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성장하는 중국 낚시용품 시장, 월척의 비결은 '차별화'
  • 트렌드
  • 중국
  • 다롄무역관
  • 2015-10-05
  • 출처 : KOTRA

     

성장하는 중국 낚시용품 시장, 월척의 비결은 ‘차별화’

 - 경제 성장에 따른 낚시인구 증가로 각종 낚시용품 수요 급증 -

 - 동종 제품 난립하는 무질서한 시장, 차별화 전략 수립이 관건 -

     

     

     

□ 중국 낚시용품 시장 현황

 

 ○ 경제 발전에 따른 소득 증가, 낚시리그 활성화로 인한 소비 열기 고조

  - 중국 개혁개방 이후, 낚시는 소득수준이 비교적 높은 연해지방을 중심으로 대중적 여가 스포츠로 서서히 자리잡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낚시산업도 점차 성장함. 1980년대 중반, 중국 최초로 유리섬유 낚싯대가 등장한 이후 낚싯대를 비롯한 각종 낚시용품 산업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기 시작함.

  - 중국낚시협회 통계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낚시 인구는 9000만 명에 달함.

  - 중국은 낚시용품 생산 및 가공 대국이자 거대한 소비시장이기도 함. 통계에 따르면 2013년 중국의 낚시용품 판매량은 약 7641만 세트로 전년(2012년) 대비 19% 증가함.

 

2009~2013년 중국 어구 및 낚시용품 수요 추이

 

수요량

                                                                                    (단위: 만 세트)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4,722

5,435

6,426

7,641

자료원: 중국산업연구보고망

 

  - 통계에 따르면 중국 어구 및 낚시용품시장 규모는 2009년 28억 위안에서 2013년 57억 위안으로 5년간 2배 이상 성장함.

  - 중국 낚시 스포츠는 비록 시작이 다소 늦었지만 경제 발전에 따른 소득 증가와 여가시간 증대로 인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점차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음. 향후 낚시협회 및 단체를 중심축으로 더욱 빠른 속도로 보급될 전망임. 중국 낚시용품 소비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며 향후 수년간 10% 이상 고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2009~2013년 중국 어구 및 낚시용품 시장 규모 추이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8.0

32.6

38.5

46.5

57.5

자료원: 중국산업연구보고망

 

  - 시장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동시에 중국의 각종 낚시리그 개최와 대회 참가자 수도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현재 중국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낚시리그 참가자 수는 약 50만 명에 달함. 또한 낚시리그의 상금이나 부상이 점차 다양해지고 고급화돼 감에 따라 대회에서의 승패를 좌우할 고급 낚시용품에 대한 수요도 동반 증가하는 양상을 보임.

  - 낚시용품 시장 규모가 매년 크게 성장함에 따라 낚시보트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2009년 중국 낚시보트 판매액은 2억 위안을 기록했으며, 이후 매년 약 10%의 매출액 성장률을 보임. 낚시보트의 주요 판매처는 랴오닝(宁),후난(湖南), 구이저우(州), 쓰촨(四川) 등 릴낚시가 비교적 성행하는 지역임.

  - 전문가들은 향후 10~15년 사이에 중국에서 세계적인 루어(lure) 낚시용품 브랜드가 탄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음.

 

□ 중국 낚시용품 수출입 동향

 

 ○ 전 세계 80%에 달하는 생산량, 북미·아시아·유럽 대상 OEM 방식 생산 판매

  - 현재 중국은 전 세계의 약 80%에 달하는 낚시용품을 생산하고 있음. 2013년 기준, 중국의 주요 낚시용품 수출액은 약 9억5200만 달러에 달했으며 북미, 아시아, 유럽 등 3대 지역을 대상으로 OEM 방식으로 생산, 판매되고 있음.

  - 중국에서 주로 해외로 수출하는 낚시용품은 낚싯대, 낚싯배, 낚싯바늘 순으로 많음. 최근 몇 년간 장쑤성(江省) 싱화(化) 및 푸졘성(福建省) 취안저우(建泉)를 중심으로 루어(lure) 낚시용품 제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수출량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미국 낚시스포츠연합회 발표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의 낚시용품 수입국가 96곳 중 장기간 수입규모 1위를 차지하고 있음.

 

□ 중국 낚시용품 산업 분포 현황

 

 ○ 산둥성, 저장성, 광둥성 등 연해지방 집중 분포

  - 중국 낚시용품 제조 및 판매업체는 중국 산둥성을 필두로 저장성, 광둥성, 장쑤성, 랴오닝성, 푸졘성 등 대부분 중국 연해지방에 분포하고 있음.

  - 현재 중국 최대 낚시용품 생산지는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시(威海市)로, 낚시용품 산업이 12.5 규획기간 시의 10대 중점 육성산업 범위에 포함됨. 2013년 기준, 웨이하이시(威海市)에는 약 1200개의 낚시용품 제조 및 조립기업이 분포해 있으며 낚시용품 생산량은 약 4000만 세트에 달하고 연간 수출액은 3억 달러에 달함. 주요 생산품인 낚싯대는 이미 세계 시장 전체 생산량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타 각종 낚시용품 생산량 또한 중국 내 선두를 달리고 있음. 웨이하이시(威海市)는 일찍이 중국 경공업연합회로부터 ‘중국 낚시용품의 고장’ 의 타이틀을 수여받을 정도로 중국 내 대표적인 낚시용품 생산기지임.

 

□ 중국 낚시용품 주요기업

 

브랜드

기업 로고

설립 연도

소개

광웨이(光威GW)

1987

산둥 웨이하이시(山威海) 소재,

대형 낚시용품 전문 기업

디지아(迪佳TICA)

1965

저장 닝보시(浙江宁波) 소재,

각종 낚시용품 연구개발 및 생산,

A/S 전문기업

타이핑양(太平洋)

1976

대만 타이난시(台台南) 소재

글로벌 대형 기업

디아오위왕(钓鱼王)

1995

후베이성 안루시(湖北安) 소재,

미끼 등 낚시용품 및 실외용품 도소매

펑싱·라오구이

(行·老鬼)

1993

후베이성 우한시(湖北武) 소재,

각종 낚시용품 취급

룽왕헌

(王恨LOONVA)

1993

후베이성(湖北省) 저명 브랜드,

낚시 미끼 연구제조 전문 기업

비하이(碧海)

1988

베이징시(北京市) 소재,

중국 대형 낚시용품 전문 판매기업

환치우(球)

1985

산둥성(山省) 저명 브랜드,

탄소 및 유리섬유 낚싯대

전문 생산기업

하이보(海伯)

1988

저장성(浙江省) 저명 브랜드,

고급 낚시용품 제조기업

파라이(法)

1992

저장성 항저우시(浙江杭州) 소재,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 낚싯대 생산

자료원: 고우마이왕(购买)

 

□ 중국 진출 한국 기업

 

 ○ ㈜N.S Black Hole

 

자료원: ㈜N.S Black Hole 홈페이지

 

  - 1988년 창립한 낚싯대 전문 생산업체로 일본, 러시아 등지에 제품을 전량 수출해오고 있음.

  - 2005년 한국 내수시장 영업판매 누적실적 30억 원을 달성했으며 이듬해인 2006년 중국 협력사 매화어구유한공사와 부품 생산계약을 체결하며 중국 진출 교두보를 마련함.

  - 2011년 초부터 베이징, 난징 국제낚시박람회에 출품하는 등 중국 내수시장 본격 진출에 시동을 걺. 그 결과, 2014년 5월 중국 명품낚시박람회 루어 낚싯대 부분 최우수 명품브랜드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둠. 2013년 1월 기준 한국 내수판매 연매출 110억 원을 달성함.

 

□ 관련 전시회 정보

 

 ○ 톈진 비하이(碧海) 2015 하계 낚시용품 산업박람회

 

자료원: 전시회 공식 홈페이지

 

장소

톈진시 메이쟝전시센터(天津梅江展中心)

일시

2015년 7월 17~19일

주최

베이징비하이낚시용품유한회사(北京碧海具有限公司)

홈페이지

www.bhdjz.com

 

  - 1989년 처음 개최돼 오랜 역사를 지닌 본 박람회는 중국 낚시산업의 태동기를 함께했던 박람회로, 수많은 전시 경험을 통해 많은 현지 낚시용품 기업들과 좋은 유대를 쌓아온 중국의 대표적 낚시산업 박람회로 명성이 높음.

 

 ○ 산둥성 웨이하이(威海) 국제 낚시용품 박람회

 

자료원: 전시회 공식 홈페이지

 

장소

산둥성 웨이하이 국제전시센터(山威海中心)

일시

2015년 10월 16~18일

주최

중국국제무역추진위원회 웨이하이시위원회,

웨이하이아오화전시유한회사

홈페이지

http://www.cgcexpo.cn/weihai/

 

  - 2008년부터 개최된 본 박람회는 현재 중국 낚시산업이 주목하는 브랜드 박람회로 자리매김했으며 전시회 규모나 거래액, 영향력 등 모든 면에서 업계의 인정을 받은 전문 산업 박람회로 꾸준히 관련 산업 종사자들의 호평을 얻고 있음.

 

□ 중국 낚시용품 산업의 문제점과 한계

 

 ○ 동종 상품의 난립으로 인한 브랜드 가치 부재, 시장질서 구축 급선무

  - 중국은 비록 전 세계의 약 80%에 달하는 낚시용품을 생산 및 공급하고 있지만 대부분 낚시산업은 현재 최하위 단계인 단순 제품 가공수준에 머물러 있어 창출 부가가치는 높지 않음. 외국 낚시용품업계는 주로 특허나 브랜드 가치, 판매 수익 등으로 이윤을 창출하는 데 반해 중국 낚시업계는 심한 가격 경쟁과 제품 간 차별성 부족으로 인해 이윤 극대화가 이루어지기 힘듦.

  - 많은 인구와 경제력 상승에 따른 단기적인 산업 발전과 시장규모 확대 이면에 동종 상품 난립으로 인한 극심한 가격 위주 경쟁 등 어지러운 시장질서, 자주적 제품 연구개발 기술 부재 등 해결해야 할 난제가 많은 상황임.

  - 중국 낚시용품은 아직 절대다수가 자체 지적재산권을 보유하지 못한 상태이며 이렇다 할 낚시용품 대표 브랜드가 극히 드문 실정임. 게다가 브랜드 특허 침해 시 이에 대응하는 소송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에 이를 악용, 시중에 각종 유사제품이 난립하고 있음. 심지어 비교적 규모가 큰 기업의 제품 역시 진정한 의미에서 확고한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했다고 보기 힘듦.

  - 중국 낚시용품 시장은 생산표준 및 품질검사표준, 시장 진입 프로세스 등 전 과정에 걸쳐 질서가 제대로 정립돼 있지 않은 상태임. 또한 낚시용품 생산기술과 제조설비가 아직 낙후돼 있으며 생산자재 공급 루트도 단일화돼 있음. 따라서 향후 해외 선진 제조기술과 생산설비 도입을 통해 산업을 혁신하고 기업 경쟁력을 제고해야 할 것으로 보임.

  - 현재 중국 극소수 브랜드 선도 기업이 현재 낚시용품 시장 대부분의 이윤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다수의 소규모 낚시용품 업체들은 비현실적인 장기적 경영계획 수립보다는 당장의 수익에 급급한 실정임. 따라서 중소업체 간 산업연대 강화 및 각종 표준 통일 등의 노력을 통해 이러한 기형적인 산업체인구조를 개선해야 함.

  - 따라서 중국은 낚시용품 단체 및 협회의 권한을 강화해 시장질서 확립 및 어종 보호, 낚시용품 업체 경영상담 및 자금 지원 등 노력을 통해 산업의 전반적인 경쟁력 향상에 힘써야 하는 상황임.

 

□ 한국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 방안

 

 ○ 차별화 전략과 소비자 체험 중심 마케팅으로 접근해야 승산

  - 중국산 낚시용품은 비록 그 종류는 많으나 거의 대다수는 비슷한 제품으로 차별성이 없고 오로지 가격으로 승부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짐. 따라서 낚시용품 본연의 기능 강조와 더불어 부가 디자인 등 시중의 많은 중국산 제품과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함.

  - 중국 낚시용품 시장 트렌드는 기존의 단순 제품판매에서 점차 소비자 직접 체험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음. 이에 따라 각종 낚시용품 관련 전시회를 통해 적극적으로 한국 기업 제품의 장점을 홍보하고 중국 낚시 애호가들로 하여금 한국 브랜드의 우수성과 천편일률적인 여타 중국 브랜드들과의 차별성을 머릿속에 각인시키려는 실제적인 노력이 보다 중요할 것으로 판단됨.

 

 

자료원: 중국낚시고장(中具之都), 중국해양식품망(中海洋食品), BOSI데이터(博思据), 중국어구망(中), 바이두문서 (百度文), 중국산업정보망(中产业信息) 및 KOTRA 다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성장하는 중국 낚시용품 시장, 월척의 비결은 '차별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