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카타르, 제조업 현황과 육성 노력
  • 트렌드
  • 카타르
  • 도하무역관 김민경
  • 2017-11-16
  • 출처 : KOTRA

- 제조업 비중은 전체 GDP의 9% 수준으로 여전히 미미한 수준 -

- 카타르 단교사태 발생 이후, 자급자족률 강화 필요성 재조명 -

- 정부 주도의 공장설립 프로젝트 추진 등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 창출 기대 -




□    카타르 제조업 현황

 

  ㅇ 카타르는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생필품 및 산업 기자재와 같은 대부분의 물품을 해외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GDP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기준 9%로, 한국의 제조업이 전체 GDP의 30%가량을 차지하는 것과 비교해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카타르는 정부 재정수입원의 85%, 수출의 85%가 에너지 자원의 수출에서 발생하는 높은 에너지 의존도를 보임.

    - 이에 따라, 에너지 자원의 고갈에 대비한 지속할 수 있는 경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국가 비전 2030(Qatar National Vision 2030)'과 세부 전략인 '국가발전전략(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2011~2016'을 수립, 이를 실현하기 위해 경제 다각화를 주요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음.

     

카타르 명목 GDP 구조 변화

 2007년                                                         2016년

자료원: 카타르 중앙은행(Qatar Central Bank)


  ㅇ 2016년 기준 제조업체 수는 총 3263개로 한국의 1% 수준에 불과하며, 대부분 원유 정제, 화학 및 경공업 위주로 구성돼 있음.

2016년 카타르 제조업 현황

구분 종사자 수(명) 기업 수(개)
섬유, 가죽 및 의류 12,755 1,486
가공 금속(철강) 33,227 586
식음료 9,976 283
목재가공 5,860 240
가구 4,278 206
비금속 미네랄 제품(유리, 시멘트, 콘크리트 등) 27,074 201
프린팅 및 미디어 기록물 4,473 87
고무 및 플라스틱 6,074 51
화학 8,504 37
기타 제조(기계 설치 및 수리업 등) 834 37
전기 1,393 19
자동차 부품 및 운송용 트레일러 543 11
제지 620 9
기계 1,634 4
원유 정제 836 3
기타 운송장비(배, 보트 등) 573 2
의약품 216 1
섬유, 가죽 및 의류 12,755 1,486
합계 118,870 3,263

 자료원: 개발계획통계부(MDPS)

 

  ㅇ 한편, 카타르는 2017년 6월 발생한 인근국과의 국교단절 사태에 따라 생필품 및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에 사용될 각종 산업기자재 등의 조달에 일시적인 애로를 겪음.

    - 인근 국가에 신규항로를 즉각적으로 구축해 물품 수급을 정상화시켰으나, 이번 사태를 계기로 높은 수입의존도를 다시금 실감, 자급자족률 강화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정부는 공장설립 프로젝트 추진 및 국산 제품 전시회 개최 등을 통해 제조업 육성 노력을 펼치고 있음. 

 

 □  제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노력

 

   공장 설립 프로젝트 'Own Your Factory in 72 Hours'*

    - 2017년 8월 카타르는 'Own Your Factory in 72 Hours'라고 명명한 공장 설립 투자프로젝트를 통해 8개 주요 분야에 대해 민간인 투자자를 모집. 검토를 통해 최종적으로 250개의 공장설립 기회를 제공할 계획임을 밝힘.   
   - 접수 시작 후, 총 9349개 공장 설립 신청을 접수 받았으며, 카타르인이 전체 신청의 85%, 외국인이 15%를 차지함.

    - 2017년 11월 주무관청의 검토 후 총 63개 공장 설립 계획이 승인됐으며, 식품 제조업이 22개사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 공장 설립을 위한 신청 → 검토 승인의 단계를 간소화 시켜 빠른 시일내로 진행을 추진하고 있음. 이에 따라, 이 프로젝트를 통해 제조업 부문의 가시적인 성장이 기대됨.

    * 프로젝트명에서 '72 Hours'는 공장 부지에 대해 72시간 내에 승인한다는 것을 의미 
 

주요 육성 분야 및 신청서 접수현황(단위: 개)

식품

금속

제지

고무·플라스틱

화학

의료

전기

기계·자동차

3,168

1,334

1,068

941

826

710

732

552

합계: 9,349

 자료원: 걸프타임스(Gulf Times)


   특별경제구역(Special Economic Zone) 조성

    - 정부는 특별경제구역을 통해 카타르 중장기 발전계획인 국가 비전 2030(Qatar National Vision 2030)을 실현할 지속할 수 있는 경제환경을 조성할 계획임. 이에 따라, 지난 2011년 특별경제구역기업(Economic Zones Company, Manateq)을 설립함. 하마드 공항 근교, 하마드 항구 근교, 사우디 국경 근교 총 3개 구역에 특별경제구역 조성을 계획함.

    - 한편, 카타르에서는 일반적으로 외국인 투자자가 법인을 설립할 경우 49%의 지분 제한이 있으나, 정부는 특별경제구역에 대해 활발한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 100% 외국인 소유권을 제공하는 등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임. 


특별경제구역 개발 현황

구분

위치(규모)

중점유치분야

완공연도

라스 부폰타스

(Ras Bufontas)

하마드 공항 근교(4.01㎢)

보건의료, 자동차, 항공우주산업, 물류,

첨단기술, 비즈니스 서비스 등

2019년 3분기

음 알 하울

(Um Alhoul)

하마드 항구 근교(3.4)

해양산업, 식음료, 건설기자재,

금속가공 및 기계, 석유화학, 물류

2020년 1분기

알 카라나

(Al Karanna)

사우디 국경 근교(38.43)

- 계획단계(잠정)

건설기자재, 금속, 화학, 플라스틱

2021년 1분기

 자료원: 특별경제구역기업(Manateq)


   국산 제품 홍보를 위한 전시회 개최

    - 카타르는 'Made in  Qatar'를 하나의 국가 브랜드로 만들고자 하며, 정부 주도의 전시회 개최를 통해 자국 생산품을 홍보하고 있음.

 

주요 전시회 정보

구분

개최시기 및 장소

전시기업 수(개)

Made in Qatar 2017

2017년 12월 14(목)~17일(월), DECC

300

Buy Local Products

2017년 7월 10일(화), DECC

70


□ 시사점 

   

  ㅇ 카타르 국교단절 사태 발생 이후 자급자족률을 높이기 위한 국내 생산기반 강화 필요성 증가로 제조업 육성에 관심이 높아짐.

    - 2017년 11월 현재로 제조업 육성과 관련해 식품분야에 다소 집중되나 중장기적으로는 고부가가치를 가진 산업군이 주목받을 전망

 

  ㅇ 조성 및 계획 중인 3개 특별경제구역의 순차적인 완공과 함께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가 증대될 전망

    - 일반적으로 카타르는 외국인 투자자에 대해 49%의 지분 제한을 두고 있어 외국인 투자유치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했으나, 정부의 제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특별경제구역 입주기업에 대해 100% 소유권을 제공할 예정임.



자료원: 주요 일간지(Qatar Tribune, Gulf Times, Peninsula), 개발계획통계부(MDPS),  카타르 상공회의소(Qatar Chamber), KOTRA 도하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타르, 제조업 현황과 육성 노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