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에서 승승장구하는 유럽기업의 성공비결
  • 트렌드
  • 인도
  • 뭄바이무역관 오현승
  • 2017-09-20
  • 출처 : KOTRA

- 3가지 성공요인은 과감한 투자, 영업네트워크 확보, 적기 진출 타이밍 포착 -

 

 


□ 과감한 투자를 통한 시장 선점

 

  ㅇ 자동차부품 건자재 전문기업 보쉬는 인도에 Bosch Limited 자회사를 설립자동차 제품과 비자동차 제품(산업기기, 소비재) 두 가지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해 2016년 총매출규모가 약 16억 달러에 달함.

 

  ㅇ 특히 인도 자동차 시장의 높은 성장률에 힘입어 자동차산업 분야의 매출이 총매출에서 91%가량을 차지, 대부분의 매출도 인도 내수 위주로 이루어짐.

 

  ㅇ 보쉬는 안전기술 개선, 연료 경제성 확립, 인도 국내 개발네트워크 확대를 위해 220억 루피 규모의 과감한 투자를 진행해 현재 인도 내 1000여 곳에 달하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보유하며, 5000여 곳의 판매점과 4000여 곳의 인증대리점을 구축하는 데 성공함.

 

보쉬그룹의 인도 내 사업 현황

Automotive Tehnology

Industrial Technology

Consumer Good & Building Technology

Gasoline Systems

Diesel Systems

Chassis Systems Control

Electrical Drives

Starter Motors & Generators

Car Multimedia

Automotive Electronics

Automotive Aftermarket

Steering Systems

Automation Technology

Packaging Technology

Power Tools

Thermotechnology

Household Appliances

Security Systems

자료원: Indian Institute of management bangalore

 

□ 전략적 제휴를 통한 영업 네트워크를 확보

 

  ㅇ 이탈리아 농업기계 메이커 마스키오 가스파르도(Maschio Gaspardo)는 세계 100개국 이상의 시장에 진출, 연간 35000대 이상의 농업 기계를 판매하고 있으며, 종업원 수 약 800명의 중견기업 규모에도 신흥국 중심의 시장 개척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 주목을 받고 있음.


  ㅇ 특히 국별로 차별화된 진입 전략을 채택하는데 러시아의 경우 수주 생산, 인도의 경우 현지기업과 업무 제휴를 통해 현지화에 성공하고 있음.

 

  ㅇ 농업기계의 경우 지역별 토양과 농장 규모, 농법 등의 상이하기 때문에 사용해야 하는 기계도 다 달라야 하는데, 마스키오의 경우 표준사양의 기계라고 하더라도 사이즈, 파워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어 지역별 특성에 맞게 차별화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

 

  ㅇ 1960년대부터 수출을 시작해 현재 매출의 약 70%가 해외시장에서 발생하는 특징이 있으며, 주요 수출지역은 구주지역이 약 45%, 러시아 등 구 공산권 국가가 8%, 북미 5%, 나머지는 신흥국 시장에서 발생하고 있음.


주요국의 밀 생산현황 및 전망(단위: kt)

구분

2012

2013

2014

2022

중국

120,580

120,665

121,258

127,106

인도

94,880

88,438

92,258

111,829

미국

61,753

59,595

57,477

56,722

러시아

39,000

54,325

55,899

66,220

자료원: 마스키오 내부 발표자료

 

  ㅇ 전 세계를 대상으로 약 100개국 이상의 영업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으며 판매뿐 아니라 부품 교환 서비스, 기술 지원에 이르기까지 토털서비스 지원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인데, 이를 바탕으로 신흥국 중에서 러시아와 인도를 중심으로 활발한 진출을 전개하고 있음.

 

  ㅇ 인도의 경우 딜러(판매대리점)를 통해 제품을 판매하고 2010년 세계 최대의 트랙터 생산 메이커 중 하나인 마힌드라&마힌드라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해 각자 생산한 제품을 인도 시장에 공급함으로써 인도 농업의 생산성 향상, 농업기계의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

    - 본 제휴를 통해서 2011년부터 마스키오는 제초기계 1만 대를 납품하는 것을 계기로 OEM 공급을 개시하고, 마힌드라는 판매와 마케팅을 담당하며 이를 위한 프로젝트 팀이 별도로 운영됨.


마스키오와 마힌드라의 업무 협정식 체결 모습

EMB000005b05f36

자료원: Motown India

 

□ 지적재산권 분쟁에도 파트너 발굴을 통한 영업 네트워크 확대 추진

 

  ㅇ 프랑스의 세계적인 식품회사 다농(Danone)은 1992 Wadia와 제휴, 인도 비스켓 최대 회사 브리타니아 인더스트리에 간접출자하는 방식으로 인도시장에 진출했으나 와이다 그룹과 상표권 분쟁에 휘말리면서 2009년 결별함.

 

  ㅇ 따라서 독립적인 인도 진출은 2009년부터로, 에비앙과 같은 미네랄워터 수입 유통에 그치지 않고 초코스무디(Choco Plus), 요구르트(Danone Dahi), 특히 마하라슈트라주의 뭄바이와 푸네 지역을 중심으로 과일맛 요구르트(딸기, 망고, 바닐라)를 출시함.

    - 인도의 요쿠르트 소비 규모는 1인당 0.5kg으로 유럽인 평균 30kg에 비해 매우 적은 수준이나 요쿠르트 판매량의 경우 아시아 지역의 전체 판매 규모인 1255만 병의 0.5% 수준에 불과하지만 꾸준한 성장세를 보임.

    - 그러나 다농은 이러한 점 때문에 오히려 요쿠트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우유가격이 최근 더욱 비싸지고 있어(2007년 이후 55% 이상 가격 상승) 대용품으로 요쿠르트 수요가 더욱 늘 것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뭄바이와 푸네를 중심으로 시장점유율을 최대 20%까지 늘릴 계획임.

 

  ㅇ 요구르트뿐 아니라 인도가 세계 제일의 신생아 출산대국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영유아 식품 진출을 확대하는 한편, 인도에 당뇨병 환자가 많다는 점에 주목( 6000만 명이 당뇨병 환자로 인구 기준으로 볼 때 세계 최고 수준) 메디컬 드링크 제품 Protinex를 출시함.


  ㅇ 뿐만 아니라 인도에 아직 부족한 저온배송시스템 구축도 함께 추진하고 있음.

 

인도에 진출한 다농의 제품 카테고리

EMB000005b05f37

자료원: Google

 

□ 신흥국 건설 수요에 주목하여 적기에 시멘트 생산 공장을 설립


  ㅇ 프랑스가 자랑하는 세계 최대의 건설자재 메이커 라파지(Lafarge) 78개국에서 시멘트, 골재, 콘크리트, 석재 등 사업을 전개함.  현재 Nirma Limited 그룹에 속해 있으며, 2017 Nuvoco Vistas Corp Ltd로 사명을 변경함.

    - Nirma Limted는 약 1만8000명의 종업원을 보유, 연간 약 10억7600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고 있음.

 

  ㅇ 시멘트는 1970년대 유럽, 80년대 미국, 90년대 아시아에서 집중적으로 발달해왔으며 현재는 지역별로 중소규모의 시멘트 메이커가 시장을 독점하고 있음.

 

  ㅇ 라파지는 시멘트 제품을 중심으로 신흥국 시장 진출을 활발하게 전개하는데, 그 가장 큰 이유로는 선진국의 경우 시멘트 수요가 이미 정체돼 있는데 비해 신흥국의 경우 신규 수요가 대폭적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임.

    - 라파지의 경우 매출액의 50%가 신흥국에서 발생하며, 특히 리먼쇼크 이후 영업이익의 60% 이상이 신흥국 시장에서 발생

 

  ㅇ 라파지의 인도 진출은 타타 스틸의 시멘트 사업을 인수한 것을 계기로 1999년 자회사 라파지 인디아를 설립, 2001년 레이몬드를 인수 인도에 시멘트 공장을 운영, 현재 연간 생산능력은 약 740만 톤, 향후 1200만 톤까지 생산능력 확대를 적극 검토하고 있음.


인도 주요 시멘트 제조업체별 생산량 현황(2015년)

(단위: 백만 톤)

구분

Ultratech

+Jaypee

Lafarge

Nirma

Shree

Cement

Dalmia

Bharat

India

Cement

생산량

91

81

25.6

25

15.5

자료원: Times of India 2016 12

 

  ㅇ 인도 시멘트 시장의 호조 요인은 주택산업, 도로건설, 항만 및 공항 등 인프라 수요를 중심으로 꾸준한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는 점으로 인도 정부에서도 시멘트 회사의 유치에 적극적이며, 관련 분야의 M&A를 통한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정책도 채택하고 있음.

    - 인도는 주요 시멘트 메이커 27개사의 136개 공장, 기타 365개 중소규모 공장이 있으며, 대형 시멘트 공장이 전체 94%를 점하고 있음.


TV 광고 중인 라파지의 시멘트

EMB000005b05f38

주: 인도의 중소도시와 시골농촌에서는 시멘트의 개인 구매비율도 높기 때문에 TV 시멘트 광고가 많다는 특징이 있음.

자료원: 유투브 영상 캡처

 

  ㅇ 인도에서 라파지의 성공 전략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볼 수 있음. 우선 인도 전역을 커버하는 생산거점을 구축한 것으로 현재 차티스가르, 서벵갈 등 4군데의 생산거점을 중심으로 약 740만 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하는 한편, 안정적인 공급 물류 시스템을 확보하는데 성공함.

 

  ㅇ 또한 연구개발에 있어서도 프랑스 본사 이외에 인도 최초의 R&D센 터를 설립, 인도공과대학과 공동으로 콘크리트 제품 내구성 등 실증실험을 위한 설비를 도입함. 라파지 관계자는 경제 성장에 따라 시멘트 수요도 함께 증가할 뿐 아니라 환경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인도 R&D 거점의 설치 목적이 있다고 말하는데, 이는 신흥국 시장 진출에 있어 단순 생산 능력뿐 아니라 높은 수준의 엔지니어링 능력과 기술을 보유한 인력 확보도 중요함을 의미함.


□ 시사점

 

  ㅇ 인도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것으로 평가받는 유럽 기업들은 과감한 투자, 폭 넓은 영업망 구축 및 적기 진출 전략을 통해 인도 시장 진입에 성공

 

  ㅇ 특히 영업망 구축을 위해서 현지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마케팅 활동을 분담하는 점은 기업의 모든 활동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하고 싶어 하는 우리 기업의 진출 방식과 차별화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음.

 

  ㅇ 예를 들어 다농의 경우 와이다 그룹과 제휴가 상표권 분쟁으로 손해를 입었음에도 일본 야쿠르트와 제휴 계속해서 추진한 점은 주목해볼 필요가 있음.

    - 일본 기업의 경우도 전통적으로 제품 생산에서 판매, AS에 이르기까지 수직적 통합을 통한 시장 진입으로 성공해왔음에도 인도 시장 진입 시에 있어 합작투자와 제휴 방식 비율이 높다는 점도 함께 눈여겨볼 필요가 있음.

 

  ㅇ 또한 인도에 적기에 시멘트 생산 공장을 설립해 성공한 라피지의 사례는 타이밍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시켜주는 모범 사례라 할 수 있음.

    - 현재 인도의 시멘트 생산업체는 카르텔 비슷한 연합체가 구성돼 지역별로 시멘트 시장을 과점하고 있어 신규 기업이 쉽게 진입하기 어려운 진입 장벽이 존재함.


 

자료원기업별 연차보고서,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체 조사, 인터뷰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에서 승승장구하는 유럽기업의 성공비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