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캄보디아 화장품시장 판매 구도 파헤치기
  • 트렌드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이직수
  • 2017-10-19
  • 출처 : KOTRA

- 캄보디아, 꾸준한 소득증대로 인한 캄보디아 화장품 시장 성장 유망 -
- 뷰티 클리닉, SNS 미디어 활용 등 제품군 및 타깃층에 따른 시장 맞춤형 마케팅 필수 -

 

 


캄보디아 화장품 시장 현황


  ㅇ 캄보디아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화장품 소비시장의 확대
    - 캄보디아의 꾸준한 경제성장에 따라 국민의 소득수준도 꾸준히 향상됨. 2016년 캄보디아의 1인당 총생산은 1140달러로, 최근 10년간 120%가량 증가함.


캄보디아 1인당 총생산 변화 추이

자료원: The World Bank Data


    - 소득 수준 향상에 따라 화장품 시장의 규모도 점차 확대됨. 캄보디아 내 화장품 수입규모는 2012년 3200만 달러에서 2016년 4300만 달러로 연간 꾸준히 확대되는 추이를 보임.


캄보디아의 화장품 수입동향(HS Code 33 기준)

                                                                                                                                             (단위: 천 달러,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전체

32,064

35,550

53,667

42,038

43,972

태국

20,786

21,082

31,447

27,250

31,003

중국

1,544

1,721

4,690

3,201

3,734

인도네시아

1,221

1,268

2,154

2,087

3,732

베트남

2,025

2,651

3,374

2,003

1,876

말레이시아

461

734

2,484

1,686

1,267

한국 

193

147

606

386

825

자료원: ITC Trade Map


    - 캄보디아의 인구는 주로 젊은 층이 두터운 종형이며, 인구증가율은 2016년 1.6%임. 때문에 미래 신규 유망 소비시장으로써 성장 가능성 다대


2016년 캄보디아 및 주변국 연간 인구성장률

국가

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구성장률(%)

1.6

0.9

1.1

1.6

0.3

자료원: The World Bank Group Data


  ㅇ 외국 브랜드가 독점적 위치
    - 제조기반이 거의 전무한 시장의 특성상, 화장품을 포함한 대부분의 제조품은 주변국으로부터 수입
    - 인근 국가인 태국, 베트남에서 수입량이 가장 높으며, 2014년을 기준으로 본격적으로 중국으로부터의 수입량도 급증함. 한국 화장품은 수입량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2014년부터 전년대비 2배 이상 화장품 수입량 증가
    - 2016년 한국 화장품 제품의 수입량은 전체 화장품 수입국가 중 6위(1위 태국, 2위 중국, ITC Trade Map 2016)를 차지함. 단, 통관절차 관세 등의 요인으로 한국 제품을 태국이나 베트남에서 구입해 오는 경우도 많아 실제 시장에서의 한국 화장품 제품 사용량은 통계상의 수입량보다 클 것으로 예상


□ 캄보디아 화장품 시장 판매구조


  ㅇ 화장품 시장 규모 확대에 따라 프랜차이즈, 뷰티 클리닉, 도소매 등 다양한 유통 및 판매구조 생성 
    - 구조마다의 타깃층, 주요 취급 품목군, 품목의 가격 등이 상이함. 도시화 발달이 더딘 지방의 경우 개인 소매업체가 성행함. 수도인 프놈펜 시내에는 이온몰(Aeon Mall), 팍슨몰(Parkson Mall) 등의 대형 쇼핑몰과 다양한 크기의 쇼핑 지점이 31개에 달함. 


캄보디아 화장품 판매 구조 및 특징

자료원: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체 제작(아이콘 출처: Flaticon.com)


  ㅇ 인지도가 높은 글로벌 브랜드를 중심으로 프랜차이즈점 및 브랜드관 급증
    - 글로벌 브랜드와 대기업 브랜드의 경우 현지 지점을 개설하거나 프랜차이즈 방식으로 캄보디아 시장 진출
    - 기본 3년에서 7년을 기준으로, 프랜차이즈 마스터플랜(Franchise Master plan) 계약을 통해 브랜드별로 연 20만~3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함. 제품군 및 가격대가 다양하고 주로 젊은 20, 30대 여성 고객층을 겨냥함.

        

프놈펜 City Mall 내 The Faceshop 매장

 

시엠립 내 Nature Republic 매장

 

자료원: 구글 이미지


  ㅇ 피부관리 뷰티 클리닉도 주요 판매 경로로 부상
    - 스킨케어, 트러블케어 등의 시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뷰티 클리닉 등에서 고가의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하고, 매장 내 제품을 비치하여 이용 고객 대상으로 판매함. MEGABELLE, DERMA CARE 등 프놈펜 도심 내 외국인, 중·상류층을 겨냥한 뷰티 클리닉 브랜드가 각 2~4개의 지점을 운영 중


프놈펜 Megabelle Beauty Clinic


프놈펜 Derma Care Clinic


 자료원: Megabelle Clinic, Derma Care Clinic 홈페이지


  ㅇ 개인운영의 오프라인 매장 및 지방지역은 도매상을 통해 제품 구매
    - 개인운영의 소규모 판매대(주로 지방에 분포)의 경우, 도매상으로 통해 다양한 제품군을 구입해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함. 주로 중저가 제품 수요가 높고 소매상에 따라 국가별 혹은 기능별로 취급하는 품목에 집중하는 것이 특징
    - 중소기업 브랜드를 대상으로 총 판권 수요가 높으며 한국의 동대문, 남대문 도매시장과 유사한 형태의 도매시장 형성(Soryan Shopping Center, Steung Mean Chey Market 등)


프놈펜 스덩민제이마켓(Steung Mean Chey Market)

자료원: 구글 이미지


□ SNS 뷰티 인플루엔서(Beauty Influencer)의 시장 도래


  ㅇ SNS 사용자 확대됨에 따라 페이스북 등을 통해 직접 거래하는 새로운 판매 구조 형성
    - 2016년 1월 기준으로 캄보디아 내 페이스북 사용자는 약 300만 명으로 추정됨. 캄보디아 내 스마트폰 보급률은 60%에 이르며 무선 인터넷 품질이 주변국보다 우수함. 대표적인 포털사이트보다는 주로 네트워킹 목적의 SNS 사용이 확대 중이며, 특히 새로운 정보 획득 방법으로 신문이나 잡지보다 SNS 선호
    - SNS를 활용해 화장품 등의 생활 소비재에서 부동산까지, 메신저나 댓글을 통해 물건을 판매하거나 홍보하는 계정이 많은 이용자들 사이에서 성행함.


캄보디아 대표 직거래, 홍보용 페이스북 페이지

자료원: Facebook.com


  ㅇ 화장품을 직접 사용하며 후기 공유 및 사용 제품을 직접 판매하는 '뷰티 인플루엔서(Beauty Influencer)'가 캄보디아에서도 급증
    - 운영자는 대부분 젋은 20~30대 여성으로, 화장품 제품을 직접 사용한 후기를 공유해 공감대 및 신뢰도를 구축함. 인기 있는 페이지의 경우 2만~4만 명 정도의 팔로워(Follower) 보유
    - 직접 주문을 받고 판매하거나 오프라인 매장을 별도로 운영하며 SNS 계정을 마케팅 도구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 캄보디아 뷰티시장 내 새로운 판매 경로로 부상


캄보디아의 많은 여성 뷰티 계정이 직접 제품을 시용, 판매

자료원: Facebook.com


□ 진출전략 및 시사점


  ㅇ 제품군, 타깃층에 따른 시장 포지셔닝(Positioning) 전략화 필요
    - 제품군의 가격대, 목표 소비층에 따른 시장 맞춤형 현지화 전략이 필수
    - 진출 초기 단계, 혹은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기업이나 제품의 경우 프랜차이즈 방식의 직접 진출 방식보다는 도매상, 클리닉 등 기존 고객층이 두터운 중간 판매자를 통한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현지 파트너십 형성이 중요


  ㅇ SNS 뷰티 블로거, 인플루엔서를 통한 시장 접근 방법 고려
    - 뷰티 SNS 계정 운영자에게 직접 화장품을 시용하고 후기를 공유하는 등의 홍보 방법은 낮은 비용으로 단기간 내에 브랜드 입지 제고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
    - 운영진을 대상으로 국내 유망 뷰티 블로거를 초청한 뷰티 계정 운영 교육 등 CSR 형태의 시장 접근을 통한 시장 진출 도모


  ㅇ 온라인 결제수단의 발전에 따른 화장품 온라인 시장 진출 방법 고려
    -  최근 금융제도의 안정화, 온라인 결제방식이 캄보디아 내 진출함에 따라 화장품 구매 시 결제수단으로 활용될 여지가 높아짐(Pay pal, Pi Pay 애플리케이션 등).
    - 이에 따라 캄보디아 현지의 화장품 시장 진출 고려 시, 온라인 결제 수단 병행해 전략화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The World Bank Data, ITC Trade Map, The World Bank Group Data, Flaticon.com, 구글 이미지, Megabelle Clinic, Derma Care Clinic 홈페이지, Facebook.com,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캄보디아 화장품시장 판매 구도 파헤치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