apply for pre-qualification or simultaneous qualification for ppp projects. However, if the project involves the operation of a public utility, the operator must be at least 60% Filipino owned.


□ 부문별 현황


2017년 4분기 필리핀 국내 건축 인가 현황


자료원 : 필리핀 통계청


    - 1년간 총 33,445건의 건축허가가 전국적으로 인가받았으며 그중 비즈니스 중심지에 속하는 마카티, BGC가 속해있는 Region IVA 와 NCR 이 총합 9,917(29.6%)건을 인가받으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하였음.
 

  ㅇ 주거부문
    - 2017년을 맞아 메트로 마닐라 주거용 콘도미니움의 수요 가 작년대비 24%가량 상승 (2016년 42,000유닛, 2017년 52,600유닛) 이는 2012년 이후 자체 최고치를 경신한 것임.
    - 이에 따라 유닛 자체는 분기대비 5%가량 가격 상승 하였으나 공실율 및 공급량 상승에 따라 임대 시장은 현상 유지중임.


2017 3/4분기 및 2018년 1분기 마닐라 주요 주거지역 공실률 증감추이

자료원: Colliers International Philippines

 
매트로 마닐라 주거용 콘도미니움 수요 및  공급 추이

 단위: 1000units

external_image 
자료원: Colliers International Philippines


    - 향후 매트로 마닐라 주거용 콘도미니움의 수요는 아래와 같은 이유로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보임.
     1. 다른 아시아 도시들에 비해 저렴한 임대료.
     2.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더라도 투자대비 효율이 높음.
     3. 꾸준한 외국인 유입자본에 의한 지속적인 가치상승.

  ㅇ 사무부문

    -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상승과 BPO 산업의 약세에도 불구하고 필리핀 비즈니스 중심지역 내 사무실 수요는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며 2017년 GLA (Gross Leasable Area) 761,100 sqm.를 완공하며 자체 최고 수치를 기록함.
    - 온라인 카지노 서비스 (Philippine Offshore Gaming Operators) 와 기존 기업들의 예상을 넘는 성장, 현 정부의 전반적 사업 규제완화 시도로 인한 지속적인 외국 기업들의 진출이 맞물려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됨.


2009~현재 마닐라 주요지역내 A등급 오피스 수요 및 공급 추이
단위: 1000/sq


자료원: KMC Savills, Inc.


  ㅇ 호텔부문
    - 외국인 관광객들의 방문률이 2017년 660만여 명의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매트로 마닐라 내에 위치한 호텔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


2001~현재 필리핀 외국인 방문객 증감률
단위: 100만명

자료원: Colliers International Philippines

 

    - 이는 정부 주도의 지속적인 인프라 투자와 공격적인 관광 마케팅을 통해 이루어진 성과로 보이며 2018년은 전년대비 10~15% 관광객의 증가가 예상됨.
    - 마닐라 베이를 중심으로 매년 2000여개의 객실이 증가될 것으로 사료되며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를 중심으로는 4~5성급의 3개의 비즈니스 호텔이 2018년 내로 완공예정임.


  ㅇ 인프라부문
    - OECD 등록국 137개 국중 필리핀의 인프라 경쟁력은 97위임.
    - 하지만 2017년 경제성장률 6.7%를 달성하며 베트남 (6.8%) 다음으로 높은 모습을 보이고 2018년 6.3%를 성장을 예고하며 성장률 고공행진 이어가고 있음.
    - 이에 현 두테르테 대통령은 인프라 구축에 대대적인 투자를 진행하며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총 8~9조 페소 (약170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을 천명함.
    - 주로 공항 및 도로건설 사업, 대중교통 시설정비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이며 전국을 연결하는 유통망을 구축하려는 것으로 보임.
 

필리핀 주변국 인프라 경쟁력 지수

 국가명

인프라 전체 순위

도로

철도

항만

항공

전력

싱가포르

2

2

4

2

1

3

말레이시아

22

23

14

20

21

36

태국

43

59

72

63

39

57

인도네시아

52

64

30

72

51

86

베트남

79

92

59

82

103

90

필리핀

97

104

91

114

124

92

라오스

102

94

-

127

101

75

캄보디아

106

99

94

81

106

106

자료원: 국가 경쟁력 보고서 2017~2018, World Economic Forum


□ 주요 경쟁사


  ㅇ Ayala Land
     - Ayala Land 는 마닐라 건설시장의 급속한 성장을 도맡고 있는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의 디벨로퍼임.
    - 150년의 전통 있는 건설사로 단순한 건물 디자인이 아닌 환경 친화적 및 고급화 전략으로 당 건설사의 건축물들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수요가 높음.


Makati Greenbelt 쇼핑몰 실사진

 
자료원: 자사 웹사이트 (www.ayalamalls.com.ph)


  ㅇ SM Prime Holdings (SMPH)
     - SM Prime Holdings 는 필리핀내 가장 큰 슈퍼마켓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SM SUPERMARKET 의 모회사로 동남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종합 디벨로퍼로서 콘도미니움, 쇼핑몰, 호텔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 중임.
     - 자회사인 SM Development Corporation (SMDC) 는 필리핀 현지에서 투자를 하고 싶어 하는 Oversea Filipino Worker (OFW)들과 현지 중상류층을 타깃으로 한 21개의 주거 프로젝트를 완료하였음.


Makati Jazz Residence 조감도 


자료원: 자사 웹사이트 (smresidences.com.ph)


  ㅇ Filinvest Land
     - Filinvest Land Inc. (FLI) 4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음.
    - 사업 초기 중산층을 타깃으로 한 주거 유닛을 주력으로 삼았으나 최근에는 라구나 지역에 위치한 Brentville International Community 같은 프리미엄 지역개발에 투자하고 있음.


Brentvile International Community 정문 실사진


자료원: 자사 웹사이트 (www.filinvest.com)


  ㅇ Rockwell Land
    - Rockwell Land 는 90년대 당시 마카티 시 의 열 발전소자리에 위치한 Rockwell Center를 디벨롭한 것으로 유명함.
    - 해당 복합 상업 주거단지는 “도시 속 도시” 로 알려지며 필리핀 사람들에게 새로운 리빙 파라다임을 제공함.
    - 19년이 넘는 연혁을 거치며 프리미엄 브랜드로 거듭난 Rockwell Land 는 저명한 인사들과 유명 연예인들이 Rockwell Center에 거주하기를 선호하며 더욱 유명해짐.
    - 최근에는 올티가스 시 와 퀘존 시를 중심으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Rockwell Center Makati 조감도

 
자료원: business.inquirer.net


  ㅇ Robinsons Land Corp.
    - Robinsons Land 는 필리핀 최대기업중 하나인 JG Summit Holdings의 자회사임.
    - 현재까지 150여개 이상의 주거용 콘도미니움, 호텔, 사무용 빌딩을 전국적으로 디벨로핑 하였으며 동 브랜드의 슈퍼마켓과 종합가전 대리점을 포함한 복합 쇼핑단지가 유명함.


Robinsons Place Manila 쇼핑몰 실사진

자료원: 자사 웹사이트 ( www.robinsonsmalls.com)


  ㅇ MEGAWIDE
   - Megawide는 시공사로 사업을 시작하여 주로 주거용 콘도미니움을 시공하던 회사임.
   - 2011년을 기점으로 정부의 인프라 개발사업에 참여하며 주거/상업용 빌딩, 호텔, 학교, 공항등 민/관 사업 양측으로 사업을 확장중임.
   - 대표적인 정부 수주 프로젝트로는 Mactan Cebu International Airport, the Southwest Integrated Transport System, and the PPP for School Infrastructure Project Phases 1 and 2. 이 있으며 최근 Clark International Airport를 PPP프로그램을 통해 수주하였음.


Clark International Airport 예상도

자료원: http://www.bcda.gov.ph


□ 한계점 및 방안


  ㅇ 필리핀 내 사업진행의 불안요소
     - 잠재적 발전요소가 높은 필리핀이지만 아직까지도 여러 가지 불안요소가 사회적으로 잠재되어있음.
     - 계층별 빈부격차, 이슬람 반군, 자국민 총기사용 허가 등 여러 가지 불안요소가 있으나 그중에서도 관료주의 및 인프라의 부재가 심각한 요소로 꼽힘.
     - 특성상 정부 및 기업 주요인사와의 유대 관계가 중요하며 원활한 사업진행을 위해서도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깊은 인맥관리가 필요함.


필리핀 사업 진행의 문제점들


자료원: 국가경쟁력 보고서 2017~2018, World Economic Forum


ㅇ 현지 라이센스 취득의 어려움
    - 필리핀에서 건설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지 건설법 (Contractors’ License Law (RA 4566)) 에 따른 건설면허 취득이 필수임.
    - 일반면허 및 특별면허로 나뉘며 일반면허는 1년 단위로 면허를 갱신하는 것에 비해 특별면허는 프로젝트 별로 면허를 갱신하는 점이 상이함.
    - 이외에도 특별면허는 일반면허에 비해 참여할수 있는 프로젝트가 한정되어있어 외국기업이 원청으로 대형프로젝트를 수주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임.
    - 이에 따른 대안으로는 현지에 지사를 설립 및 컨소시움 구성 또는 현지 대기업의 하청으로 진출하는 방법이 가장 유력함.



□ 전문가 의견

  

  Santos Knight Frank (SKF) 회장 Rick Santos 는 필리핀의 젊은 인구층과 소비주도시장으로 필리핀을 아시아의 신흥 경제국중 가장 강력한 국가로 인식하고 있다고 함.

 

  ㅇ BMI analyst 관계자는 필리핀의 적극적인 인프라투자가 더 큰 민간과 외국인 투자를 이끌어내며 이대로라면 2022년에는 필리핀 경제성장률이 7.4%를 넘을것이라고 예측함



□ 시사점 및 전망


  ㅇ 필리핀의 인프라 투자를 기회로
    - 중국은 2017년 5월 15일 개최된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에서 필리핀에 8조2000억 필리핀 페소(약 164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약속했음.
    - 이외에도 호주, 일본, 캐나다 등 여러 등지의 나라에서 필리핀의 인프라 발전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하기로 함.
    - 해외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해 대대적인 인프라 조성을 함으로써 필리핀의 새로운 성장 동력 발판을 만드는 것 이 현 두테르테 대통령의 구상임.
    - PPP 시스템을 통해 여태까지 외국 건설기업들에 대한 닫혀있던 진출 기회가 열리며 이는 우리 기업들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ㅇ 우리 진출 현황 및 추가 진출 가능성
    - 철도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우리 공기업이 현지 건설기업과 같이 진출을 모색 혹은 이미 인프라 건설 시장에 진출했으며 그 외 협력업체의 동반 진출이 예상되고 있음.
    - 직접적인 건설 분야뿐만이 아니더라도 건설장비, 차량 또는 건설 자재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당 분야에도 우리 기업들의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필리핀 통계청, TRADINGECONOMICS.COM, Colliers International Philippines, KMC Savills, Inc, 국가경쟁력 보고서, 마닐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필리핀 건설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