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김치, 캐나다인의 입맛을 사로잡다
  • 트렌드
  • 캐나다
  • 밴쿠버무역관 최지원
  • 2016-08-05
  • 출처 : KOTRA

 

김치, 캐나다인의 입맛을 사로잡다

- 김치의 세계화에 캐나다도 동참 -

- 현지 입맛도 고려해야-

 

 

 

□ 웰빙 열풍에 힘입어, 김치 인지도 증가

 

 ○ 캐나다는 다수의 이민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민자들을 필두로 음식 문화가 변화 중임.

 

 ○ 최근 한국산 과일 중 딸기·감·귤 등이 현지에 유통되기 시작했으며, 우수한 품질로 각광받고 있음.

  - 한국산 과일이 많은 관심을 받으면서, 한식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음.

 

 ○ 다수의 현지 언론에 김치가 건강식품으로 소개돼 웰빙 열풍과 함께 높은 인기를 얻고 있음.

  - Huffington Post Canada에 의하면 테프(teff), 삼씨(Hemp Seed) 등을 포함한 14개의 슈퍼푸드(Superfood) 중 발효 건강식품으로 김치가 소개됨.

   · 슈퍼푸드란? 체내에서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

 

 ○ 현지 유통망에서 라면, 김, 김치 등의 한국 상품을 찾아볼 수 있음.

  - 중국계 식품 유통망인 T&T, 현지 대형 유통망인 COSTCO에도 김치가 입점됨.

   ·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 및 한국 식품의 인지도가 점차 늘어나면서, 대표적인 한식 중 하나인 김치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사료됨.

 

□ 시장 개요

 

 ○ 캐나다에서 유통되는 김치는 크게 현지 생산, 한국, 중국, 미국산으로 분류됨.

  - 한국산을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현지 생산 김치는 약 30~40%, 중국산 김치는 50~60% 정도 저렴하며, 한국산 김치는 가격경쟁력이 저조한 편

  - 현지 생산 김치는 유통업자가 직접 생산하거나 제조업체의 브랜드로 유통됨.

  - 한국산 제품은 대상FNF사의 종가집, 이킴 등이 있음. (아래 수출실적표 참조)

 

대캐나다 김치 수출실적

            (단위: 천 달러, %)

 

2013

2014

증감률

금액

1,272

1,457

14.5%

전체

89,277

84,033

5.9%

자료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KATI)

 

 ○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소비자용(B2C)의 경우, 현지생산 김치 및 한국산 김치가 주로 유통되며, 식당용(B2B)의 경우 중국산이 독보적임.

  - 아시아계 소비자의 경우 중국산 식품을 기피하며, 주로 식당용으로 유통됨.

 

 ○ 현지 대형 체인점의 소수민족 부분(Ethnic Section)을 점차 늘려가는 추세이며, 그 중 김치도 입점해 있음.

 

 ○ 최근 한식의 관심이 늘어나면서, 현지 소비자가 식당에서 김치를 에피타이저(appetizer) 및 샐러드(Salad)로 접할 기회 증가

  - 현지 소비자들의 입맛을 고려한 ‘매운 김치’가 아닌 ‘달콤한 김치’로 변형돼 판매됨.

   · 현지인의 입맛에 맞게 김치 핫도그, 김치 햄버거, 김치 랩(Wrap) 등 다양한 퓨전 요리가 개발 및 판매됨.

 

□ 수입 현황

 

 ○ 김치는 한국과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음.

 

캐나다 김치 무역수지(HS Code 2005.99 기준)

            (단위: 천 달러)

 

2013

2014

2015

총 수출액

37,247

36,901

33,873

총 수입액

87,552

105,560

114,807

무역수지

-50,305

-68,659

-80,934

자료원: 캐나다 통계청

 

 ○ 캐나다 내 김치는 주로 한국, 중국, 미국에서 수입되고 있으나, 김치 제품에 주어진 HS Code가 없어 정확한 수입 통계는 없음. 김치가 포함된 HS Code 기준으로, 미국이 60%의 점유율을 보임.

  - 연간 수입액: 1억1400만 달러, 전년대비 8.8% 증가

  - 주요 3대 수입국

   · 미국 6600만 달러(수입액 기준 점유율: 58.2%)

   · 스페인 712만 달러(수입액 기준 점유율: 6.2%)

   · 페루 515만 달러(수입액 기준 점유율: 4.2%)

  - 한국은 146만 달러로 캐나다로 수출하는 국가 중 12위를 차지했으며, 전년대비 15.2% 증가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5개국의 수입 동향

 

캐나다 김치류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200599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률

2013

2014

2015

2013

2014

2015

15/14

 

합계

87.55

105.56

114.81

100

100

100

8.76

1

미국

47.45

60.23

66.79

54.19

57.06

58.17

10.89

2

스페인

5.86

5.80

7.12

6.69

5.49

6.21

22.82

3

페루

3.99

4.11

5.15

4.55

3.89

4.49

25.51

4

중국

4.16

4.79

5.06

4.75

4.54

4.41

5.60

5

태국

4.60

4.88

4.07

5.26

4.62

3.55

-16.43

12

한국

1.17

1.27

1.46

1.33

1.20

1.27

13.01

자료원: 캐나다 통계청

 

 ○ 2016년 수입 관세율

   

HS Code

관세율

MFN(최혜국)

KRT(한국)

2005.99.90.69

8%

2.5%

 

  - HS Code 2005.99.90.69 기준. 2017년 이후 관세 철폐 예정

   · HS Code는 김치와 같은 범주에 속하는 조제 또는 저장 처리한 기타 채소임.

 

□ 유통 동향

 

 ○ 소비자용 시장

  - 한인마트뿐만 아니라 현지 대형 유통망인 Walmart, Costco, Safeway 등을 통해 현지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음.

 

 ○ 캐나다 현지 주요 유통채널

  - 한인 식품점의 경우 수입업체가 직접 운영을 하거나 벤더를 통해 운영하며, 현지 대형 유통업체는 주로 전문 벤더로부터 공급받아 판매함.

 

 

 

 

↗ 한인 식품점 

 

제조업체 →

수입업체 및 벤더  →

레스토랑

 

최종 수요처

 

 

 

↘ 대형 유통업체 ↗

 

                                                                                     

 ○ 유통기간

  - 유통기간은 김치가 숙성되기 전 기준으로 표시하며, 현지 대형 유통망 규정상 유통기한 표기일은 최소 6개월 이상임.

 

□ 주요 소비자 및 구매패턴

 

 ○ 현지 교민 및 아시아계

  -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현지 생산 김치를 주로 구입하며, 1~2㎏ 포장된 포기김치가 가장 인기가 높고, 맛김치, 총각김치 등 다양한 종류의 김치를 구입함.

 

 ○ 비아시아계

  - 김치가 현지인에게 알려져 있으나, 1년에 2~3번 정도의 저조한 구매율을 보임.

  - 현지 생산 김치 혹은 한국산 김치를 구입하며, 주로 250g 및 500g 포장 단위의 김치를 구매함.

 

□ 경쟁제품

 

(단위: 캐나다달러)

제조업체 명

사진

가격

중량

생산지

속찬

10.99

2.5㎏

캐나다

서울김치

19.99

4㎏

캐나다

한성

14.99

2㎏

한국

종갓집

19.49

1㎏

한국

자료원: 현지 바이어 인터뷰

 

□ 바이어 등 현지 의견

 

 ○ B사

  - 한국 식품 전문 유통업체이며, 캐나다 전역으로 유통 중임.

  - 현지에 김치를 유통하기 위해서는 캐나다 식약청(Canada Food Inspection Agency) 통관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함. FSS 및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인증을 가진 업체를 선호함.

  - 한국산 김치 제품은 품질이 좋으나, 가격경쟁력이 필요하다고 함.

 

 ○ C사

  - B2B 위주로 유통하는 업체이며, 서부 캐나다 중심으로 운영 중

  - 자사가 직접 김치를 생산 및 유통한 경험이 있으나, 현재는 유통만 함.

  - 현지 및 중국에서 김치를 조달해 유통하고 있으며, 2~3년 전부터 한국산 제품을 유통하려고 했지만, 가격 타협점을 찾지 못해 번번이 실패함.

 

 ○ M사

  - 대형 유통망 벤더 중 하나이며, 김치는 광역 밴쿠버시에 있는 마켓에 납품 중

  - 김치를 서부 전역으로 유통하려 했으나, 타 식품보다 온도 및 보관방법이 까다로워 유통이 제한적임.

  - 현지인에게 냄새가 덜 나고 달콤한 백김치 및 피클과 유사한 오이김치 등이 시장성이 있다고 조언함.

  - 김치의 제한적인 유통기간 때문에, 작은 용기 단위로 판매하는 것을 선호함.

 

□ 시사점

 

 ○ 인증 및 식품 표기법 숙지

  -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FDA, 유기농 인증(USDA Organic), 할랄(Halal) 등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인증 취득 업체 선호

   · 유기농 인증의 경우, 2012년부터 미국의 USDA를 캐나다에서도 사용 가능

 

미국 유기농 인증 마크

자료원: 미국 농무부

 

  - 수출 전, 캐나다 식약청(CFIA)에서 규정하는 라벨링 및 알레르기 표기법 준수 필요

   · 국내 M사의 경우, 현지 바이어와 수출 거래가 성사될 뻔 했지만, 현지 라벨링 및 인증 절차를 인지하지 못해 실질적인 구매로 이어지지 못함.

   · 2011년 국내 D사의 경우, 김치 및 고들빼기 제품을 CFIA로부터 구매금지 경고 및 리콜 명령을 받음. 제품상 문제는 없었지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생선, 새우, 참깨 등의 재료를 캐나다 식품당국이 정한 식품 표기법을 따르지 않아 발생한 사건임.

 

 ○ 전시회 참가 및 마케팅 활동을 통해 네트워크 확장

  - 식품 관련 전시회 참가, 현지 유통망을 통한 제품 홍보 및 샘플 시식 이벤트가 필요

   · 캐나다 서부에서 매년 2000여 명이 방문하는 Grocery and Specialty Food West 2016가 대표적

   · B2B 시장 공략 시, 샘플 제공이 매우 효과적

 

 ○ 교포 및 현지인의 특색을 고려한 마케팅이 필요함.

  - 교포들은 국내 유명 브랜드 제품을 선호하기 때문에 인지도가 낮은 제품은 중저가 시장을 타깃해야 함.

   · 현지 한인들에게는 연예인 및 기타 캐릭터 상품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음.

   · 교포 및 아시아계의 경우, 김치를 쌀밥과 육류와 함께 섭취를 하며, 매콤한 맛과 칼칼한 맛을 선호함.

  - 현지인의 경우, 가격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며,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제품을 구입함.

   · 비아시아계 경우, 비린 맛을 꺼리며 김치를 샐러드(salad)처럼 먹을 수 있게 달콤한 맛 또는 깔끔한 맛으로 생산해 접근해야 함.

   · 현지인에게 김치의 맛을 보여줄 수 있는 시식행사 활동도 진행해야 함.

 

 ○ 운송방법 및 차별화된 포장기술 개발 고려해볼 만함.

  - 김치의 평균 운반기간은 3주에서 한 달이 소요되며, 현지에서 생산되는 김치에 비해 쉽게 맛이 변형될 확률이 높음.

   · 맛의 변형 및 김치가 숙성되는 기간을 더 늘리기 위해 독자적인 포장기술 및 운송법이 필요함.

  - 현지 바이어들에 따르면, 김치의 냄새 및 보관방법이 까다로워 타 식품 제품과 분리해 보관함.

   · 김치를 냉장식품으로만 취급할 것이 아니라, 냉동해 운송하는 것도 고려해야 함.

   · 냉동 보관 시, 유통기한이 늘어나고 서부 전역에 유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자료원: 캐나다 통계청, 바이어 인터뷰, KAIT, 미국 농무부 및 KOTRA 밴쿠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김치, 캐나다인의 입맛을 사로잡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