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美 의류·신발 업계에서 찾는 우리 기업의 기회
  • 트렌드
  • 미국
  • 뉴욕무역관 김동그라미
  • 2017-06-19
  • 출처 : KOTRA

- 스포츠웨어 및 패스트패션이 주도 -

- 'Made in USA' 열풍, 한국 섬유 시장의 기회로 전환해야 -

 

 

 

□ 미국 의류 및 신발 산업 동향


  ㅇ 최근 5년간 미국 의류 및 신발 시장 완만한 성장세 지속

    - 지난해 미국의 의류 및 신발 시장 매출액은 35337190만 달러로 5년 전인 2011년 대비 14% 증가했으며, 2011~2016년 연평균 성장률은 2.7%임.

    - 금융위기 이후 미국 경기 확장세로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왔으나 최근 몇 년간 성장세가 완만해 지는 형상을 보임.

    - 2011~2016년 품목별 연평균 성장률을 살펴보면 일반의류가 2.2%, 신발이 4.2%, 스포츠의류가 7.0%로 조사됐음.

    - 일반의류가 전체 의류 및 신발 성장률을 밑돈 것에 반해 스포츠의류는 7.0%로 비교적 큰 폭의 성장률을 기록함.

 

  ㅇ 의류 및 신발의 소매산업 지형 변화

    - 패스트패션과 온라인 소매업체의 고속성장과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쇼핑센터를 기반으로 한 의류업체들이 줄줄이 파산하거나 경영난을 겪고 있음.

    - 쇼핑센터를 찾는 이들이 줄어들고, 소비자(특히 10~30대 젊은 층) 소비 패턴이 변화하면서 쇼핑몰 중심의 의류 브랜드(Wet Seals, Dellia’s, Pacific Sunwear, Abercrombie & Fitch, Gap, J.Crew )들이 고전함.

    - 그 외 Macy’s, Kohl’s, Men’s Wearhouse 등 미국의 대형 백화점과 소매점들 역시 매출 감소로 인한 경영난에 직면함.

 

  ㅇ 스포츠웨어 및 패스트패션이 성장 주도

    - 액티브웨어 붐에 따른 스포츠브랜드의 매출 증가가 두드러짐.

    - 운동할 때 뿐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스포츠웨어를 착용하는 애슬레저 트렌드로 운동복 및 신발의 수요가 확대되면서 Nike, adidas, Under Armour 같은 브랜드가 선전함.

    - 소셜미디어 활동이 활발한 소비자의 의류 소비 패턴이 짧아지면서 트렌디하면서 저렴한 패스트패션 브랜드로 소비가 몰리고 있음. 

    - 이에 따라 H&M, Forever 21, Zara 같은 패스트패션 브랜드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

 

  ㅇ 온라인 매출 비중 증가

    - 의류 및 신발의 온라인 매출 비중은 지난 2011년 전체 매출의 8.4%에 불과했으나 2016년에는 15.5%에 달했음.

    - 의류 및 신발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온라인으로 소비가 옮겨가는 가장 대표적인 품목으로 꼽힘.

    - 더 많은 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 제품을 리서치하고 구입하면서, 소매업체들도 홈페이지 및 앱 개편을 통해 더 만족스러운 쇼핑경험을 제공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음.

 

  ㅇ 미국 소비자의 중국 직구

    - 유엔무역개발협의회(UNCTAD)가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미국 소비자가 중국에서 직구한 금액은 308900만 달러였음.

    - 의류 및 신발의 경우 가격과 유행에 민감한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중국 의류 사이트 직구가 늘어나고 있음.

    - 이들 사이트는 영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를 지원하며, 중국에서 직접 주문을 받아 배송하는 시스템으로 배송시간이 일주일에서 길게는 한 달까지 걸리지만 저렴한 가격때문에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음.

    - 페이팔로 간단하게 미국에서도 결제가 가능하며,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미국 소비자들에게 홍보하고 있음.

 

중국 쇼핑몰 Romwe 메인 화면

주: 미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의류 및 신발, 주얼리 등을 판매하는 쇼핑몰

자료원: Romwe

 

□ 시장 변화에 따른 의류 및 신발 업체의 전략 변화

 

  ㅇ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가격 정책 변화

    - 최신 유행의 옷과 신발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패스트패션과 온라인마켓 플레이스의 활성화로 전반적으로 의류 가격이 하락했음.

    - 같은 비용으로 다양한 스타일을 즐기기 원하고, 온라인을 통해 가격을 비교하고 구입을 결정하는 등 소매가격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함.

    - 이에 따라 제품 가격을 낮게 책정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업체들이 등장함.

    - J.Crew의 전 CEO이자 회장인 미키 드렉슬러는 5월 말 WSJ과의 인터뷰에서 J.Crew의 실적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새로운 가격 정책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힘.

    - Analytics team과 협업을 통해 제품의 이상적인 가격을 책정하고, 300여 개 아이템의 가격을 낮춰 소비자 접근성을 더욱 높이겠다는 전략임.

 

  ㅇ 거래처 다변화

    - 의류 생산 및 납품 업체를 여러 국가로 다양하게 확대함으로써 환율 및 정치external_image통상 이슈에 유연하게 대처

    - 특히 중국에 집중돼 있던 생산시설을 여러 국가로 분산시킴으로써 더 나은 조건의 계약을 채결할 수 있고,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패션 트렌드에 맞게 납기일을 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ㅇ 오프라인 매장을 찾은 고객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마케팅 전략  

    - 소비자 요구를 반영한 온라인 매장 개편은 물론, 소셜미디어의 활용 및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전략으로 고객의 쇼핑 경험을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함.

    - 온·오프라인 연계 전략으로는 온라인에서 의류 혹은 신발을 구입한 후 배송비 절감을 위해 오프라인매장에서 픽업할 수 있도록 하거나, 매장 내 재고현황을 웹사이트에서 체크하고, 해당 제품을 일정 시간 홀드하도록 요청한 뒤 매장에 방문해 직접 옷을 입어볼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이 있음.

    - 나이키는 온·오프라인 연계 전략 중 하나로 나이키 앱을 통해 뉴욕시 소호 매장 방문 고객이 매장직원과 일대일 약속을 잡을 수 있도록 했음.

 

바나나리퍼블릭 쇼핑몰 화면

주: 웹사이트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재고를 확인하고 직접 입어볼 수 있도록 예약이 가능함

자료원: 바나나리퍼블릭

 

  ㅇ Made in USA 전략

    - 최근 4~5년 사이 미국 내 의류 제조업계의 리쇼어링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

    - 2013년 방글라데시 봉제공장 붕괴 사고로 인해 의류업계에서도 윤리적 의류 생산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고, 중국의 인건비 상승, 납기일 준수, 의류 생산 자동화 등 다양한 이유로 미국 내 의류 생산이 늘고 있음.

    - 최근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주목받고 있는 미국 우선 주의 정책도 Made in USA 제품 관심도 상승에 한 몫을 했음.

    - 미국에서 생산되는 의류 및 신발, 가방 등은 소규모의 니치브랜드가 주를 이루고 있음. 제품으로는 아웃도어 의류 및 신발, 기능성 의류, 핸드메이드 워커 등으로 다양함.

    - 최근 리쇼어링한 의류 브랜드 Brooks Brothers 측은 포브스와의 인터뷰에서 “4~5주 만에 의류생산을 모두 마칠 수 있다의류 제작, 생산,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다고 미국 내 생산의 장점을 설명함.

    - 또한 미국 내 제품 생산이 훌륭한 마케팅 수단이 되고 있다고 밝힘.

 

□ 시사점

 

  ㅇ 우리 기업들은 유행 및 가격 민감성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해야 함.

    - 합리적인 가격을 내세워 마케팅하는 패스트패션의 특성 때문에, 업체들이 제조가격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어 한국산 섬유 혹은 제품의 가격 경쟁력 제고가 필요함.

    - 가격 경쟁력에서 다소 밀리는 중국산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섬유의 독특한 디자인 개발이 필수적임.

    - 미국 유명 의류 브랜드의 다수 바이어는 한국 섬유의 경쟁력은 중국산이 따라올 수 없는 섬세하고 고품질, 높은 디자인이라고 꼽았음.

    - 이 밖에 천연섬유보다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합성섬유의 수요 증가가 예상됨.

 

  ㅇ 미국서 한국의 웹사이트를 통해 의류나 신발을 구입할 수 있는 한국 직구 시장 확대

    - 온라인을 통해 아시아 지역에서 저렴한 가격에 최신 유행하는 의류 및 신발을 구입하는 미국 소비자들이 있으므로, 한국 온라인 쇼핑 사이트 결제 및 배송 시스템 구축 필요

    - 현재 미국 시장을 겨냥해 사업을 벌이는 중국 의류 직구 사이트를 벤치마킹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음.

 

  ㅇ 의류 및 신발업계의 Made in USA 트렌드를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음.

    - 미국산 제품은 소비자들의 품질 기대감이 높으므로 중국산에 비해 품질 및 디자인이 훌륭한 한국산 섬유가 경쟁력이 있음.

    - 현재 미국 생산 의류 및 신발은 소량 생산하는 틈새브랜드가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한국 섬유업체들은 원단의 최소 판매량을 유연성 있게 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유로모니터, 유엔무역개발협의회, WSJ, 포브스 및 KOTRA 뉴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美 의류·신발 업계에서 찾는 우리 기업의 기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