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물 부족 국가 중국, 수자원 IT 전망 밝아
  • 트렌드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14-02-21
  • 출처 : KOTRA

 

물 부족 국가 중국, 수자원 IT 전망 밝아

- 지역별 수자원의 격차 크고 사막화 심화 -

 

 

 

□ 중국 낙관적이지 않은 수자원 현황

 

 ○ 중국의 물 부족 현상

  - 낙관적이지 않은 상황. 중국은 수자원 세계 4위 국가. 그러나 1인당 평균은 121위

  - 수자원의 80% 이상이 남부에 분포함. 북서 내륙의 가뭄은 심각

  - 현재 중국의 연간 물 부족량 400억㎥ 중국 전체 669개 도시 중 400여 도시가 물 부족

  - 인구 100만 이상 32개 대도시 중 30개는 만성적 물 부족

  - 연평균 3억 무(畝), 즉 3만㎢ 정도의 농경지가 가뭄에 시달리고 있음. 이로 인해 감산된 식량이 연평균 약 280억㎏에 달함.

 

 ○ 전 국토의 27% 정도가 사막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 중국의 전국의 사막화 토지의 총면적은 262.37㎢. 전국 국토의 27.33%

  - 신장, 내몽고, 시장, 깐수, 칭하이 5개성의 사막화 토지는 전체 사막화 토지의 95.84%

 

주요 5개 성 사막화 현황

(단위: 1만㎢)

자료원: '2011년 제4차 중국 황막화, 사막화 현황 보고서(국가임업국)

 

  - 중국은 사막화 대응을 위해 방사치사법(防沙治沙法) 등의 관련 법규를 제정, 시행. 사막화가 다소 진정됐으나 심각한 형세는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음. 여전히 현재 가장 심한 생태문제

 

□ 중국은 현재 전폭적인 수리시설 확장 중

 

 ○ 중국의 종합 계획

  - 2005년 '국가 중장기과학기술발전규획요강(2006~2040)(國家中長期科學和技術發展規劃綱要)'을 통해 수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현재 중장기과학기술발전의 구상과 과제를 확정함. 수자원 최적화 배치와 종합 절수 등이 포함됨.

  - '중국 제12차 5개년 규획강요'에 따르면 도시·농촌의 수자원 및 물 공급 공정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형 댐들을 건설하고 강·하천·호수·중소 하류의 정비 및 관리 실시, 지질재해 예방 등을 실시한다고 밝힘.

 

 ○ 중국의 수리시설

  - 신중국 성립 후 대·중·소형 저수지가 8만여 곳, 보수 및 건설한 제방이 20만3000m, 1만 무(畝), 즉 약 1만㎢ 이상의 대형 관개 지역이 5000여 곳, 우물 270여 개를 건설해 관개 면적이 증가 중

  - 중국의 수자원 공급은 2000년 553㎦에서 2010년 602㎦로 증가. 농업 비중은 68.8%에서 61.3%로 줄었으나 여전히 큰 폭을 차지함.

  - 현재 중국은 남수북조공정(南水北工程)으로 2010년 1만3000㎞에 달하는 3개의 초대형 운하를 통해 1년에 480억 톤을 물이 부족한 성시로 돌리고 있음. 2020년까지 황허 상류에 수원 보충을 위한 서부지역 수로 공사 예정

 

□ 노후화되고 낙후된 중국의 수리시설

 

 ○ 수리시설의 문제점

  - 중국은 수자원 부족이 심각하고 자원종합 이용효율이 낮으며 특히 농업관개용수 이용효율은 현저히 낮음.

  - 배수 시스템이 많이 낡았으며 계량기가 부정확하거나 설치되지 않은 곳이 많음. 이로 인한 일부지역은 홍수피해가, 일부지역은 가뭄 피해가 매년 고질적으로 발생하고 있음.

  - 배수 시스템이 많이 낡았으며 누수로 인해 전국적으로 60억㎥의 물이 샘.

 

 ○ 중국의 지속적 피해로 인한 해결 요구 증가

  - 중국은 매년 홍수 피해와 가뭄피해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국가

  - 국가 홍수가뭄대책총지휘부(家防汛抗旱部)를 구성해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하지만 2014년 현재 겨울가뭄으로 월동작물 피해 급증. 주요 하천과 댐, 저수지의 수량도 예년의 40~50% 수준으로 떨어져 식수난 또한 확산됨. 효율적 관리 시스템 필요

 

□ 중국의 수자원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수자원 관리 시스템과 현재 상황

  - 중국 또한 전국 강우 상황을 알려주는 사이트인 '전국 수우정신식(全水雨情信息)'으로 확인 가능함. 하지만 업데이트가 24시간에 한 번씩(매일 오전 8시경) 큰 강 위주로만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간 확인은 어려움.

  - 거대한 수리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효율적인 관리 체계를 갖추지 못한 것으로 추정됨.

 

□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수자원 솔루션

 

 ○ 실시간 용수 종합 시스템

  - 우리나라 전국의 저수지 1624개, 수로 시점부 1220개 등 3000여 곳에 설치됨. 늪지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설치돼 있음. 10분마다 데이터가 업데이트돼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함.

  - 각 지역의 저수지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관개용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홍수예경보 시스템, 상수관망 최적관리 시스템, 누수 감지 시스템까지 갖춤.

  - 실시간 원격 정보 제공을 통해 개인 핸드폰, PC 등으로 확인 가능

 

□ 시사점

 

 ○ 중국은 IT 관리가 필요

  - 광범위한 수자원 관리가 시급한 기점에서 IT기술을 활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이 필요함.

  - 앞으로 중국 정책 동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음.

 

 ○ 우리나라의 수자원 솔루션을 갖춘 기업의 전망 밝아

  - 현재 우리나라의 수자원 관련 기업들이 동남아 및 홍수 피해 많은 국가로 진출하고 기업의 중국 진출 또한 유망함.

  - 관급 프로젝트로 진행되므로 직접 참가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

  - 농업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중국 기업에 기술, 소재 등을 공급하는 방식이 좋을 것임.

 

 

자료원: 百度,「2011년 제4차 중국 황막화, 사막화 현황 보고서(家林局)'」, 농어촌공사,「중국통계연감 2010(China Statistical Yearbook 2011)」, 全规划(水利部), 全水雨情信息, 신화망(新華網), 에이빙코리아, KOTRA 광저우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물 부족 국가 중국, 수자원 IT 전망 밝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