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13억 인도시장에 몰려드는 중국 스마트폰 공룡들
  • 트렌드
  • 인도
  • 뉴델리무역관 임성식
  • 2016-05-26
  • 출처 : KOTRA

 

13억 인도 시장에 몰려드는 중국 스마트폰 공룡들

- 2015년 기준 시장점유율 22%, 전년대비 7% 상승 -

- 4G/LTE를 지원하는 저가 스마트폰에 주력. 추락하는 인도 토종기업들 -

 

 

 

□ 급격한 성장을 거듭하는 인도 스마트폰 시장

 

 ○ 증가하는 인도 내 스마트폰 판매량

  - 인도 내 스마트폰 판매량은 2015년 기준 6760만 대로, 전년대비 24% 증가함.

  - 이에 반해 피처폰 판매량은 2015년 기준 1억400만 대를 기록해, 전년대비 29% 감소

 

인도 연도별 스마트폰 판매대수·판매액

 (단위: 천 대, 십억 루피)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판매대수

6,350

11,202

16,198

44,009

54,328

67,609

판매액

88.4

153.7

195.8

451.8

524.2

626.7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International)

 

 ○ 인도 휴대폰 보급률

  - 인도 내 스마트폰 보급률은 2015년 기준 약 39%를 기록함.

  - 인도 인구의 약 65%가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데, 농촌 지역의 휴대폰(피처폰, 스마트폰) 보급률은 2015년 기준 단 40%를 기록하고 있음.

  - 유로모니터는 인도 스마트폰 시장이 2020년까지 연평균 8%의 성장을 거듭해 판매량이 2억520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

 

□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인도 진출

 

 ○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이 인도시장 진출에 집중하는 이유 - 왜 인도인가?

  - 중국 내 스마트폰 시장 경쟁이 격화돼 넥스트 샤오미로 평가되던 다커러사가 올해 3월 폐업하는 등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름.

   · 중국 내 스마트폰 판매는 2011년 1억2000만 대에서 2012년 2억8000만 대, 2013년 4억 대로 증가함. 그러나 2014년 4억4000만 대에서 2015년 4억7000만 대로 성장률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고, 2016년에는 0%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 중국 업체들은 해외진출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으나, 스마트폰의 주요 수요처인 북미, 유럽지역의 경우, 특허침해 문제로 진출에 한계가 있음.

  - 이에, 특허 관련 규제가 적고 상대적으로 저가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돼 있는 인도를 화웨이, 샤오미, 비보(Vivo), 러에코(LeEco) 등 중국 업체들이 중점적으로 진출 시도

 

  인도 소비자의 니즈 저격 - 저렴한 가격에 4G 시대를 내 손 안에

  - 2015년 인도에서 4G 시대가 열린 뒤, 4G/LTE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찾는 소비자들이 증가. 중국 업체들은 저렴한 가격의 4G/LTE 호환이 가능한 스마트폰 홍보·판매에 집중

   · 2015년 기준, 인도로 수입되는 스마트폰 3대 중 2대가 4G/LTE를 지원하는 제품이었음.

  - 2015년 인도로 수입되는 스마트폰의 3대 중 2대가 4G/LTE 지원 제품이며, 비보(Vivo), 레노버(Lenovo), 오포(Oppo), 샤오미(Xiaomi) 등 주요 중국 스마트폰 업체의 대인도 수출액은 전년대비 각각 759%, 344%, 184%, 58% 증가

 

중국 샤오미 스마트폰 광고 사례

 

자료원: 샤오미(Xiaomi), Airtel사

 

 ○ 인도 소비자 맞춤형 판매전략 - 온라인 마케팅 바람을 타고

  - 최근 인도 유통시장의 Cash on Delivery(인도 시 현금결제) 방식을 접합한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음.

  - 2015년 판매된 스마트폰 3대 중 1대가 온라인 유통망을 통해 거래될 정도로 온라인을 통한 스마트폰 구매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아이폰6의 경우 온라인 판매량이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판매보다 많았음.

  - 중국 업체들은 유통 인프라 구축비용이 덜 드는 온라인 매장을 통한 제품 판매에 집중

   · 샤오미(Xiaomi)사는 인도 유명 전자상거래 업체인 Flipkart를 통해 Redmi Note 4G 모델의 판매를 진행해 단 6초 만에 4만 여 대의 초기 판매물량을 모두 판매한 바 있으며, 최근 인도 시장에 진출한 러에코(LeEco)사는 20초 만에 9만5000여 대의 판매물량을 완판

 

온라인 판매로 스마트폰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Xiaomi사(좌)와 LeEco사(우)

자료원: Flipkart

 

□ 인도에 진출한 주요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현황

 

업체명

업체정보

레노버(Lenovo)

- ‘14년 모토롤라(Motorola)사를 인수한 이후로, 인도 시장에서 Lenovo, Motorola 2개의 브랜드로 제품 판매

- 인도 유명 전자상거래업체인 Flipkart사와 협력해 온라인에서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음.

- ‘15년 기준, 인도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11.6%(모토롤라 포함)를 기록해 인도 진출 중국 업체 중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을 기록함.

샤오미(Xiaomi)

- 샤오미(Xiaomi)사는 2014년 7월, 인도 전자상거래기업인 Flipkart사를 통해 온라인 판매방식으로 인도시장에 진출함.

- 4G/LTE 호환 가능 모델과 온라인 판매에 집중한 방식으로 판매가를 절감한 결과, ‘14년 1.5% 점유율에서 ’15년 3% 점유율로 2배 성장함.

- 최근 Redington사와 협력해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판매를 검토하는 등 판매선 다변화를 통해 점유율 확대를 계획 중임.

- 또한, Foxconn사와 협력해 향후 자사 스마트폰의 인도 현지생산을 검토 중

비보(Vivo)

- 비보(Vivo)사는 ‘15년 초 V시리즈 스마트폰으로 인도 시장에 진출해 불과 1년 만에 약 2%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15년 10월, 인도 국민 스포츠인 크리켓 리그에 공식 스폰서로 등장하는 등 현지화에 초점을 둔 공격적인 마케팅을 하고 있음.

- 다른 중국 스마트폰 기업들과 다르게 자사 브랜드 홍보를 위해 인도 전역에 자사제품 판매·서비스망을 구축하는 데 주력함.

- 또한, ‘15년 12월부터 Greater Noida 지역에 생산 공장을 설립해 현지에서 제품을 생산·공급하고 있음.

화웨이(Huawei)

- 1987년 설립된 중국 스마트폰 업체 화웨이(HuaWei)사는 ‘15년 3월 Honor라는 브랜드로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 진출함.

- 인도 진출 초기, 전자상거래업체 Flipkart를 통해서만 판매를 진행함.

- ‘15년 8월부터 인도 전자제품 판매유통체인인 Croma, Reliance Digital과 협력해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제품 판매, 서비스망 확대에 주력하고 있음.

오포(Oppo)

- 오포(Oppo)사는 ‘14년 1월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 진입함.

- 다른 중국 기업들과 달리 진출 초기부터 소비자들이 자사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에서 동시에 판매

- 최근에는 단독판매매장 개설과 Foxconn사와 협력한 인도 현지생산 계획을 발표하는 등 공격적인 경영전략을 취하고 있음.

러에코(LeEco)

- ‘16년 1월,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 진입한 러에코 사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할인판매로 초기 판매물량을 완판하는 등 성공적으로 인도 사업을 시작함.

- 최근 약 5억 루피를 투자해 인도 전역에 판매매장을 개설할 계획을 발표함.

- 또한, 인도 현지기업과 협력한 제품 개발 및 생산을 계획하고 있음.

자료원: 각사 홈페이지, Times of India, The hindu 등 현지 언론, IDC, Counterpoint사

 

□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의 약진과 인도 기업의 위기

 

 ○ 중국 스마트폰 업체와 인도 스마트폰 업체의 시장 점유율 변화

  - ‘15년 기준, 인도 스마트폰 업체들의 시장점유율은 38%를 기록해 전년(43%)대비 5% 감소. 이에 반해,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시장점유율은 ‘15년 기준 22%를 기록해 전년(15%)대비 7% 증가

  - 이러한 인도 제조사의 몰락에는 자체 부품·기술의 부족, 경영진의 전략 부재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됨.

 

 ○ 자체 기술 부재와 장기적인 생산-판매 전략 부재

  - 주요 인도 스마트폰 제조사인 Micromax, Intex, Lava는 수입한 중국산 부품을 단순 조립해 판매하고 있음. 따라서, 자체 부품 생산 및 연구개발을 통한 부품/소프트웨어를 보유하지 않은 인도 스마트폰은 중국산 스마트폰 대비 가성비가 떨어지는 성향이 강함.

  - 인도 스마트폰 업체들은 저가제품에 주력하고, 중국 외에도 삼성, 애플 등이 기존의 고가라인에서 점진적으로 가격을 낮추며 저가 스마트폰 시장 경쟁이 격화되고 있음.

  - 최근 LG사가 인도 내 저가스마트폰 모델 현지생산, 애플사가 Foxconn사를 통한 아이폰 현지생산을 확정하는 등 경쟁사 경영진들이 적극적으로 현지 진출전략을 추진하고 있지만, 인도 스마트폰 업체들은 경영진 교체 등 여러 가지 대내외적 악재로 시장점유율 회복을 위한 전략이 부재한 상황임.

   · 인도 토종 스마트폰 업체 1위인 Micromax는 판매부진, 경영진 교체에 이어 중국 알리바바의 투자유치에 실패하는 등 대내외적 악재로 시련을 겪고 있음.

 

□ 시사점

 

 ○ (스마트폰) 4G, 전자상거래 등 인도 통신시장 트렌드 변화에 대비

  - 소득수준이 낮고 가격저항이 심한 인도 현지시장 특성상 저가 스마트폰 판매가 주를 이룸.

  - 하지만, 인도 내 4G 네트워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4G/LTE를 지원하는 저가 스마트폰 모델 개발 및 판매에 초점을 맞춘 경영전략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휴대폰 액세서리·부품업체들에 기회가 될 전망

  - (액세서리) 스마트폰 판매량이 증가함에 케이스, 액정보호필름 등 휴대폰 액세서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가격저항이 심한 인도 시장 특성상 중국산 제품이 주로 수입·판매되고 있지만, 온라인 유통망을 통한 제품 마케팅·판매 등의 방법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한다면 우리 기업에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

  - (부품) 많은 해외 스마트폰 기업들이 관세 및 운송비 절감 등을 위해, 인도 현지생산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추세. 스마트폰 현지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현지 부품조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인도 정부는 'Make In India'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자제품 및 부품을 현지생산 시 내국 판매세(excise duty)를 일부 감면해주는 등 각종 지원정책들을 발표하고 있으며, 전자제품 제조 특화구역(Electronic Manufacturing Clusters) 계획을 통해 자국 내 생산을 확대해갈 방침이므로, 인도 현지 생산을 통한 제품판매를 고려해볼 수 있음.

 

 

작성자: KOTRA 뉴델리 무역관 임성식, 김덕영, Jaya Soin

자료원: Times of India, The Hindu 등 현지 언론, IDC, Counter Point Research사, 각 사 홈페이지 및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13억 인도시장에 몰려드는 중국 스마트폰 공룡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