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러시아 농업기계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 트렌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17-09-28
  • 출처 : KOTRA

- 2020년 러시아 농업기술 발전전략 수립으로 현지산 비중 점차 증가 -

- 러시아 정부 지원 프로그램 활용, 리스(대여) 회사 및 기술협력 현지생산 진출 유망 -

 

 


□ 러시아 농업기계 시장현황

 

  ㅇ 러시아는 2010년 식품 안전 독트린을 창시하면서 농산물 생산 효율성 제고에 나섬.

    - 식품안전 독트린 실현을 위해 농업기계 현대화가 가장 우선적으로 제시됨.  


  ㅇ 농업기계현대화는 산업전략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50% 이상의 기계가 10년 이상 노후     

    - 2005년 기준 러시아는 1000ha당 트랙터는 5.5, 콤바인은 4개 수준이었으나 2015년 기준으로 해 트랙터는 3.3, 콤바인은 2개 수준으로 감소

 

  ㅇ 2011 '2020 러시아 농업기술 발전전략'이 수립되면서 농공단지 설립 추진은 확대됨.

    - '2020 농업기술 발전전략'은 제조업 육성의 일환

    - 러시아 농업기계 생산의 산업비중은 GDP 0.1% 수준이며 러시아 자국산 농업기계 비중은 30~40% 수준으로 파악

 

  ㅇ 러시아 현지 생산 농업기계 중 트랙터와 곡물수확기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입산 대비 현지 생산기계 점유율도 점차 증가 추세

    - 러시아는2020년까지 연간 49100대의 트랙터와 12000대의 곡물수확기계 생산이 목표임. 해당 목표가 달성된다면 러시아산 농기계 시장 비중은 60% 이상임.

  

□ 러시아 트랙터 시장현황

 

  ㅇ 2016년 러시아 트랙터 시장은 전년대비 23% 감소

    - 2016년 기준 러시아 시장에서 거래된 트랙터 수는 2800대이며, 이 중 러시아 현지 생산 트랙터는 2854대임.

    - 현지생산 트랙터 거래는 전체 시장 감소에도 10.4% 증가한 수준이며 시장점유율도 9.6%에서 13.7%로 많이 증가

 

러시아 트랙터 시장구조

external_image

자료원: Agroinfo

 

  ㅇ 러시아의 트랙터 수입국은 벨라루스와 카자흐스탄이 큰 비중을 차지하나 시장점유율은 낮아짐.

    - 2016년 러시아 수입 트랙터 중 벨라루스와 카자흐스탄산이 39.3%의 시장점유율을 보였으나 해당 점유율은 전년대비 32.1% 감소한 것임.

 

러시아 트랙터 시장 최근 동향(단위: 대, %)

분류

2015

비중

2016

비중

증감률('16/'15)

현지생산 트랙터

6,419

23.7

6,801

32.6

6.0

수입트랙터(벨라루스산, 카자흐스탄산)

12,024

44.5

8,170

39.3

-32.1

수입트랙터(기타 지역)

8,605

31.8

5,844

28.1

-32.1

합계

27,048

100

20,815

100

-23

자료원: Agroinfo


러시아 생산 트랙터

external_image

노후된 러시아 현지 트랙터

external_image

최근 생산된 러시아 트랙터

자료원: 구글 이미지


□ 러시아 곡물수확기계 (콤바인) 시장현황

 

  ㅇ 2016년 기준 러시아 곡물수확기계 시장규모는 6340대 수준으로 전년대비 24.6% 증가

    - 곡물수확기계의 경우 러시아 현지 생산기계 비중이 매우 큰 편임. 2016년 기준 현지산 시장비중은 71.4%를 기록, 전년대비 33.4% 증가

    - 2016년 기준, 러시아 곡물수확기계 생산규모는 전년대비 40.9% 증가

    · 주요 기업 Rostselmash 생산량은 전년대비 35.1%가 증가했으며 CLAAS의 경우도 전년대비 2.8배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

 

  ㅇ 곡물수확기계의 러시아 수입 비중은 약 10% 수준(2015년 기준)이었으며 2016년에는 더욱 감소해 3.4% 수준에 불과

    - 곡물수확기계의 주요 수입국은 벨라루스임.

 

러시아 곡물수확기계 시장구조

external_image

자료원: Agroinfo

 

러시아 곡물수확기계 시장 최근 동향 (단위: 대, %)

구분

2015

비중

2016

비중

증감률('16/'15)

현지산

4,590

90.2

6,124

96.6

33.4

수입산(벨라루스)

411

8,1

97

1.5

-76.4

수입산(기타 지역)

87

1.7

119

1.9

36.8

총계

5,088

100

6,340

100

24.6

자료원: Agroinfo


러시아산 곡물수확기계

external_image

노후된 러시아 현지 콤바인

external_image

최근 생산된 러시아 콤바인

자료원: 구글 이미지

 

□ 수출입동향

 

  ㅇ 2016년 기준 러시아 트랙터 수출은 전년대비 8.6% 증가한 7785대 수준

    - 러시아 트랙터 수출기업은 ChTZ-UralTraK, Petersburg Tractor Plant, MTZ-ELAZ, Buzuluk Mechanical Plant, Spetsstroymash, Cherepovets Foundry-Mechanical Plant, Sienakechkamaz-Industry 등임.


러시아 트랙터 수출기업

기업명

주요 수출국

각 기업 생산대비 수출비중(%)

Promtractor Cheboksary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이란, 방글라데시 등

13

ChTZ-UralTraK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몰도바, 키르기스스탄,

아르메니아, 몽골, 베트남

8

Petersburg Tractor Plant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몰도바, 키르기스스탄, 리투아니아,

프랑스, 영국, 체코, 헝가리, 캐나다, 호주

7.6

Buzuluk Mechanical Plant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32.5

Rostselmash

(Combine Plant)

카자흐스탄

6.5

CLAAS

카자흐스탄

0.4

Tractor Uralets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5

DST Ural

벨라루스, 우즈베키스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10.4

SAME DEUTZ-FAHR

(NGO Mehinsrument)

몰도바

1.8

Cherepovets Foundry and

Mechanical Plant

우크라이나, 그루지아

0.4

SAREX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4.5

Onega Tractor Plant

우크라이나

20

PTZ(Altai)

아브하즈

1.4

자료원: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체 조사


  ㅇ 러시아 트랙터 수입은 연간 2억~3억 달러 규모이며 벨라루스 수입비중이 50% 이상

    - 2015년은 전년대비 20%이상 감소했다가 2016년부터 회복 중이며 독일과 미국 트랙터 수출이 크게 증가 중

    - 국가별, 기업별로는 Weifang Guihua agricultural equipment(중국)1위임. John Deere(미국), Yanmar(일본) 브랜드 등도 인지도가 높음.


러시아 트랙터 수입동향(HS Code 870190)external_image

자료원: TradeMap


러시아 Top 10 수입 트랙터

순위

기업명, 브랜드명

2016년 수입규모()

국가명

1

Weifang Guihua agricultural equipment

584

중국

2

John Deere

525

미국

3

Yanmar

379

일본

4

Iseki

374

일본

5

Kharkov Tractor Plant

333

우크라이나

6

Kubota

277

일본

7

Mitsubishi

273

일본

8

Shandong luwei agriculture equipment

245

중국

9

Tractor

224

중국

10

MTD Hungary KFT

215

미국

자료원: Agroinfo

 

□ 전망 및 시사점

 

  ㅇ 러시아 농업기계 시장은 현지 생산 및 수출입 모두 2016년부터 회복하면서 2017년은 2014년 이전 기준으로 시장규모가 성장할 전망

    - 2017년 상반기 기준해 러시아 농업기계 거래량은 전년동기대비 26.1% 증가

 

  ㅇ 러시아 농업기계 시장 성장 대비 정부 지원이 감소될 전망으로 기술 협력 및 외국인 투자유치활동이 활발해질 전망

    - 러시아는 농업기계 현대화 프로그램인 No.1432에 의거함. 정부 지원예산이 매년 변경되나 평균적으로 2020년까지 연간 3억 달러 정도가 예산에 반영돼야만 프로그램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

 

  ㅇ 러시아 정부 주도 농업기계 기술혁신 및 기계제조 현지화 프로그램이 매년 추가되고 있으나, 농업기계 노후화 속도를 따를 수 없어 당분간 수입에 의존 가능성이 높음.

    - 2015년 러시아 농업기계 현대화 일환으로 러시아 정부는 Rosagroleasing 사에 20억 루블( 3000만 달러)를 지원하면서 농기계 대여 프로그램을 실행토록 한 바 있어 기계대여점 공략도 유망분야로 부각될 전망

 


자료원: 러시아 농업분야 정보사이트(http://agroinfo.com, http://dcenter.hse.ru, www.vestifinance.ru, http://kvedomosti.ru), TradeMap,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러시아 농업기계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