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에티오피아 의료산업 현황
  • 트렌드
  • 에티오피아
  • 아디스아바바무역관 이현우
  • 2014-08-04
  • 출처 : KOTRA

 

에티오피아 의료산업 현황

- 인구 수와 소득 증대로 의료용품 수입 증가 -

- 의약품은 우리나라 대에티오피아 수출품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 사회보험 도입으로 의료서비스 수요 증가 예상 -

 

 

 

□ 에티오피아 의료산업의 현재

 

 ○ 의료기관 현황

  - 현재 에티오피아의 인구는 약 9000만 명으로, 지난 20년 사이 약 3000만 명 증가함.

  - 현재 출산율은 5% 이상이고 2013년 5세 미만 영아 사망은 약 47만2000 명으로 집계됨.

 

에티오피아 의료기관 현황

보건진료소

보건소

병원

16,048개

3,525개

127개

 

 ○ 의료용품 수입현황

  - 에티오피아 인구와 더불어 개인소득 증가로 의약품 수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의료용품(HS Code 30) 수입은 지난 5년간 약 65% 증가함.

 

의료용품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2009

2010

2011

2012

2013

수입액

319

300

349

427

526

 

의약품 수입현황(HS Code 3003, 3004)

            (단위: 천 달러)

품목(HS Code)

2009

2010

2011

2012

2013

항생제(300320)

2,149

7,073

1,550

140

1,086

페니실린(300310)

164

57

75

11

73

인슐린(300331)

450

9

13

85

68

알칼로이드(300340)

-

0.02

1

12

21

항결핵제(300390)

549

1,233

256

26

11

호르몬제(300339)

60

137

3

96

6

항암제(300490)

240,187

224,997

221,556

148,354

222,876

호르몬제제(300439)

1,649

1,600

2,724

96,390

162,714

구충제(300420)

5,269

9,155

7,102

13,302

4,264

페니실린(300410)

3,549

4,017

4,565

3,553

3,397

비타민(300450)

2,125

1,728

2,712

2,321

2,629

인슐린함유(300431)

389

207

179

617

280

알칼로이드(300440)

196

207

311

363

14

스테로이드(300432)

235

696

789

215

12

총계

256,969.972

251,115.750

241,835.253

 265,483.932

397,452.174

 

 ○ 한국의 진출 현황

  - MCM 한국병원:
2004년 개원(명성교회)
외과를 중심으로 현재 17개 진료과 운영 중(161 병상: 115 중환자실 11 신생아실)
현재 67병동의 새 병원 건축 중

  - 세인트폴 병원 모바일 클리닉:
2007~2008, 2012~현재 모바일 클리닉 운영(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KOFIH)

  - 한국 의약품 수출 현황: 한국의 대에티오피아 수출품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2013년 기준 전체 수출액의 약 16% 차지)

 

한국 대에티오피아 인체의약용 백신(HS code 300220) 수출 현황

             (단위: 천 달러)

연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수출액

31079

24231

10703

23637

11189

11936

 

  - 대에티오피아 수출품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최근 들어 그 수출액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이는 저가의 인도산 의약품 유입으로 인한 시장잠식효과로 보임.
 

인도 의약품(HS Code 300220) 수출액

 

□ 의료시장 진입의 어려움

 

 ○ 까다로운 수검 절차

  - 의약품 및 의료기기는 에티오피아 수입품목 중 가장 까다로운 수검절차를 거침.

  - 수검 담당 기관인 에티오피아 식약청(FMHACA)에 따르면, 필수사항은 아니지만, WHO나 미국, 유럽 등지의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자격을 갖출 경우 절차가 조금 수월해질 수 있다고 함.

  - 이에 몇몇 기업은 현지 생산체제를 도입함: Cadila Pharmaceuticals Ethiopia(인도업체와 합작투자) 등

 

□ 새로운 기회: 사회보험제도 도입

 

 ○ 에티오피아 사회보험제도(Social Health Insurance Sheme)

  - 2015년 시행 목표로 준비 중임.

  - 현재 에티오피아에는 16개 사의 민간 보험사가 존재하며 약 25~30%의 보험 프리미엄을 얻고 전체 국민의 1% 정도가 보험혜택을 받음.

  - 현재 준비 중인 사회보험제도는 먼저 공무원을 시작으로 5년 이내에 20%, 20년 이내에 50%의 적용 범위를 목표로 함.

  - 사회보험의 도입으로 기존에 의료 사각지대에 있던 사람이 실수요자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아프리카 인구 2위의 에티오피아 의료시장 확대를 의미함.

 

□ 시사점

 

  에티오피아 의약품시장에서 한국은 어느 정도 시장을 확보한 상태임. 따라서 현재의 인지도를 활용한 시장확대 전략이 필요함.

 

  의료용품의 경우 긴 수검기간을 거쳐야 하는 만큼 장기적인 안목으로 시장에 접근해야 함.

 

  에티오피아 내 한국병원의 존재로 한국 의료기기 및 기술에 대한 선호도 높음.

 

  앞으로 사회보험이 시행되면 의료 서비스 수요가 증가할 것이 예상되므로 이에 따른 시장선점이 필요함.

 

 

자료원: 에티오피아 보건부 인터뷰, 에티오피아 의료조달청 인터뷰, 에티오피아 제약업체 인터뷰, 에티오피아 국세/관세청, 에티오피아 언론 종합,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자체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에티오피아 의료산업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