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UAE, 석유화학제품의 공급처로 부상 중
  • 트렌드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송지은
  • 2015-07-29
  • 출처 : KOTRA
Keyword #석유화학

 

UAE, 석유화학제품의 공급처로 부상 중

- UAE 정부는 산업 구조를 다각화하는 차원에서 석유화학산업을 일관성 있게 추진 -

- 대규모 석유화학단지 조성 프로젝트 Chemaweyaat complex 개발 중 -

 

 

 

□ 산업다각화 정책에 따른 석유화학산업 집중 육성

 

 ○ UAE는 고유가로 지속돼 온 막대한 오일머니를 바탕으로 오일 &가스 수출에 의존하는 경제구조를 벗어나 산업구조를 다각화하기 위해 제조업을 전략산업으로 선정, 집중 육성해오고 있음.

  - 그 중 풍부한 에너지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연관 산업인 석유화학, 철강, 알루미늄 산업에 대한 설비 투자 및 증설 프로젝트를 공격적으로 진행해 왔으며, 특히 석유화학산업의 경우 산유국의 이점인 원자재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음.

 

 ○ 걸프석유화학연맹(GPCA; Gulf Petrochemical & Chemicals Association)에 따르면 2014년 GCC지역의 폴리머(Polymer) 생산량(capacity)은 2500만 톤을 기록했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전체 생산량의 72% 차지, 뒤를 이어 UAE가 13% 차치하며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폴리머 생산량이 가장 높은 국가로 나타남.

  - UAE는 계속해서 폴리머 생산량을 확대해 2019년까지 530만 톤 이상의 폴리머 생산을 계획 중에 있음.

 

GCC 국별 폴리머 생산량 및 전망

                        (단위: 백만 톤)

국명

2014년

2019년(예상치)

사우디아라비아

18.3

21.6

UAE

3.3

5.3

카타르

1.9

3.5

오만

0.9

2.5

쿠웨이트

1.0

1.0

주: 포함품목-PP, HDPE, LLDPE, LDPE, PET, PVC, PS, PC, Polyester Fiber, XLPE, SAP, Polyamide, EPS

자료원: 걸프석유화학연맹

 

□ UAE 석유화학산업의 외부환경

 

 ○ UAE의 석유화학산업은 기본적으로 생산비가 저렴한 에탄에 의존하고 있지만 최근 원유가격 하락에 따른 나프타의 가격 경쟁력 상승으로 자국의 경쟁우위 상실, 수출환경 변화에 따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음.

 

 ○ 또한, UAE 석유화학 제품의 주 수출국인 중국과 인도의 저성장에 따른 수요 둔화는 UAE 석유화학산업에 다소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7월 14일 이루어진 이란의 핵협상 타결은 이란의 석유화학제품 수출을 회복시킬 것이며 이런 외부 요인들은 UAE 석유화학산업의 성장을 다소 제한할 것으로 보임.

 

 ○ UAE의 탈석유화 및 경제다각화를 목표로 하는 아부다비 정부의 Plan Abu Dhabi 2030 계획에 따른 정부의 석유화학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및 지원으로 저유가와 외부 수출환경으로 발생하는 어려움은 어느 정도 극복할 것으로 예상됨.

 

□ 대규모 프로젝트 개발과 기존공장의 확장으로 UAE 석유화학 제품의 생산 능력 확대

 

  국영 석유기업인 ADNOC은 최근 루와이스의 정유공장을 확장했고 최근 지속되는 저유가로 인해 낮은 가격으로 나프타를 해외에 수출하고, 나프타의 저가격 추세는 전 세계 석유화학 시장에 활기를 부여해 UAE 산업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됨.

  - 또한 루와이스 정유공장 확장으로 하루에 40만 배럴(B/d)의 생산능력을 가진 루와이스 정유공장이 2015년에 완전히 가동되면, 41만7000b/d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UAE의 석유화학 부문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더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군을 생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여겨짐.

 

 ○ 특히 2016년 완공 예정인 대규모 석유화학단지 조성 프로젝트 Chemaweyaat complex의 개발로 UAE는 세계 최대 규모의 나프타 기반 석유화학 단지를 보유함으로써 석유화학산업의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됨.

 

UAE 석유화학 부문 품목별 생산능력

                        (단위: 천)

품목

2011

2012

2013

2014e

2015f

2016f

2017f

2018f

2019f

Ammonia

695

695

695

695

695

695

695

695

695

Ethylene glycol

500

500

500

500

500

1,400

1,400

1,400

1,400

Ethylene

2,000

2,000

2,000

3,500

3,500

5,000

5,000

5,000

5,000

PE

1,140

1,140

1,140

2,570

2,570

3,520

3,520

3,520

3,520

Polypropylene

800

800

800

1,700

1,700

2,140

2,140

2,140

2,140

Propylene

800

800

800

800

800

1,490

1,490

1,490

1,490

Polyethylene terephthalate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주: e는 BMI 예상치, f는 BMI 추정치  

자료원: BMI

 

□ 시사점

 

 ○ UAE는 오일 &가스에 집중돼 있는 산업의 구조를 다각화하는 차원에서 석유화학산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해온 바 저유가 및 이란 핵협상 타결, 중국 인도 등의 주요 수출국가의 경제성장 둔화 등 외부 수출환경으로 발생하는 어려움은 어느 정도 상쇄될 것임.

 

 ○ 아부다비를 중심으로 한 UAE의 석유화학산업은 저렴한 원재료의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되므로 관련 기업은 석유화학 플랜트 설비·유지보수시장에 적극적인 참여해볼 만함.

  - 이미 현대 E &C와 삼성엔지니링 등 우리나라 EPC 기업이 Borouge 발주한 석유화학 석유화학투자단지 사업에 참여하는 등 우리 기업의 석유화학 부문의 기술력이 인정된 바 지속적인 사업 기회로 확대될 수 있음.

 

 ○ 아울러 UAE의 정부 발주 석유화학 프로젝트에 플랜트 기자재를 납품하기 위해서는 발주처에 벤더 등록이 선행돼야 하므로 관련 우리 기자재 업체는 벤더 등록을 적극 지원해줄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진 현지 에이전트를 선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

  - 우리 중소기업은 품질 및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기자재 공급에 초점을 맞춰 UAE 석유화학산업 참여 기회를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임.

 

 

자료원: BMI, MEED, Zawya, 걸프석유화학연맹 외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석유화학제품의 공급처로 부상 중)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