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영유아용품시장 생생 현장 리포트
  • 트렌드
  • 중국
  • 난징무역관
  • 2018-01-04
  • 출처 : KOTRA

- 중국 영유아용품시장, 주력 소비자층·유통방식 등 획기적으로 변화 -

- 제품 선택 최우선 요건은 안전성, 프리미엄 제품 개발 및 효과적인 브랜드 마케팅 절실 –

- 수입제품 경쟁 치열한 1선 도시대신, 발전 가능성 높은 2~3선 도시 중심 공략 고려 필요 -

 



□ 시장동향

 

  ㅇ 중국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중국의 출생 인구는 1786만 명으로 2015년(1655만 명) 대비 131만 명 증가했으며, 출생률(1년간의 출생 수/인구*1000)이 12.1%에서 13.0%로 0.9%p 상승함.

    - 2016년 신생아 중 둘째 자녀의 수는 약 804만 명으로 전체 신생아에서 약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2015년(38.9%) 대비 6.1%p 상승한 수치임.

3 신생아 출생률 한국어

자료원: 중국 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ㅇ 중국 산업정보망에 따르면 2016년 중국 영유아용품 시장규모는 약 1조9000억 위안(약 310조 원)으로, 전년 대비 15.9% 증가


중국 영유아용품산업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1

자료원: 중국 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

 

  ㅇ 독일 전략컨설팅 업체인 롤란트 베르거(Roland Berger)는 2020년 중국 영유아용품 시장규모가 약 3조6000억 위안(약 610조 원)에 달할 전망

    - 중국은 2015년 10월부터 전면적인 두 자녀 정책 시행으로 출산을 장려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시장 성장이 가속화될 전망


 

자료원: 롤란트 베르거(Roland Berger)


  ㅇ 2017년 중국의 최대 쇼핑 페스티벌인 광군제(光棍节, 11월 11일) 당일 영유아용품의 판매액은 무려 91억4000만 위안(약 1조5000억 원)에 달했으며, 전체 판매액의 3.6%를 차지함.


 2017 광군제 품목별 판매 비중

external_image

자료원: 마이고우왕(买购网)


  ㅇ 중국 시장조사기관 품도상업평론(品途商业评论)은 영유아용품산업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장점들이 결합된 신유통(新零售)* 패러다임이 급부상하고 있다고 분석함.

    - 영유아용품산업 신유통(新零售)은 온라인 상점의 광범위한 플랫폼·편리성 등과 오프라인 매점의 제품 품질 보장·실시간 A/S 등의 요소들이 결합된 새로운 형식임.

    * 신유통(新零售): 첨단기술을 활용한 '온라인+오프라인+물류' 세 분야를 융합한 미래 유통모델임.


  ㅇ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융합된 신유통(新零售) 패러다임이 부상하면서 2017년 7월 징둥(京东)은 신유통에 대비한 영유아용품산업 계획을 발표했고, 온·오프라인 융합 업체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음.  

    - 2017년 7월 징둥(京东)은 영유아용품산업 '4+'계획을 발표해 2020년까지 3~4선 도시 포함 '징둥 영유아용품 오프라인 매점' 5000곳을 설립할 계획이며, '품질향상+온·오프라인의 융합+직접체험'의 영유아용품 신유통(新零售) 일체화 방안을 만들 것이라고 밝힘.

    - 중국 대형 영유아용품 체인점인 Leyou(乐友)는 영유아용품 소비 트렌드에 맞춰 '전용 APP+인터넷 쇼핑몰+오프라인 체인점'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2017년 6월 Sina 매체 CEO인터뷰에 따르면 O2O형식*의 판매액이 50%를 넘어섬. 자체 플랫폼도 운영하지만 징둥과 톈마오 등의 종합 전자상거래 플랫폼에도 진출해 소비자들이 접근하기 편리하도록 함.

    * O2O: Online to Offline의 약자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융합을 의미


   또한 영유아용품 플랫폼 베베왕(贝贝网) 장량룬(张良伦)은 부모의 주요 연령대 변화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영유아산업 3.0시대를 맞이하면서 가격 경쟁, 제품 경쟁이 아닌 신뢰를 중시하는 '소비자 중심'의 새로운 경쟁시대를 맞고 있다고 함.


영유아산업 1.0시대

2004년 영유아산업의 폭발적인 성장

영유아산업 2.0시대

2014년 인터넷 발달로 영유아산업이 PC 전자상거래에서 모바일 전자상거래로 넘어감.

영유아산업 3.0시대

2017년 영유아산업의 주요 소비자가 1960~1970년대생에서 1980~1990년대생으로 바뀌고 있음.

모바일 인터넷, 데이터, 인공지능 기술 등으로 데이터와 과학기술이 영유아산업 혁신의 주요 역할

자료원: 베베왕(贝贝网) 언론 보도, KOTRA 난징 무역관 정리


□ 2017년 중국 영유아용품 소비자 동향

 

  ㅇ CBME의 '2017년 중국 영유아 소비시장 조사보고서'에서 3389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가정 평균 월수입은 9848위안임. 이 중 유아를 위해 지출하는 비용이 1065위안으로 수입의 약 1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영유아용품을 구매하는 주요 경로에 대한 질문에는 전문매장에서 구매한다는 응답이 66% 이상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온라인이 10%로 2위를 차지함.


영유아용품 소비자 구매경로

external_image

자료원: CBME

 

  ㅇ 전문매장을 선택하는 이유로는 '품질이 보장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62%로 가장 많았고, '제품이 다양하기 때문'이 38%로 2위를 차지함.

 

2017년 전문매장 구매경로 선택 이유(중복응답 허용)external_image

주: 괄호 안 숫자는 2016년 순위

자료원: CBME

 

  ㅇ 온라인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이유로는 '제품 다양성'이 43%로 1위를 차지했고, '오프라인보다 가격이 저렴함'이 35%로 2위를 차지함.

 

2017년 온라인 구매 선택 이유(중복응답 허용)

external_image

주: 괄호 안 숫자는 2016년 순위

자료원: CBME

 

□ 장쑤성 시장동향

 

  ㅇ 중국 장쑤왕(江苏网)에 따르면 장쑤성 영유아 관련 소비액은 2017년 상반기 기준 1000억 위안(약 16조4000억 원)으로 중국 내 2위를 차지했음. 이는 중국 영유아용품시장의 약 10%를 차지하는 규모임.

 

2017년 상반기 중국 지역별 영유아 관련 소비액 순위

순위

지역명

순위

지역명

1

광둥(廣東)

6

저장(浙江)

2

장쑤(江蘇)

7

산둥(山東)

3

랴오닝()

8

쓰촨(四川)

4

푸젠(福建)

9

허베이(河北)

5

후베이(湖北)

10

후난(湖南)

자료원: baobei360

 

  ㅇ 장쑤성 통계국에 따르면 2016년 장쑤성의 신생아 수는 77만9600명으로, 전면적 두 자녀 정책 실행 이후 장쑤성 출생률은 2015년 9.05‰에서 2016년 9.76‰로 상승함.

    - 장쑤성 전체 신생아 출생 인구 중 둘째 자녀 이상인 신생아의 수가 40%임.

    - 두 자녀 정책의 실행 이후 장쑤성의 신생아 출생률은 증가하는 추세이며 더불어 영유아용품시장의 규모도 꾸준히 성장할 전망

 

  ㅇ 장쑤성의 영유아 기업 역시 신유통(新零售) 트렌드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양상을 보임. 대표적인 예로 하이즈왕(孩子王), 쑤닝홍하이즈(孩子)후이홍바오베이(汇鸿宝贝) 등이 있음.

    - 장쑤성 영유아 기업들은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체험해보고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O2O* 방식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음.

 

업체명

기업개요 및 주요 사업 내용

하이즈왕

(孩子王)

EMB000006a02f09

 

- 2009년 설립(본사: 장쑤성 난징)

- 2016년 매출액: 44억5500만 위안(약 7350억 원)

- 중국 최대 영유아 O2O 플랫폼으로 중국 내 약 200개의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모바일 플랫폼 보유

- 온·오프라인을 융합한 판매 방식을 적용해 약 1700만 명의 회원을 확보했고 중국 프랜차이즈 경영협회(国连锁经营协会)에서 발표한 '2016 중국 프랜차이즈 100강(2016国连锁百强)'에서 81위를 차지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7년간 200여 개의 지점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 후 고객의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 상품을 유통함.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고 매장 안의 전시 공간을 약 30% 줄여 고객과의 소통 및 상품 체험의 공간으로 활용함.

- 전용 APP를 통해 다양한 제품을 전시해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힘과 동시에 조기 교육 등 영유아 성장 시기에 따른 각종 서비스 제공

쑤닝홍하이즈

孩子)EMB000006a02f0c

- 홍하이즈 2004년 베이징에 설립 후 2012년 쑤닝(중국 민영기업 2위)이 인수

- 전자 상거래 플랫폼의 형태로 설립됐지만 2013년 오프라인 매장을 개장한 후 2020년까지 2345개의 오프라인 매장을 개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더욱 활발하게 오프라인 매장에 투자할 전망

- 오프라인 매장에서 영유아용품의 판매뿐 아니라 교육 및 문화 활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쑤닝홍하이즈(孩子)의 온·오프라인이 융합된 서비스가 1선 도시뿐 아니라 2~3선 도시로 확대됨. 2~3선 도시가 다수 위치한 장쑤성 역시 이러한 방식의 서비스가 더욱 확산될 것으로 예측됨.  

후이홍바오베이

(汇鸿宝贝)

EMB000006a02f0f

 

- 2016년 설립(본사: 장쑤성 난징)

- 후이홍그룹(汇鸿, 중국 500대 기업, 448위)의 계열사로 영유아용품 전문 무역기업이자 플랫폼임

- 한국, 일본, 독일, 미국 등에서 60여 개 2000종 브랜드 제품 수입

- 영유아제품을 정식 수입해 장쑤성 주요 영유아 플랫폼에 납품. 자체 온·오프라인 플랫폼 동시 운영 중

자료원: 장쑤 상바오(江报), 하이즈왕(孩子王) 공식 홈페이지, 펑황왕(), 톈센트 QQ왕(腾讯大渝网)

 

□ 장쑤성 영유아용품시장 생생 현장 인터뷰


KOTRA 난징 무역관은 장쑤성 영유아용품시장 및 한국 상품 진출 현황에 대한 생생한 현장 분석하기 위해 유력 영유아용품 플랫폼 구매담당자, 오프라인 매장 관계자, 소비자 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함.

 

  1)  (플랫폼) 장쑤성 유력 영유아용품 플랫폼 주요 구매담당자 인터뷰


EMB000006a02f09

하이즈왕

Q. 하이즈왕에 대해 소개해 달라

A. 하이즈왕은 중국 내 영유아분야 유력 온·오프라인 플랫폼으로 약 200개의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자상거래 플랫폼, APP도 활발히 운영 중이다. 오프라인 매장은 단순히 상품판매만 하는 것이 아니라 키즈파크, 문화센터 등과 함께 운영해 구매뿐 아니라 아이와 부모가 즐거운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하고 있다. APP에서는 영유아용품 및 화장품 등 소비재 전반을 취급하고 있다. 마스크팩 등 한국 화장품도 다수 취급하고 있다.

 

Q. 영유아용품시장 내 수입제품 취급현황은?

A. 중국 영유아용품 수입시장은 일본 및 유럽 제품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다. 자녀가 사용하는 제품을 구매하는 만큼 영유아 제품 구매자들은 안전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일본 및 유럽 제품이 청정하고 안전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


Q. 한국 제품 취급현황 및 향후 수입희망 제품은?

A. 하이즈왕이 취급하는 대표적인 한국 제품은 유아용 내의 및 젖병소독기이다. 유아용 내의 브랜드는 하이즈왕의 오프라인 매장에 전문 매장을 개설해 현재 운영 중이다. 젖병소독기는 2017년 광군제(11월 11일)에 1000대를 판매하는 등 반응이 매우 좋다.

향후에는 건강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생산된 우수한 유아간식 브랜드를 수입하고 싶다. 또한 아동들이 사용할 수 있는 참신한 문화체육용품(문구 등)에도 관심이 많다.

EMB000006a02f0c

쑤닝홍하이즈

Q. 쑤닝홍하이즈에 대해 소개해 달라

A. 홍하이즈는 현재 전자상거래 중심으로 오프라인 매장이 적지만, 향후 오프라인 매장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새로운 유통시장 트렌드에 발맞추어 단순히 제품만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홍하이즈 매장에서 즐겁게 하루를 보낼 수 있는 체험형 문화공간으로 꾸며나갈 계획이다.  


Q. 영유아용품시장 내 수입제품 취급현황은?

A. 중국 내수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은 글로벌 브랜드 중심으로 취급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일본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높다. 브랜드 자체는 유명하지 않더라도 일본 제품이라고 하면 지갑을 여는 소비자들이 많다.


Q. 한국 제품 취급현황 및 향후 수입희망 제품은?

A. 현재 한국 젖병 브랜드 등을 취급하고 있다. 한국 제품은 일본이나 유럽 제품대비 인지도가 낮고 유통되고 있는 제품의 수가 적은 편이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기회가 많다고 생각된다.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면 확대되고 있는 중국 영유아용품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여지가 높다고 생각된다. 향후 품질이 우수하고 한국에서는 지명도가 높지만 홍하이즈가 아직 취급하고 있지 않은 잠재력 있는 제품들을 취급하고 싶다.

EMB000006a02f0f

후이홍바오베이

Q. 후이홍바오베이에 대해 소개해 달라

A. 후이홍바오베이는 장쑤성의 유력 국영기업인 후이홍그룹의 자회사로 영유아제품의 무역을 전담하고 있는 수출입 기업이다. 자체적인 온·오프라인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나 주력 업무는 무역이다. 전 세계에서 약 2000종의 제품을 수입하고 있다.


Q. 영유아용품시장 내 수입제품 취급현황은?

A. 소비자들이 자체 브랜드에 대한 불신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다고 알려진 수입브랜드를 선호하는 성향이 강하다. 후이홍하이즈는 전 세계에서 안전이 검증된 제품들을 수입해 장쑤성 내 유력 플랫폼에 납품하고 있다.


Q. 한국 제품 취급현황 및 향후 수입희망 제품은?

A. 한국 의류, 신발 등 제품을 수입하고 있다. 지명도가 높지 않더라도 성장잠재력이 높은 제품들을 찾고 있으며, 특히 유아식품쪽 분야에 관심이 많다.

 

  2) (오프라인 매장) 장쑤성 단양(丹阳) 영유아용품 전문점 CEO 张대표 인터뷰


Q. 매장에 주로 방문하는 고객층이 어떻게 되나?

30대의 부모 세대가 가장 많이 방문하며, 여성 고객이 주를 이루고 부부가 같이 오기도 한다. 조부모 세대인 노인분들도 종종 오시지만, 주요 고객층은 30대 여성이라고 할 수 있다.


Q. 영유아용품을 고를 때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가 무엇이라고 보는가?

역시 가장 중시하는 요소는 안전성이다. 안전성을 위해 인지도 있는 브랜드인지, 원재료의 원산지는 어디인지 살펴본다. 브랜드가 인지도가 있을수록 안정성과 품질도 어느 정도 보장된다고 생각해 안심되기 때문이다. 또한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 연령대별로 말하자면, 25~30세의 비교적 젊은 세대의 소비자는 가성비를 고려하며 물건을 고르고, 30대 이상의 소비자는 가격보다는 품질, 원산지 등 다른 요소를 훨씬 중요하게 본다.


Q. 소비자들에게 인기있는 대표적인 브랜드가 있다면 무엇인가?

기저귀같은 경우엔 일본이 Merries(花王), Goo.N(大王) 등의 브랜드가 대표적으로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Pigeon(贝亲) 또한 중국인들에게 신뢰받는 브랜드로 젖병, 세면용품, 기저귀, 물티슈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어 인기가 좋다. 영양제로는 미국의 Culturelle(康粹)이 유아용 체온계는 독일의 Braun(博朗)이 유명하다. 분유는 유제품이 유명한 호주나 뉴질랜드, 네덜란드산이 영양가가 높고 청정하다고 해 판매량이 높다.


Q. 중국에서 인기있는 한국 영유아제품이 있다면 무엇이고, 한국 제품의 입지는 어떠한가?

뽀로로 등 캐릭터가 그려진 유아용 식기구나 이유식, 간식 등 영유아 식품이 잘 팔린다. 또한 한국 제품 중 영유아용 섬유세제, 젖병세정제를 찾는 사람이 많다. 한국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한국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고 안전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보면 여전히 수입제품을 찾는 소비자들 중에서  한국 제품을 찾는 비율이 그렇게 높은 것은 아니라, 제품이 메인에 디스플레이돼 있는 편은 아니다. 중국 소비자 중 이미 사용하던 일본, 독일 등 수입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고, 품질이 고급화되고 있는 자국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층도 많아지고 있다. 한국 제품은 기존 수입제품뿐 아니라, 중국 제품까지 경쟁상대로 두고 중국에서의 인지도 향상에 신경을 쓰며 더욱 입지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3) (소비자) 장쑤성 영유아용품 소비자 인터뷰  


구분

소비자 1

소비자 2

소비자 3

성별 및 연령대

30대 여성

60대 할아버지

50대 할머니

중시하는 요소

품질 및 안정성

인지도 높은 브랜드

품질 및 안정성

브랜드

정보 습득 경로

맘 커뮤니티 등 SNS

아이의 부모가 지정한 제품 구매

지인의 추천

구매 경로

- 오프라인 매장에서 품질 및 디자인 확인 후 온라인 구매

- 옷은 인지도 높은 브랜드에 한해 온라인 검색 후 바로 구매

- 직접 눈으로 보고 구매하는 오프라인 매장 선호

- 직접 눈으로 보고 구매하는 오프라인 매장 선호

선호하는 브랜드

미국 의류 브랜드, 품질이 좋으면 브랜드를 가리지 않고 구매할 의향이 있음

일본, 독일 제품 선호

일본 제품 선호

한국 제품 구매여부

및 제품종류

한국 아동복, 영유아 화장품, 간식, 식기도구 구매경험이 있음

한국 아동복과 완구 구매경험이 있음

구매 경험 없음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

안전하고 믿을 수 있으며 가성비가 높아 재구매 의사가 있음

안전성과 신뢰도가 높아 긍정적으로 생각함

한국 제품의 인지도가 낮아 무슨 상품이 있는지 모름

자료원: KOTRA 난징 무역관

 

□ 전망 및 시사점

 

  ㅇ 중국 영유아용품시장은 유아인구 수 증가로 시장 잠재력이 크고, 다른 소비재 대비 프리미엄 수입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바 적극적인 진출이 필요한 시점임.

    - 중국 영유아용품 주력 소비군은 가격보다 안전성 및 신뢰성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 우리 기업은 품질 고급화를 최우선으로 할 필요가 있음.

    - 아울러 소비자들은 인지도 높은 브랜드의 제품이 곧 안전성이 보장되는 제품이라고 생각하므로, 한국 브랜드의 인지도 제고에 초점을 둔 마케팅이 필수적임.

 

  ㅇ 또한 중국 영유아의 특징이나 중국의 육아문화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제품을 디자인하고 제조하는 현지화 전략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함.

    - 하이즈왕의 구매담당자는 미국의 유명 의류 브랜드에 대해 제품이 중국 영유아의 체형과 맞지 않아 취급이 어렵다면서, 외국 브랜드 개발자들이 중국 시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제품을 제작하는 방식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함.

    - 예를 들어, 유아용 내의를 제작할 때 핵심 경쟁력에 해당하는 부분인 원단은 한국에서 생산하되 디자인 및 제작은 중국에서 중국 소비자의 성향을 반영해 진행한다면 훨씬 효과적인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ㅇ 진출지역 설정 시 수입 브랜드 간 경쟁이 극심한 1선도시보다는 향후 성장잠재력이 큰 2~3선 도시를 중심으로 공략하는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장쑤성은 GDP가 2016년 기준 중국 내 2위(1조1123억7000만 달러)이자 한국 GDP 규모에 근접할만큼 거대한 시장이고, 영유아 인구 수 역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장쑤성 영유아용품 시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ㅇ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융합한 신유통 서비스가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하는 바, 새로운 트렌드를 리딩하고 있는 중국 브랜드 혹은 중국 영유아 플랫폼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작성자: KOTRA 난징 무역관 기내흔 인턴, 김현진 인턴, 송지현 인턴 

자료원: KITA, baobei360, 아이리서치(iresearch), 베베연구원(贝贝研究院), 마이고우왕(買購網), 중국 산업정보망(中國業資訊網), 품도상업평론(品途商业评论), 네이버 백과사전, 중국 장쑤왕(江苏网), 장쑤상바오(江), 텐센트 QQ왕(腾讯大渝网), 장쑤성 통계국, KOTRA 난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영유아용품시장 생생 현장 리포트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