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미얀마 건설 중장비 시장동향
  • 트렌드
  • 미얀마
  • 양곤무역관 이정용
  • 2017-11-15
  • 출처 : KOTRA

- 인프라 건설과 광산 채굴이 수요 견인 -

- 한국산 품질 인지도로 시장점유확대할 있을 것 -

 


 

상품명 HS Code

 

  ㅇ 상품명: 자주식의 불도저·앵글도저·그레이더·레벨러·스크레이퍼·메커니컬 셔블·엑스커베이터·셔블로더·탬핑머신 로드롤러(HS Code 8429)

 

선정 사유

 

  ㅇ 중장비 제품군은 미얀마 수출 품목 1 규모로, 정부의 인프라 건설과 민간의 광산 개발에 필요한 제품 수요가 이어질 전망

 

미얀마 진행 인프라스트럭처 사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Myanmar Builders Guide

 

  ㅇ 미얀마의 도시화는 34% 규모로, 이에 따라 도시화를 위한 건설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이며 2017년 11월 기준 현재 경제구역 건설 다양한 기초 인프라사업이 미얀마 진행

    - 진행 중인 사업 이외에도 양곤 공항 제3터미널, 띨라와 경제특구 B지역, 양곤-빠떼인 고속도로 프로젝트 기획단계의 사업 또한 다수 존재

 

미얀마 채굴 프로젝트 현황

                                                                                     (단위: 개)

자료원: 미얀마 자연환경보전부

 

  ㅇ 미얀마 내에 풍부하게 매장돼 있는 에너지와 광물자원은 미얀마의 주요 수출 품목이며, 광산업 규모 또한 확대 중임.

    - 광산의 채굴 프로젝트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관련 중장비의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보임.

 

시장규모 동향

 

  ㅇ 건설 중장비를 수입에 의존하 미얀마 특성상 수입규모를 시장규모로 무방함. 2016년도 기준 전체 수입액은 9800만 달러 규모였음.

 

  ㅇ 미얀마 건설 중장비의 수요층은 정부와 민간으로 나뉘어 있으며, 정부 사업과 민간의 수요가 7:3 비율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건설중장비 최근 수입규모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


미얀마 건설 중장비(HS Code 8429) 수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본격적인 시장 개방 2013 아세안 게임 개최를 위한 건설 수요로 폭증했던 중장비 수요는 2011 이후 안정화된 것으로 보임.

    - 2016년 다소 감소한 중장비 수입은 2017년에 다시 회복세에 접어들었으며, 2017년 11월 기준 현재 시장 전체 수입은 1 달러 규모

 

  ㅇ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

 

미얀마 건설 중장비 국가별 수입액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미얀마 주요 중장비 수입국은 중국, 한국, 일본, 싱가포르, 태국, 인도, EU 28개국임. 오스트리아, 폴란드 등으로부터의 수입이 8~10위를 차지

    - 중국, 한국,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이 1~3위임. 3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각각 41%, 22%, 14% 차지해 시장 대부분(77%)을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남.

 

대한 수입규모 동향

 

대한 건설 중장비(HS Code 8429) 수입 동향

                                                                                    (단위: 달러)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ㅇ 한국은 미얀마 건설 중장비 2위 수출국으로, 대한 건설 중장비 수입은 2014~2015년 많이 증가했다가 다소 감소세를 보임.

    - 하지만 2017년에 2016년 대비 10%가량 수입이 증가해 기존 규모를 회복한 것으로 확인되며, 2016 기준 미얀마 수출액은 2800만 달러 규모

 

경쟁동향

 

  ㅇ 미얀마 건설 중장비 부품을 수입 중인 업체는 30 추정되며, 주로 양곤과 만달레이에 지점을 두고 제품을 유통

    - Myanmar Kaido, Universal Tractor, UMG Myanmar, Htun Nay Wun Thitsar 등의 업체가 유통시장 내에서 경쟁

 

미얀마 주요 건설 중장비 유통사 현황

자료원: KOTRA 양곤 무역관

 

  ㅇ 바이어 인터뷰에 따르면 건설 중장비 특히 굴착기(Excavator)와 불도저(Bulldozer) 제품이 주로 판매되는 것으로 나타남.



    - 굴삭기의 경우, 바이어사들은 CATERPILLAR, 고마쓰, 히타치, VOLVO, 대우, 고베제강 브랜드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짐.

 

제품인증 관세정보

 

  ㅇ 미얀마는 수입관세와 더불어 일종의 부가가치세인 상업세(Commercial Tax)가 부과됨을 참고

 

미얀마 건설 중장비 관세율 상업세 현황

                                                                                                                                                              (단위: %)

자료원: 미얀마 관세청

 

  ㅇ 미얀마 수입 규제정책은 없으나, 모든 수출입에 대한 사전 허가 취득이 필요

    - 수입허가의 경우 3주일이 소요

 

   2017년 10 16일, 미얀마 자동차 수입관리위원회는 2018년도 자동차 수입 개정안을 발표

    - 새로운 수입 규정으로 기계차(중장비) 제품은 2009~2018년에 생산된 차량의 수입만이 허가될 예정

 

관련 전시회

 

 

시사점

 

  ㅇ 인프라 건설을 위한 정부의 수요와 광산 개발을 위한 민간의 수요가 주요하게 존재하는 미얀마 건설 중장비 시장

    - 정부 수요의 경우 아직 도시화가 미흡한 미얀마 내 인프라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도로, 댐, 공항 등의 건설 프로젝트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이런 프로젝트들이 중장비 수요를 견인할 전망

    - 민간 수요의 경우 주로 정부 발주 인프라 참여 시, 건설사업 용도 보석 광산 채굴 용도로 중장비를 구매. 자원 매장량이 풍부한 미얀마 광산 개발은 더욱 늘어날 이며, 이에 따른 중장비 수요도 꾸준히 증가할 전망

 

  ㅇ 바이어 사에 따르면 정부는 주로 신품을, 민간은 중고품(사용연수 3~4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대상층을 고려한 시장 진입전략 수립이 필요할

    - 상대적으로 정부 구매는 품질을, 민간 구매는 가격을 우선하는 것으로 알려짐.

 

  ㅇ 공공 프로젝트 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쉽지 않은 미얀마 특성상 정부 입찰에 주로 참여하는 현지 기업과 협업해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임.

    - 이미 높은 인지도를 얻은 독일, 일본 제품과 더불어 주요 브랜드로 유통 중인 한국 제품들은 미얀마 정부의 입찰 참여를 통해 수출 확대를 모색할 수 있을 것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Myanmar Builders Guide, 미얀마 자연환경보전부,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미얀마 건설 중장비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